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이버 러닝

Search Result 17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사이버 가정학습 최강자 꿈꾼다

  • O, Suk-Hyeon
    • Digital Contents
    • /
    • no.5 s.144
    • /
    • pp.102-106
    • /
    • 2005
  • 온엑스포는 2,000여개에 이르는 국내 디지털콘텐츠 기업 정보를 온라인을 통해 전시,기업들의 국내외 홍보와 마케팅을 지원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디지털콘텐츠 사이버 전시장이다. 온엑스포는 현재 국내 e러닝 온라인콘텐츠와 솔루션을 한자리에서 소개하는 ‘2005 e러닝 온엑스포’를 개최하고 있다.이에 디지털콘텐츠 사이버전시장에 입점해 있는 기업 중 업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 는 기업을 탐방해 e러닝 시장의 현황과 사업전략 그리고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들어봤다.

  • PDF

The Study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rning types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사이버 학습 환경에서의 학습자 유형과 그 특성에 대한 탐색)

  • Whang, Sang-Min;Kim, Jee-Yeon;Ko, Beom-Seog;Seo, Jeo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206-212
    • /
    • 2007
  • 웹을 기반으로 하는 e-러닝에 대한 교육적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학습 공간으로서의 사이버 공간의 활용에 대한 고민도 증가하였다. 전통적인 학습활동을 사이버 공간에 복제하려 했던 고전적 방식이 e-러닝 또는 사이버 학습이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e-러닝의 가치가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이버 공간에서 일어나는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활동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일어나는 지에 대한 탐색은 미흡하다. 산재한 정보를 스스로 가공한 지식, '학습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이라는 개념들이 제시됨에도 불구하고, 사이버 공간에 산재한 정보, 학습하는 방법의 학습, 그리고 사이버 공간의 학습특성에 대한 논란은 여전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사이버 학습 사이트를 이용하고 있는 학습자들의 행동을 중심으로, 학습자의 특성을 탐색하였다. 사이버 공간에서 보이는 스스로 학습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이것이 다양한 학습자 유형으로 구분되는 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이 된 사이버 학습 사이트는 서울, 부산, 대구, 광주 교육청에서 운영하는 사이버 가정 학습관이었다. 총 1535명의 사이버 가정 학습관 이용자들의 특성이 분석되었다. 사이버 가정학습관 이용자들의 행동특성은 9개의 요인-놀이 활동, 공동 경험, 현실 정체, 공동 성취, 개인주의, 경쟁 지향, 성취감, 편리성(조작 용이), 생생함-으로 구분되었다. 9개의 활동 요인을 기준으로 하여 확인된 학습자 유형은 4가지로 나타났다. 4가지 학습자 유형은 각각 독야청청형, 동고동락형, 의무방어형, 희희낙낙형으로 명명되었다. 이들 유형은 학습 활동 정도 및 사이트 이용 행동, 학습 스타일(사이버 학습 활동 양식)에서 서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이론적인 모델에 기초하여 임의적으로 구분된 사이버 학습자 유형 구분이 아닌, 실제 학습 활동을 탐색하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기존의 오프라인 학습 이론 및 학습자 특성 연구를 사이버 학습에 그대로 적용할 것이 아니라 사이버 공간의 특성이 실제 학습 활동에서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밝히려고 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향후, 사이버 학습자 유형에 따른, 사이버 학습활동의 촉진방안이나 학습 효과의 차이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운영 모델에 대한 탐색이 필요할 것이다.

  • PDF

e러닝 엑스포 2004- 미래 유망산업 ‘e러닝’홍보 및 정보교류의 장

  • Sin, Seung-Cheol
    • Digital Contents
    • /
    • no.11 s.138
    • /
    • pp.81-81
    • /
    • 2004
  • 차세대 e러닝 산업의 육성과 활성화를 위해 개최되는 국내 최대의 사이버교육 전문 전시회인‘e러닝 엑스포 2004’가 지난달 15일부터 17 일까지 3일간의 일정을 가졌다. 원격,가상교육, 국내,외 사이버대학, 학내망 서버공급업체 등 26개 업체가 참여한 이번 행사에는 개막 첫 날부터 관련업체와 시민 등 2,000여명이 찾는 등 e러닝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나타냈다.

  • PDF

사이버가정학습시대도래

  • So, In-Hwan
    • Digital Contents
    • /
    • no.8 s.147
    • /
    • pp.50-52
    • /
    • 2005
  • 공교육에 본격적으로 e러닝이 접목되는 사이버가정학습 서비스가 4월을 기점으로 전국 16개 시도에서 대대적으로 시작됐다. 이는 선진국에서도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국가단위의 교육정책에 e러닝이 접목된 세계최초의 시도이다. 사이버가정학습의 현황, 준비과정, 성공요인을 분석한다.

  • PDF

머신러닝을 이용한 지능형 악성코드 분석기술 동향

  • Lee, Taejin
    • Review of KIISC
    • /
    • v.28 no.2
    • /
    • pp.12-19
    • /
    • 2018
  • 사이버 침해공격은 단순히 사이버 공간에만 피해를 주는 것이 아니라, IoT/CPS와 연결되면서 실생활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사이버 침해공격의 대부분은 악성코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점차 지능화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고자 다양한 악성코드 분석기술이 출현해왔으며, 최근의 연구들은 대부분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기존에 진행했던 Pattern, Heuristic 기반의 한계들을 보완하려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머신러닝을 이용한 악성코드 분석기술의 동향을 기술하였다. 특히, 머신러닝을 이용한 악성코드 분석 목적을 7개로 분류하였고, 악성코드 분석에 핵심이 되는 Key Feature들에 대해 소개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다양한 악성코드 분석 방법에 있어 새로운 Approach로 연결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Motion Sickness Measurement and Analysis in Virtual Reality using Deep Neural Networks Algorithm (심층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한 가상환경에서의 멀미 측정 및 분석)

  • Jeong, Daekyo;Yoo, Sangbong;Jang, Yu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5 no.1
    • /
    • pp.23-32
    • /
    • 2019
  • Cybersickness is a symptom of dizziness that occurs while experiencing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and it is presumed to occur mainly by crosstalk between the sensory and cognitive systems. However, since the sensory and cognitive systems cannot be measured objectively, it is difficult to measure cybersickness. Therefore, methodologies for measuring cybersickness have been studied in various ways. Traditional studies have collected answers to questionnaires or analyzed EEG data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However, the system relying on the questionnaires lacks objectivity, and it is difficult to obtain highly accurate measurements with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In this work, we apply Deep Neural Network (DNN) deep learning algorithm for objective cybersickness measurement from EEG data. We also propose a data preprocessing for learning and network structures allowing us to achieve high performance when learning EEG data with the deep learning algorithms. Our approach provides cybersickness measurement with an accuracy up to 98.88%. Besides, we analyze video characteristics where cybersickness occurs by examining the video segments causing cybersickness in the experiments. We discover that cybersickness happens even in unusually persistent changes in the darkness such as the light in a room keeps switching on and off.

사이버 보안관제 체계 문제점과 머신러닝 적용 기술 현황

  • Jung, il ok;Cho, chang seob;Ji, Jae-Won
    • Review of KIISC
    • /
    • v.31 no.3
    • /
    • pp.13-19
    • /
    • 2021
  • I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이버 공격은 더욱더 지능화 대량화 되고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전통적인 보안 접근만으로는 모든 위협을 탐지하고 분석, 대응하기에는 한계에 이르렀다. 이를 해결하고자 사이버 보안관제에 머신러닝 기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 및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보안관제 체계 및 문제점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를 해결하고자 적용된 머신러닝 기술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해당 기술이 보안관제에 성공적으로 적용되기 위해 고려해야 할 관리적 측면과 기술적 측면을 제안한다.

A Study of the activation learning that apply Ubiquitous (유비쿼터스를 활용한 학습 활성화에 관한 연구)

  • Lee, Soo-In;Lee, Ha-Yong;Yang, Hae-So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565-568
    • /
    • 2008
  • 우리나라의 경우에서처럼 인터넷 인프라 환경을 이용한 e-러닝은 교육인적자원부의 사이버가정학습을 시작하여, 사설 학원에서 수익모델로 많은 e-러닝 콘텐츠가 개발되어 상용화 되고 있다. 대학에서는 사이버 대학 및 사이버 과목을 수강하여 공식적인 학점으로 인정을 받은 단계는 정착화 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아직 활용도 차원에서는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지지는 않는 것으로 본문의 'e-러닝학습의 문제점'을 보면서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대학교육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e-러닝을 접목하여 새로운 교육의 패러다임을 적용한 u-러닝 활용방안을 연구하고 앞으로 e-러닝의 발전방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An Analysis on e-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Activities of Adult Learners in a Cyber University (사이버대학 성인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와 학습활동 분석)

  • Park, Jong-Sun;Lee, Young-Mi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3 no.4
    • /
    • pp.51-59
    • /
    • 2010
  • Many of learners in cyber universities have experienced the difficulties of learning and participation because they have never participated courses of cyber universities before. One of main reasons why they have experienced the difficulties was that they might have not received systematic guidances of university system as well as learning supports, depending on their readiness of e-learning. Otherwise, they may have lack of supports frequently and finally, fail to graduate. However, few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learning readiness of freshmen and enrollees in cyber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e-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activities of freshmen and enrollees of A cyber university and to support them more systematically and get them to succeed in studying. In the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freshmen and enrollees in basic competencies of cyber learning as well as interaction, task performance, and learning methods.

  • PDF

Designing Effective Prototypes for Establishing an e-Learning Center (이러닝 센터의 구축을 위한 효과적인 모형 설계)

  • Jang, Seok-Woo;Huh, Moon-Hae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9
    • /
    • pp.145-153
    • /
    • 2010
  • E-learning is cyber-education that gives open education to everyone by providing various contents through Internet and IT technologies, and it has been spreading rapidly. In this paper, we describes an effective prototype design scheme for establishing e-Learning center, centered on the case of A University, in order to overcome a lot of shortcomings related to cyber-education and to settle down efficient and systematic on-line realtime cyber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first analyzed the current status concerning e-Learning at A University. Learners and lecturers then participated in a survey so that we could find some problems on current e-Learning and prepare their solutions. We finally designed e-Learning center prototypes, and selected the prototype 2 as a best one and designed it in more details. The prototype made in this paper would be very useful to other institutes who want to establish a new e-Learning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