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업계획서

Search Result 9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Business Planning and Starting up a Business in Korea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창업 및 사업계획에 대한 연구)

  • Koh, In-Ko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7 no.2
    • /
    • pp.1-8
    • /
    • 2012
  • Recently the youth starting up a business has become a buzzword. Business plan is a fundamentals in starting up a business. Therefore,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business plann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Especially, I investigated whether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dealt with business plan inside and outside or not, and examined university students' thought whether corporate performance is related to business plan or not, and if any, how closely they are. Meanwhile, existing studies and books are arguing that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business plan and corporate performance, however, there are not many domestic and/or foreign studies that analyzed it empirically. In order to find an answer to this problem, this study was approached empirically. First, the components of business plan were selected through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including existing researches and through factor analysis, I classified them into the five factors of product management, product development, management support system building,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macro planning. Also, I classified corporate performance int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formance, and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business plan factors on those performances. As a result, I found be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thought that the business plan components affecte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formances of corporate positively. Second, Korean students had high interests in starting up a business and wanted to run a service business but had almost no experience of business planning. Whilst, Foreign students had relatively high interests in starting up a business and experiences of business planning. They wanted starting up in various industry also. Meanwhile, I did't find the gender differences in those aspects. In this study, I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business plan components and corporate performances in the university students' view, not that of company. So I believe that this study can shed lights on the direction of effective starting up education for increasing the success rate of youth starting up a business.

  • PDF

농산업 예비창업자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 정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변은희;허철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04a
    • /
    • pp.101-116
    • /
    • 2023
  • 본 연구는 농산업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자기결정성정도를 조절변수로 하여 창업환경과 창업역량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창업환경을 인지된지원과 인지된장벽으로 구분하고 창업역량의 하위변수를 창의성, 문제해결, 의사소통, 마케팅 및 사업계획서를 하위변수로 설정하였다. 수집된 설문지 253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v25.0과 Process macro v4.2를 이용한 분석결과는 첫째, 창업환경의 인지된지원과 인지된장벽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창업역량의 창의성, 문제해결, 마케팅 및 사업계획서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나 의사소통이 미치는 영향은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결정성정도는 창업환경의 인지돤지원 및 인지된장벽과 농산업 창업의도 간을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자기결정의 수준은 창업 환경과 창업 의도 사이의 관계에는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한다. 셋째, 자기결정성정도는 창업역량의 창의성, 문제해결, 의사소통, 마케팅 및 사업계획서와 창업의도 간을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자기결정성정도가 커질수록 창의성, 문제해결, 마케팅 및 사업계획서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정(+)의 방향으로 강하게 하는 강화작용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자기결정성정도가 커질수록 의사소통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가 약해지는 자기결정성정도가 완화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 연구로는 창업환경과 창업역량을 설명할 수 있는 다른 요인들의 탐색과 새로운 매개변수와 조절변수가 포함된 조건부과정모형을 통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DB제작을 위한 계획수립과 추진방법 - 문헌 DB를 중심으로

  • Lee, Chang-Han
    • Digital Contents
    • /
    • no.8 s.3
    • /
    • pp.40-45
    • /
    • 1993
  • "본 글에서는 실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단계 중 첫번째인 기획단계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브시스템들의 기본적인 설계 방향과 이들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조직, 인력, 예산 등을 설정하는 개념설계 방법을 설명하고, 이에 기획안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사업계획서 작성방법에 관하여 주로 인하우스DB에 촛점을 맞추어 앞으로 3회에 걸쳐 소개하고자 한다."

  • PDF

B2B 추진현황

  • 황철호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2002.01a
    • /
    • pp.38-42
    • /
    • 2002
  • 산업 환경 분석 국내 파스너 산업을 둘러싼 전반적인 환경을 분석하여 문제점 및 당면과제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파스너 산업의 발전 방향을 도출함으로써 사업 방향을 설정하는데 목적이 있음. 산업 환경 분석은 기존의 사업 계획서 및 각종 관련 문헌, 임원진 및 실무 추진인력과의 개별 면담 등을 통한 자료를 기초로 SWOT, 3C 등의 기법을 적용하여 수행.(중략)

  • PDF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roposal Works for PPP Project: Focused on Operation and Maintenance Cost (민간투자사업의 제안서 작성 업무 개선에 관한 연구 - 운영관리비 산정 업무를 중심으로 -)

  • Koo, Ja Kyung;Lee, Dong Wook;Shim, Myung Seob;Lee, Tai Si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6D
    • /
    • pp.655-662
    • /
    • 2010
  • As the national competitive power indicator, the infrastructures have been constructed with government's SOC budgets. However, even SOC budget is decreased,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ject (PPP project) has been introduced to solve demands on extending infrastructures, and among PPP projects, road projects take high por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operation & management item of financial model which is connected to the O&M cost and project proposal of previously proposed road project and analyzes the Korea Expressway Co.,'s project cost items and O&M task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road projects. Based on results, this study suggests necessity of the O&M cost breakdown structure and the cost calculation standard on each cost item. Also, for the existing task execution tools, O&M cost calculation tool and finance analysis task tool will be integrated, and the system is suggested web-based system. Thus, it is expected that it contributes to the securing overall business values on PPP project and expending profit-base infrastructures.

Development of the draft guidelines of the decommissioning plan for a nuclear power plant in Korea (국내 원자로시설 해체계획서 세부 작성지침(안) 개발)

  • Lee, Jungmin;Moon, Joohyun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11 no.3
    • /
    • pp.213-227
    • /
    • 2013
  • It is essential to prepare the decommissioning plan for a nuclear power plant (NPP) for the safe decommissioning of the NPP, minimization of the generation of decommissioning wastes, and protection of human beings and environment. Although Kori unit 1 and Wolsong unit 1 will be destined to their decommissioning in Korea in the near future. there is no provisons about preparing the decommissioning plan. In this paper, therefore, the draft guidelines of the decommissioning plan for a NPP were developed by considering the domestic situation,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es of the regulatory guidelines of the decommissioning plan in U.S., U.K. and France. The draft guidelines ar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to modify the domestic laws and regulations on the decommissioning of the NPP, and to give a license holder in charge of decommissioning the detailed instructions for preparing it in advance.

Functions & Activities PHN (보건간호원의 기능과 직책)

  • 대한간호협회
    • The Korean Nurse
    • /
    • v.5 no.5 s.25
    • /
    • pp.77-80
    • /
    • 1966
  • 보건 간호 사업은 독특하고 중요한 공헌을 하는 보건 간호원이 그 기관의 조직체 내에서 조화되어야 한다. 보건 간호원의 기능은 교육 정도와 경험에 의해서 선정된다. 어떤 보건 간호원은 다른 보건 간호원들이 보건 기관에서 관리자나 감독 혹은 강사 자격으로 일할 때 평 직원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보건사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좋은 건강을 통하여, 보다 나은 생활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팀으로서 목표 달성을 위하여, 계획을 세우고 그 발전과정을 평가함에는 계획서가 필요하다. 제한된 인원으로서 중요한 건강사업을 실행해야 되는 보건 간호원은 조직된 집단과 같이 일해야 된다. 당면한 보건 간호원의 기능 중 중요한 것은 환자의 건강 지도 및 훈련과 행정이 포함되고 있다.

  • PDF

2008년도 항공우주부품 기술개발 신규사업 소개(4)

  • Korea Aerospace Industries Association
    • Aerospace Industry
    • /
    • s.98
    • /
    • pp.16-21
    • /
    • 2008
  • 한국항공우주기술연구조합은 지식경제부 항공우주부품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07년 12월부터 2개월간 수요조사를 실시하여 총 31건에 대한 사업 제안을 받았으며, 기술전문위원회의 평가결과 우선지원 대상사업으로 10건, 예비지원 대상사업으로 3건을 선정하여 지식경제부 공고 제2008-21호로 3월 24일에 공고하였다. 공고된 지원 대상사업에 대해서는 4월 15일까지 사업계획서를 접수하여 각 사업별로 주관기관을 선정할 예정이다. 선정된 주관기관과 5월 말까지 협약을 체결하고 1차년도 정부출연금(약 43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에 항공우주부품기술개발사업의 신청방법과 2008년도 우선지원 대상사업인 10개 과제에 대해 소개 하고자한다.

  • PDF

Exploring the Innovation Direction by Keywords Analysis of College Innovation Support Project's Major Programs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주요 프로그램의 핵심어 분석을 통한 전문대학의 혁신 방향 탐색)

  • Kim, H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365-366
    • /
    • 2022
  • 본 연구는 1주기 전문대학혁신지원사업에 참여한 전문대학 중에서 주요 대학의 혁신 사업목표 및 프로그램의 주요 핵심어들을 분석하여 향후 혁신지원사업의 방향과 성관관리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2주기 혁신지원사업은 학령인구 급감과 사회변화에 대응하여 대학의 경쟁력을 추진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1주기 전문대학혁신지원사업 자율협약형 전문대학들 중 50개 대학의 사업목표 및 프로그램의 핵심어 및 연결성 등을 분석하여 워드클라우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각종 정부재정지원 사업 계획서를 분석하여 그들간의 중복성과 연계성 등에 대한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 PDF

고흥등록송아지 경매사업 추진계획

  • 손영석
    • 한우개량
    • /
    • no.6 s.26
    • /
    • pp.24-27
    • /
    • 2000
  • 고흥지역은 전국최대 송아지 생산기지로서 최근 수입개방 우려로 번식우 사육기반 붕괴를 초래해 고흥축협에서는 안정된 밑소생산기반을 확립하고 번식농가 소득증진과 형통 등록송아지의 우수성 홍보 및 어미소 정정을 통한 고흥유지한우의 체계적인 생산을 하고자 송아지 경매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고흥축협에서 관리하고 있는 혈통등록 우 이상 관리두수는 5000여두로 밑소생산은 아직 여분이 있는 만큼 우리회원농가(비육농가)가 좀더 쉽게 개량이 입증된 우량 송아지를 구입할 기회를 갖고져 본 추진계획서를 소개합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