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육체계

Search Result 9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조사료의 생산 및 이용기술

  • 박근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Conference
    • /
    • 1998.04a
    • /
    • pp.63-94
    • /
    • 1998
  • 반추동물에게 조사료는 일정량 이상은 반드시 급여하여야 하나 우리나라에서는 노동력 부족과 기계보급이 저조하여 조사료 생산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많은 농가에서는 볏짚과 농후사료 위주의 사양을 하고 있으며 부족한 부분은 도입 조사료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조사료에 비하여 농후사료의 이용비율이 높은 우리의 실정으로 볼 때 IMF의 구제금융 지원에 따른 환율의 급등은 도입사료 곡물가격의 상승으로 우리나라 축산업의 기반을 약화시키고 있다. 소 사육을 위해서는 양질조사료 생산이 필수적이므로 우리의 유휴 농경지를 이용하여 보다 값싼 조사료를 많이 생산하여 경쟁력 있는 축산물을 생산하는 것만이 이 어려운 시기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양질 조사료 생산은 그 지역에 가장 적합한 사료작물을 선정하고 가장 합리적인 작부체계를 이용하여 단위 면적 당 생산량을 최대로 높이고 농가의 경영형태에 알맞은 이용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중략)

  • PDF

Prevalence and Infection Status of Salmonella in 25 Conventional Swine Farms in Korea (국내 25개 양돈장의 살모넬라 유병율 및 감염유형)

  • Park, Choi-Kyu;Kim, Hee-Jung;Kim, Jin-Hyun;Cho, Jae-Keun;Kim, Young-Hwa;Jung, Yoon-Soo;Bae, Chae-Wun;Park, Jun-Cheol;Kim, In-Cheul;Kim, Ki-Seuk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3 no.10
    • /
    • pp.1267-1272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and infection status of Salmonella species (spp.) in 25 conventional pig farms by traditional fecal culture and serological methods to develop a Salmonella control program for Korean pig farms. The individual seroprevalence of Salmonella spp. in pigs reared in the 25 pig farms was 83.1% in sows and 6.4-32% in different aged pig groups, with the total seroprevalence 28.4% (141/848). The seroprevalence of the tested pigs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decrease in maternal antibody and the rearing period on these farms. Of note, all the 25 pig farms contained at least two or more anti-Salmonella antibody-positive sows. In the fecal cultures Salmonella spp. were isolated only in three (12.0%, 3/25) of 16 serologically Salmonella-suspected farms (64.0%, 16/25), showing the limitation of the fecal culture method and the need for serum assays to understand the exact status of Salmonella infection in swine herds, which likely contain subclinically infected pigs or carriers. The results highlight the need to establish a supply system of Salmonella-free gilts for the promotion of a national Salmonella control program on swine farms in Korea.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develop an effective monitoring system for the implementation of a national Salmonella control program.

Comparative Analysis of Mortality Number Before and After HACCP System Implementation in Different Scales of Swine Farm (양돈농장 규모에 따른 HACCP 제도 적용 전과 후에 따른 폐사두수 비교분석)

  • Park, Min-Gil;Nam, In-Sik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26 no.3
    • /
    • pp.453-462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mortality number of swine between before and after HACCP implementation on different scales of swine farm. The study was carried out by randomly selected sixty swine farms (twenty small, twenty midium and twenty large scales of farm) located in all around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small scale swine farm, The mortality number due to respiratory, diarrhea and accidental death tended to be decreased compared to before HACCP implementation. In the case medium scale farm, the mortality number due to diarrhea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HACCP compared to before HACCP. Also, in both medium and large scale farms, the number of total mortality number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HACCP implementation. We believe that this effect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HACCP prerequisite program. We are expecting that our results might be used for producing safer livestock products by improving livestock products HACCP policy.

Analysis of Microsatellite DNA Polymorphisms for Pedigree Verification in Kyungju Dog(Dongkyung-i). (경주개(동경이)의 혈통확인을 위한 microsatellite DNA 다형성 분석)

  • Lee, Eun-Woo;Choi, Seog-Gyu;Cho, Gil-Jae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8 no.6
    • /
    • pp.902-906
    • /
    • 2008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microsatellite DNA poly-morphisms for pedigree verification in Kyungju dog (Dongkyung-i) which is one of the Korean breed dogs. A total of 51 Dongkyung-i samples were genotyped using 8 microsatellite markers. The number of alleles observed at single locus ranged from 4 to 12, with average number of alleles per locus of 8.5. The expected heterozygosity and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s (PIC) values of the 8 microsatellite loci were $0.6162{\sim}0.8746$ (mean 0.7587) and $0.5461{\sim}0.8512$ (mean 0.7167), respectively. Of the 8 markers, PEZ3, PEZ6, PEZ12 and FHC2054 loci had relatively high PIC values (>0.7) in Dongkyung-i. Pedigree verification of Dongkyung-i was analyzed based on alleles observed. The results of the parentage testing were not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with breeders. These results show basic information of conservation and research in Dongkyung-i, and further studies of genetic pedigree in Dongkyung-i will be needed.

Establishment of Cropping System for Organic Forage Production in Middle Region of Korea (중부지역에서 유기조사료 생산을 위한 작부체계 확립)

  • Park, Jun-Hyuk;Yoon, Ki-Yong;Park, Sang-Soo;Noh, Jin-Hwan;Lee, Ju-Sam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19 no.3
    • /
    • pp.373-384
    • /
    • 2011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election of regional double cropping system for production of organic forage in middle part of Korea and investigated their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stock carrying capacity. The test results proved the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was 10.9 $ton{\cdot}ha^{-1}$, the one of Rye + Red clover and Rye + Hairy vetch were the highest one as 3.3 $ton{\cdot}ha^{-1}$ and the relative yield about a Rye is higher in the dry matter yield in the field soil. And as for the relative forage values (RFV), Corn is the most excellent ones as 96.6 but there were no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of 84.4 and it.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content in Rye + Hairy vetch is higher than others as 59.7%. As for the relative feed value, Rye + Red clover is the highest one as 83.8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As for the ability to raise livestock in the field soil, the average values of $K_{CP}$ and $K_{TDN}$ are shown as 4.27 head/ha/yr in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As for the same crops, the average values of $K_{CP}$ and $K_{TDN}$ showed the highest ones as 1.74 head/ha/yr, in Rye + Red clover but there were no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s for the dry matter yield of the rice field soil, organic rice straw was 3.3 $ton{\cdot}ha^{-1}$ and Rye + Red clover significantly showed the highest values as 4.1 $ton{\cdot}ha^{-1}$. In the rice filed soil,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organic rice straw was 3.1% and the TDN content of organic rice straw was 55%. The TDN content in Rye + Red clover was higher than others as 59.7%. As for the relative forage values, Rye + Red clover showed the highest one as 83.8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As for the ability to raise livestock in the rice field, the average values of $K_{CP}$ and $K_{TDN}$ in the organic rice straw was 1.04 head/ha/yr and the average values of $K_{CP}$ and $K_{TDN}$ in Rye + Red clover is the highest one as 1.84 head/ha/yr,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of them.

The Recycling of Nutrient Balance from Small Oranic farming System in Korea (소규모 유기농가단위 경축연계 자원순환 모델연구(I))

  • Yoon, Sung-Hee;Park, Dong-Ha;Choi, Si-Young;Kim, Jeo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307-307
    • /
    • 2009
  • 우리나라에서 농가단위 경축순환농업 모델에 대한 조사와 농장내 순환구조에서 양분수지를 조사한 사례도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경축연계 자원순환 유기농업농가의 실천사례 발굴하고, 실천모델별 축산형태 및 경종형태를 조사하여 경종부분의 양분순환과 양분수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발굴된 농가단위 경축순환농업 사례는 3가지 형태로 모두 한우를 11~21두 범위에서 사육하는 동시에 $15,510m^2$의 밭농사를 수행하는 농가, $8,019m^2$의 밭농사와 $8,250m^2$ 논농사를 동시에 수행하는 농가, $26,400m^2$의 논농사만 수행하는 농가들이었다. 각 모델에서 배합사료는 모두 외부에서 구입하고 있었으며 조사료의 자급율은 25 ~ 100%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한우 20두와 논농사 $26,400m^2$를 경영하는 농가에서 조사료(볏짚)의 100%를 자급하였고 동시에 한우사육과정에서 발생한 자급퇴비를 전량 논농사에 사용하여 유기농 벼농사를 유지하고 있었다. 밭농사를 함께 수행하는 농가에서는 자급퇴비 외에 외부로부터 유박비료 및 발효유기질비료를 구입하여 양분을 충당하고 있었다. 각 농가의 토양이화학성을 분석한 결과 pH는 5.49~7.61, 유기물 함량은 1.37~1.40%, 유효인산 함량 253.32~329.63 mg/kg, 칼륨 0.24~0.3, 칼슘 3.97~10.1, 마그네슘 0.89~1.77 $Cmol^+$/kg, CEC는 7.92~11 $Cmol^+$/kg 이었므며 토양내 잔류농약은 검출되지 않았다. 농가별로 발생한 우분퇴비의 성분 분석결과는 전질소 0.68 ~ 0.73%, 전인산 0.68 ~ 0.86%, 칼륨 0.70~0.78% 수준이었다. 각 사례농가별 투입한 실제시비량, 토양분석결과와 사용된 자재의 성분 분석결과를 이용한 시비처방법에 따른 시비량 및 표준시비법에 따른 시비량을 산출하여 3요소의 양분수지를 계산하였다. 이와 함께 유기질비료의 무기화율을 감안한 시비량도 산출하였다. 양분수지를 분석한 결과 3농가 모두 실제시비량은 3요소 모두 초과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인산과 칼륨이 2배정도 초과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투입된 자급퇴비 및 유기질비료의 무기화율을 감안한 시비량으로 환산할 경우에는 질소성분이 3농가 모두 부족한 것으로 산출되었으며, 인산과 가리 성분은 충분하거나 초과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농장내 축산경영을 통해 발생하는 자급퇴비만을 이용할 경우에 경종부문의 양분수지를 산출한 결과를 보면 실제시비량 기준으로 질소는 56~186%, 인산은 90~346%, 칼륨은41~221%로 양분수지가 달라졌으며, 무기화를 감안한 기준으로는 질소는 16~53%, 인산은 52~197%, 칼륨은 41~221%로 양분수지가 달라졌다. 소규모 유기농가단위 경축연계 자원순환 모델 연구를 통해 유기경종농업이 유지될 수 있으나, 3요소별 양분수지의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유기질비료의 특성상 무기화율을 감안한 시비량을 적용할 경우에는 질소 성분의 부족과 동시에 인산, 칼륨 성분의 과다가 예측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성분의 불균형을 조정할 시비체계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의 "유기가축사양 및 유기 순환체계모델" 연구사업의 세부과제로 수행한 1년차 결과입니다.

  • PDF

저온기 육용계사의 적정 환기체계 구명

  • 이덕수;나재천;최희철;송준익;이상진;김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Poultry Science Conference
    • /
    • 2002.11a
    • /
    • pp.108-109
    • /
    • 2002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ind out the suitable ventilation system of the broiler house in winter season in Korea. Ammonia (NH$_3$-N) gas concentration (4.2ppm) of the system of pipe air inlet-forced chimney outlet was lower than that of the system of side wall inlet. The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s in the house equiped with pipe air inlet-chimney exhaust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ventilation systmes in which the average daily gain, feed efficiency and heat cost per head in the system of pipe air inlet-forced chimney excretion were 45.6g, 1.71 and 35.4 won per head, respectively. When the lengths of pipe air inlets were compared, the wind speed from the 4 meter-inlet was highest. The temperature of the broiler house equipped with the pipe air inlet system was higher (5.9 ∼ 7.7$^{\circ}C$) than that of the curtains in side wall Inlet system, in which the pipe air inlet system expects the lower heat cost.

  • PDF

Current Status and future of Vermicomposting Industry in Korea (지렁이 퇴비화 운영사례 및 개선방향)

  • Kim, Jong-Oh;Lee, Chang-Ho;Choi, Hun-Gun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9 no.4
    • /
    • pp.89-98
    • /
    • 2001
  • Present vermicomposting technology needs the broad land. Because of the high land cost, the land saving technology such as multistage must be needed. And present operation practices are mostly based on human power, mechanization and automation is needed. Also, present control practices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 need the scientific base control system. Even though the rough estimation of organic waste treatment showed that vermicompostiong could obtain more benefits than costs. But, the estimation is based on an ideal case without considering the technical and market. Generally, vermicomposting is considered as the more expensive technology than composting. Therefore, the practical proof the economic factor would be the most important to the market increase. Vermicomposting as the recycling technology has better condition than incineration and landfill. Propagation and advocating focused on its environmentally sound aspects would be needed continuously. Especially, demonstration and distribution of household vermicomposting would be a good approach. Vermicomposting facilities area was becoming larger, and earthworm feeding materials were also expanding to various organic sludges. These trends showed that vermicomposting is being enlightened to treat and recycle the organic wastes.

  • PDF

산란계 사료의 영양수준과 개선대책

  • 강창원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15 no.2
    • /
    • pp.115-145
    • /
    • 1988
  • 우리나라 축산업이 과학적인 축산으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선도적 역할을 해온 것이 양계분야인 만큼 생산성적에 있어서도 어느 타 선진국에 뒤지지 않을 만큼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사료원료의 해외 의존도가 높고 개방경제시대에 접어들음으로서 외국의 양계산물과 경쟁을 벌리게 되는 이 시점에서 생산비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사료를 가장 경제적으로 이용함으로서 생산 효율을 극대화시킬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 우리나라의 년 중 기온차이가 심하고 대부분의 산란계가 유창계사에서 사육되고 있는 만큼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에 맞추어 계절 사양을 함으로서 하절기에는 영양소 결핍현상을 방지하고 동절기에는 영양소 과다 섭취로 인한 영양소 허실을 줄일 수 있다. 난중에 따른 난가 형성이 되는 시장 상황에서 난중을 조절함으로서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비록 난중이 생리적인 현상에 의해서 결정되지만 닭이 섭취하는 아미노산과 지방의 함량을 증감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난중조절이 가능하다. 산란율과 난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는 산란계의 체중이 작을수록 경제성이 있다. 가급적 육성기간중의 사료비를 줄이고 성계 체중을 줄이는 방법으로 육성기간중의 사료비를 줄이고 성계 체중을 줄이는 방법으로 육성기간중 단백질 점증법이 시험되고 있다. 이러한 육성체계를 보급화 하기에 앞서서 좀 더 많은 비교 시험이 필요하리라 본다. 사료 원료의 영양가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은 닭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한 필수조건이 된다. 단지 영양성분의 화학분석만으로 사료배합에 임하지 말고 생물가를 측정함으로서 닭이 섭취하는 영양소의 이용률이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 PDF

사슴, 축산법상 개량대상 축종 건의 - 농림부 입법 예고서 사슴 제외, 본회 및 농협중앙회 공동 건의-

  • 한국양록협회
    • Korean Deer Journal
    • /
    • v.8 no.6 s.54
    • /
    • pp.153-157
    • /
    • 2003
  • 농림부가 올해 12월27일부터 개정될 축산법 시행령, 시행규칙 개정령(안) 중에서 개량대상 축종에 오리와 개가 신규 포함된 반면, 사슴이 빠져 있어 논란이 예상되고 있다. 본회 김수근 회장은 '사슴은 이미 사육가구수와 마리수에서 소, 돼지, 닭에 이어 4대 축종에 거론될 만큼 상당한 규모를 자랑하는데 이번 축산법 개정에서조차 개량대상 축종에서 제외된다는 것은 말도 안되는 불합리한 처사'라 반발하며 사슴도 축산법상 정식 개량대상 축종에 포함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달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농림부 해당부서 관계자는 '사슴이 개량대상 축종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요지의 공문과 자료를 관계부서에 제출하면 심의를 거쳐 대상 여부를 결정짓겠다'고 밝혔다. 이에 본회에서는 공문을 통해 농림부 해당부서에 '축산법 시행규칙에서 정하는 개량대상 가축에 사슴이 제외되어 있어 체계적인 개량사업 추진에 차질이 예상된다'고 밝히고 사슴을 정식 개량대상 축종에 포함시켜달라고 건의했다. 한편 농협중앙회는 '농림부 축산법 개정안에서 사슴이 개량대상 축종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뜻밖의 일'라고 밝히고 농협중앙회 차원에서도 사슴이 개량대상 축종에 포함될 수 있도록 농림부에 건의키로 했다. 농협중앙회 역시 타당성 근거를 위해 본회에 사슴 개량에 관련된 자료를 요청했으며 본회에서는 즉시 농협중앙회측에 자료를 발송했다. 아래는 본회가 농림부에 보낸 공문 및 사슴 개량 관련 자료.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