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6.16.06.323

Impact of Socio-economic Factors on the Elderly's Satisfaction with Life -Mediating Effect of the Elderly's Leisure Participation-  

Jeon, Myeung-Sook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Tae, Myeung-Ok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specifically valid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lderly's leisure participation with regards to the impact of socio-economic factors on the elderly's satisfaction with life. This paper analyzed the data of 7,486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4th research of the 2012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by Korea Labor Institute. The outcome is as follows. First, among socio-economic factors, educational background, total household income and net asset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mpact on the elderly's satisfaction with life. When the level of the three factors was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life was also greater. Second, the three socio-economic factors (educational background, total household income and net asset) affected the elderly's satisfaction with life through mediating effect of leisure participation. Those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total household income and net asset showed more leisure participation, leading to greater satisfaction with life.
Keywords
The Elderly; Socio-economic Factors; Satisfaction with Life; Leisure Particip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클라인, 행복의 공식, 김영옥 옮김, 웅진지식하우스, 2006.
2 Layard, Happiness : Lesson from a New Science, Penguin Press, New York, 2005.
3 박정민, 행복지수는 GDP와 비례하지 않는다, Financial Times, 2005(1).
4 윤영신, 생물심리사회-영성(BPSS)모델이 노년기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5 김교성, 유재남, "노년기 삶의 만족도와 소득 궤적에 관한 종단연구," 노인복지연구, 통권 제58호, pp.163-187, 2012.
6 박기남, "성별.지역별 특성에 따른 노인의 삶의 만족도 연구," Women's Studies Forum, 제69호, pp.5-34, 2005.
7 고양곤, 노인과 사회생활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노인문제연구소, 2010.
8 문화체육관광부, 여가백서, 문화체육관광부, 2013.
9 R. J. Havighurst, Social roles, work, leisure and education, In C. Hooyman, N. R. & Kiyak, H. Social gerontology, A Multi disciplinary Perspective, Allyn and Bacon Inc., 1998.
10 M. A. McCubbin, Family assessment : resiliency, coping and adaptation : 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Madisn WI, University of Wisconsin Publishers, 1996.
11 S. Parker, Leisure and Work, London Allen and Unwin, 1983.
12 하춘광, 김효순, "노인여가시설 여가프로그램 이용 노인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37권, 제1호, pp.1-12, 2013.
13 E. Diener,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95, pp.542-575, 1984.   DOI
14 박현숙, 손민정, 송진영, "중증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및 대인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제23권, 제1호, pp.55-76, 2013.
15 하춘광, "호주 시드니 거주 한인 중년층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연구 : 문화적응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2호, pp.193-225, 2015.
16 이현진,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의 삶의 만족도와 관련 변수,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7 이성규,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10호, pp.73-86, 2014.
18 임창균, 양동우,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 유형과 주관적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 비자발적 과거기반형 사회적 관계망과 자발적 현재기반형 사회적 관계망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제9권, 제4호, pp.119-133, 2014.
19 이종민, 노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에 관한 종단적 연구 :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위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0 정순둘, 이선희, "노인 삶의 만족도 변화 :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3개년도(1994, 2004, 2008년) 결과비교," 한국노년학, 제31권, 제4호, pp.1229-1246, 2011.
21 전수빈,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대전광역시 노인의 동거형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2 강시모,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부산의 저소득층 독거노인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3 리해근, 하규수, "일상생활요인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80-292, 2012.
24 권철,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25 김순애, 노인의 여가활동유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강남구 노인복지관 노인들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6 맹창호, 고령자의 사회경제적 요인이 계층귀속 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주관적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한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7 어광수, 사회경제적 요인 및 심리적 요인이 노인의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28 전명수, "농촌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298-310, 2014.
29 김문숙, 노인 여가생활과 삶의 만족도 : 제천시 노인들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0 강나영, 노인의 여가활동, 외로움 및 삶의 만족도, 부산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1 이효정, 양영애, "정상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와 삶의 만족도의 상관관계,"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6권, 제2호, pp.47-53, 2012.
32 추경은, 노인이 경험하는 일상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여가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3 박순미,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참여와 경제활동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3권, pp.291-318, 2011.
34 http://survey.keis.or.kr/
35 이갑숙, 임왕규,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291-306, 2012.
36 박성정, 정해숙, 최윤정, 김주섭, 김주현, 100세 시대 노년기 여성의 생산적 삶을 위한 정책과제(I): 학습.일.여가 참여 실태와 요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