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이버보안 정책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5초

독립적인 보안관리 도메인간 효과적인 사이버보안정보 교환 방법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echanism for Effectively Exchanging Cybersecurity Information between Independent Security Management Domains)

  • 안개일;서대희;임선희;김종현;서동일;조현숙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2B호
    • /
    • pp.1489-1497
    • /
    • 2011
  • 현재 사이버보안 위협을 방어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서 보안 관리 도메인간 사이버보안 정보 공유를 통하여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보안 성능을 높이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사이버보안 정보를 교환할 때 큰 이슈가 되는 것 중의 하나는 각 도메인이 서로 독립적이기 때문에 정보공유에 관련된 각 도메인의 요구사항이 서로 다르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유정책과 공유정책제어 프로토콜을 통하여 보안관리 도메인의 정보공유에 관한 요구사항을 반영함으로써 사이버보안정보의 교환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사이버보안정보 교환 방법을 제안한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통합보안제어 시스템을 개발하고 그 시스템상에서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을 평가한다.

원전 통신망 사이버보안 체계 연구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Cyber Security for the Nuclear Power Plants)

  • 최영수;최유락;이재철;조재완;구인수;홍석붕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37-538
    • /
    • 2009
  • 원전 계측제어 시스템의 디지털화에 따라 개방형 시스템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개방형 시스템의 사용으로 인해 보안 취약성이 늘어나 통신망을 통한 해킹의 위험이 증가되고 있다. 원전은 다른 산업에 비해 경제, 사회적 영향이 크므로 원전의 운영중단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철저히 마련하여야 한다. 원전 통신망 사이버 보안을 위해서는 보안 환경의 정확한 분석을 통해 대책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사이버 보안에 대한 전체적인 틀은 보안정책의 수립, 보안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인력, 장비 및 기술을 포함한 사이버 보안 기술의 구현, 그리고 지속적인 보안 감시 및 관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원전 통신망 사이버 보안 체계 구축을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 PDF

미국 사이버안보 전략의 경향 분석과 한국에의 함의 (A Trend Analysis of in the U.S. Cybersecurity Strategy and Implications for Korea)

  • 배선하;송민경;김동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1-25
    • /
    • 2023
  • 미국은 바이든 정부 취임 후 대규모 사이버 공격이 잇따라 발생하고, 사이버안보를 국가 최우선과제로 강조하고 있으며, 미국뿐만 아니라 동맹 및 우방국의 사이버안보 강화를 위한 노력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2023년 3월에는 국가 사이버안보 전략을 발표하였는데, 연방정부 및 주요기반시설 보호, 국제협력을 통한 사이버공간의 악의적 행위자 및 위협국에 대한 추적 및 대가부과, 민간의 사이버보안 책임 강화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국가 사이버안보 전략은 사이버안보의 최상위 지침으로 공공-민간뿐만 아니라 국외 정책 방향도 포함하고 있어 국제질서에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우리나라는 2022년 새로운 정부가 출범하고, 2019년에 발간된 국가사이버안보 전략의 개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최근 한-미 협력이 강화되고 있으며, 사이버안보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핵심의제로 다뤄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바이든 정부의 사이버안보전략을 살펴보고, 기존의 트럼프 정부와 어떻게 달라졌는지 그 특징과 시사점을 정성적·정략적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정량적 분석을 위해서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 중 하나인 토픽모델링을 활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한-미 관계를 비롯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과 한국 사이버안보 정책에 주는 함의를 도출한다.

무기체계 수명주기 간 사이버보안 적용 개선방안 (A Study on Enhancing Cybersecurity of Weapon Systems for Life-Cycle)

  • 정용태;정현식;강지원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67-75
    • /
    • 2019
  • 최근 국방부는 무기체계를 사이버보안의 영역에서 무기체계를 포함하였다. 기존 정보화영역에 한정되었던 사이버보안의 대상에서 확대되고 진화된 개념이 적용되었다. 무기체계는 소프트웨어의 비중이 점차 늘어나고 있고, 사이버위협의 대상임에는 분명하다. 따라서, 사이버보안 측면에서 무기체계 수명주기간 문제점을 진단하여 무기체계 사이버보안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무기체계 사이버보안 발전을 위해서는 무기체계 소프트웨어 관리제도를 포함하여 종합적인 정책수립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와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주요국 사이버보안 거버넌스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Cyber Security Governance Analysis in Major Countries and Policy Implications)

  • 주문호;권헌영;임종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1259-1277
    • /
    • 2018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사이버위협이 일상화되었으며, 그 범위 또한 단순한 개인의 장난과 사이버 범죄 수준을 넘어 대규모 범죄조직과 국가 주체가 개입된 사이버 테러 및 전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빠르게 국가차원의 대응 전략을 세우지 않는다면 우리나라도 정보통신 강국에서 사이버보안 취약국의 지위로 순식간에 전락할 것이며, 우리의 발달한 정보통신망은 세계가 부러워하는 4차 산업혁명의 기반시설이 아니라 국민 생활에 큰 위협을 가져오는 공격의 매개체가 될 것이다. 국가적 차원에서의 사이버 보안은 민 관 군 등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여 다양한 분야의 위협정보를 신속히 공유하고 사고 예방을 위한 대비책을 마련하며 유사 시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때 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각 부처, 각 주체들의 역할과 책임, 권한이 명확하게 부여되어야 하며, 이를 관리 조율하며 소통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효과적인 국가 사이버보안 거버넌스의 수립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차세대 국가 사이버보안 거버넌스의 정립을 위해 최근 국가 사이버보안 전략을 발표하여 사이버보안 거버넌스 체계를 신속히 정비해나가고 있는 미국, 독일, 영국, 일본, 중국 그리고 한국의 사이버보안 전략, 법령, 조직 및 추진 부처별 역할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특히 실질적인 거버넌스 구성을 파악하기 위해 국가의 주요 사이버보안 기능 분류 기준을 제안하고, 해당 분류 기준에 따라 국가 사이버보안 기능별 담당기관과 수행 전략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해당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사이버보안 거버넌스 개선을 위한 시사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정책기반 네트워크 보안 관리 (Network Security Management Based on Policy Management)

  • 이수형;김진오;장범환;나중찬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0권1호통권91호
    • /
    • pp.22-32
    • /
    • 2005
  • 기존의 사이버 공격은 특정 호스트나 서버를 목표로 하여 정보의 탈취 및 변경 등에 집중되었으나, 현재는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과다 트래픽을 유발하여 네트워크 서비스를 마비시키는 방향으로 그 경향이변하고 있다. 이런 사이버 공격을 방지하여 네트워크의 안정적인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는 공격 징후나 이상 징후를 탐지하고 네트워크 차원에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결정하여 이를 네트워크 상에 강제할 수 있는 체계적인 보안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네트워크 각 운용 주체별로 개별 보안 상황에 대해 적용할 보안 정책이 다르므로 이를 모델링하고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책 기반 네트워크 보안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공격 및 이상 징후의 탐지, 그에 대한 대응과 이런 일련의 작업에 보안 정책을 강제하기 위한 보안 정책관련 연구 동향에 대해 다루도록한다.

정보보안체계 운영경험 진단을 통한 국가 사이버보안 거버넌스 모델 연구 방법 (A Building Method of Designing National Cyber Security Governance Model Through Diagnosis of Operational Experience)

  • 방기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205-21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국가 전략적 차원에서 보안 거버넌스를 효율화시키기 위한 새로운 개념의 정보보안 거버넌스 모델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우리의 운영 경험을 진단하고, 새로운 모델 설계 방법을 도출하였다. 그동안 국가 정보보안 활동은 지식 전달 위주로 인식되었고 활동의 동기 부여와 실행력 확보가 취약하였다. 결과적으로 보안 사각 지대가 늘어나고 대형 보안 사고가 빈발하여 해결이 필요한 과제로 대두되었다. 국가 사이버보안 거버넌스는 국가 리더의 책임하에 상단의 정책에서 하단의 실행까지 총체적으로 시스템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같은 접근 방법에 기반하여 한국형 보안 거버넌스 모델의 종합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이를 비전, 목표, 과정, 수행 등 4개의 아키텍처 설계로 구체화시킴으로써 국가 거버넌스 모델 설계의 기반을 도출하였다. 라이프 사이클 흐름상의 문제점 진단, 환경변화에 기초한 보안 정책, 모든 주체의 참여가 반영되는 새로운 틀에 대하여는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외 클라우드 보안 정책 비교를 통한 보안 강화 연구 (Security Enhancement through Comparison of Domestic and Overseas Cloud Security Policies)

  • 이상웅;박문형;이선아;박원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8-270
    • /
    • 2021
  • 최근 코로나19 팬데믹 이후로 인터넷 사용량이 급증하고 기업들은 재택근무로 변화되면서 온프라미스 환경에서 빠르게 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 되었다. 또한,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고 게임이나 인터넷, 넷플렉스 등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한 네트워크 트래픽 급증과 동시에 사이버공격이나 위협들도 많아 지고 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미국, EU, 일본 등 세계 여러나라에서는 다양한 클라우드 보안 정책을 가지고 있으나 다양한 취약점과 사이버공격 등으로 피해를 지속 당하고 있다. 본 논문은 현재 각 나라의 클라우드 보안 정책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클라우드 보안 정책을 강화 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국가 사이버보안 전략 수립과 개선을 위한 참조 모델 개발 (Developing Reference Model for National Cybersecurity Strategy Establishment and Improvement)

  • 윤재석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53-61
    • /
    • 2016
  • 많은 국가들은 사이버위협으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사고 발생 시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국가차원의 사이버보안 전략을 수립하여 이행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 사이버보안 전략은 해당 국가가 처한 환경과 필요에 따라 그 수준과 범위에 있어 상당한 편차를 보이고 있다. 어느 한 곳의 취약점은 전 세계적인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국가 사이버보안 전략 수립을 지원하고 개선하기 위해 국제기구를 비롯한 관련 기구, 기관에서 다양한 지침서가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 사이버보안 전략 수립을 위해 발표된 각종 지침서를 분석하고, 주요 공통요소를 도출한 참조 모델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를 우리나라 정책과 비교하여 미흡한 부분에 대한 보완대책을 제안하였다.

사이버 보안관제 체계 문제점과 머신러닝 적용 기술 현황

  • 정일옥;조창섭;지재원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3-19
    • /
    • 2021
  • I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이버 공격은 더욱더 지능화 대량화 되고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전통적인 보안 접근만으로는 모든 위협을 탐지하고 분석, 대응하기에는 한계에 이르렀다. 이를 해결하고자 사이버 보안관제에 머신러닝 기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 및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보안관제 체계 및 문제점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를 해결하고자 적용된 머신러닝 기술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해당 기술이 보안관제에 성공적으로 적용되기 위해 고려해야 할 관리적 측면과 기술적 측면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