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서교사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31초

학교 도서관의 현실적 매력

  • 이덕주
    • 도서관문화
    • /
    • 제38권4호통권305호
    • /
    • pp.30-42
    • /
    • 1997
  • 필자 이덕주 선생은 서울시사서교사협의회와 서울중등학교도서관교육연구회 사립학교 담당 총무, PC통신 하이텔네에 있는 작은모임 ‘학교도서관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대표를 맡고 있다. 학교도서관에 대한 오해에는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들의 현실에 대해 정확히 알리지 못한 사서교사들의 책임도 있다고 보아 이 글을 썻다고 한다. -편집자주

  • PDF

사서교사의 학교도서관 유튜브 운영 활성화 방안 (A Study of Activating Plans for YouTube Channels of Teacher Librarians in School Libraries)

  • 성유경;최상기;김선태;오효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63-185
    • /
    • 2021
  • 사상 초유의 팬데믹 사태를 맞아 학교도서관 역시 주로 대면 활동에 국한되었던 기존 서비스와는 차별화된 온라인 환경에서의 비대면 서비스 제공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는 유튜브 채널 운영을 활용한 학교도서관 서비스를 위한 기초 연구로, 실제 유튜브 채널을 운영 중인 학교도서관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FGI)을 실시하여 이들의 유튜브 운영 경험을 통한 학교도서관 서비스 인식, 필요성 그리고 구체적인 요구 내용 등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학교도서관 유튜브 운영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 1) 유튜브 채널 홍보 확대, 2) 학교 도서관 유튜브 체제 확립, 3) 교육청 차원의 지원, 마지막으로 4) 사서교사 차원의 개인적 노력의 4가지 관점으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후속 면담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된 활성화 방안이 현재 유튜브 운영하고 있는 사서교사의 업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제안인지 검증하였다.

초등학교 학교도서관의 북 큐레이션 운영 현황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of Book Curation in Elementary School Library)

  • 곽순임;오의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415-422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북 큐레이션의 현황, 북 큐레이션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한 인식 태도를 조사하여 향후 북 큐레이션 서비스의 개선 방안을 논의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51명의 경기 지역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북 큐레이션의 운영 현황을 설문형식으로 조사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86.3%가 북 큐레이션 운영 경험을 가지고 있었고, 둘째, 북 큐레이션 서비스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주제의 자원을 소개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셋째, 북 큐레이션의 주제는 도서 관련 행사와 사회적 이슈를 반영하여 선정하며, 넷째, 사서교사들은 북큐레이션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고 서비스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마지막으로, 북 큐레이션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인식은 높지만 공간과 예산의 부족 등으로 운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이 연구가 북 큐레이션의 실제를 보고하는 데이터로 학술적 기여가 있으며, 도서관의 자원이 사장되지 않고 이용자와 적극적으로 매칭되기 위하여, 사서교사의 전문적 교육, 교육과정과의 연계 등이 필요하며, 향후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공통적으로 제기된 문제를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비정규직 사서교사의 일상과 사회의 의식개혁

  • 김보영
    • 도서관문화
    • /
    • 제45권5호통권348호
    • /
    • pp.24-29
    • /
    • 2004
  • 학교 교사의 끝, 길고 좁은 골마루의 끝부분, 보일러실의 옆, 1층이라고 하지만 반 지하, 굳게 잠겨 있는 자물쇠, 출입문을 열면 학교도서관(교실 두 칸 정도 규모의 도서실이지만 학교도서관이라고 통칭하자.)은 모습을 드러낸다. 코를 자극하는 오랜 된 책 냄새, 잔뜩 쌓인 먼지,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책, 훼손된 책, 여름 장맛비에 잠겼다가 말라서 부풀어 오른 책, 곰팡이 핀 책, 어떻게 분류해 놓은 것인지 도저히 알 수 없는 서가배열, 어디서부터 손을 대어야 좋은지 모를 곳, 이런 곳이 학교도서관의 주소였다. 그런 학교도서관을 새 단장하는 일이 대부분 비정규직 사서교사의 몫이다.

  • PDF

사서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중학생의 학교도서관 만족도와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Teacher-Librarians' Autonomy Support on Middle School Library Users'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The Mediating Role of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

  • 김지원;박지홍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9-87
    • /
    • 2021
  • 본 연구는 사서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학교도서관 만족도와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결정성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을 적용하여 사서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학교도서관 만족도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욕구(basic psychological needs)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331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귀분석 및 Hayes의 병렬다중매개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사서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직·간접적으로 학생들의 학교도서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기본심리욕구의 하위요인 중 자율성과 유능성은 사서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학교도서관 만족도 사이에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의 학교도서관 만족도는 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학교도서관 이용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써 사서교사의 역할을 제시하고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사서교사의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 수업 효과에 관한 연구 - 고교학점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er Librarians'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Classes: Focused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강봉숙;박주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79-19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사서교사의 공동교육과정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 교육 수업 사례를 고찰하여 사서교사의 교육적 역할을 소개하고 검증하는 데 있다. 해당 수업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 두 명의 사서교사가 개설한 2개의 34차시 공동교육과정이다. 수업은 공통적으로 진로 또는 교과와 융합된 탐구 문제를 개별 학생이 스스로 설정하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을 사서교사가 미디어 정보 활용 과정에 따라 지도하였다. 참여자는 과목을 이수한 대구의 고등학생 중 사전 사후에 모두 설문지를 작성한 22명이다. UNESCO에서 발표한 MIL의 구성요소인 접근, 평가, 생성의 하위 42개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통해 전체 수업 전후 각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고 수업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3개 요소 모두, 그리고 하위 42개 항목 중 25개 항목에서 수업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사서교사의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학생의 리터러시가 향상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미래 교육과정 흐름 속 사서교사의 교육적 역할의 효과에 대한 인식 저변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학교도서관 장서개발과정에 관한 현상적 연구: 사서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A Descriptive Study on the Collection Development Processes in School Libraries: Based on the Interviews with Teacher Librarians)

  • 장덕현;강은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41-259
    • /
    • 2016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서개발 과정을 조사하여 그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 조사연구이다. 장서의 중요성과 주로 소규모장서로 운영되는 학교도서관의 특성에 비추어 볼 때 특히, 학교도서관에 있어서 장서개발의 중요성은 재론할 필요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의 학교도서관은 자료구입 예산의 부족, 사서교사의 부재 또는 과도한 업무, 관리자의 무관심과, 잦은 전출 등으로 인하여 효과적인 장서구성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바탕하여 이 연구에서는 사서교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현재 학교도서관의 장서가 실제로 어떻게 개발되고 관리되는지 그 현상적 과정을 파악하고 업무과정에서 발생하는 제반 상황을 분석하여 실천적 문제들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한 요구조사 분석 (An Analysis on the Needs Assessment of School Library Facilities in Korea)

  • 김성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93-112
    • /
    • 2016
  •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안한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한 요구조사 도구를 사용하여 전국의 학생과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연구에 사용된 요구조사 도구는 한국도서관협회의 기준, IFLA의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 AASL의 기준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10개의 시설특성과 세부요소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설문대상은 전국 18개 학교에 소속된 507명의 학생과 134명의 사서교사이며, 이들로부터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수준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학생과 사서교사는 모두 학교도서관의 시설특성의 중요도를 현재 수준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학생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시설특성은 자료 접근성, 편리성, 공간성 순서이며, 사서교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특성은 쾌적한 환경, 확장성, 자료 접근성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도서관의 봉사 개선을 위한 교사의 기대 (Teachers' Expectations for Reforming Primary School Library Services)

  • 김병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19-146
    • /
    • 2001
  • 학교도서관 봉사의 목적이 학교 교육을 위한 것이므로 학교 교육의 목적과 학교도서관의 궁극적인 목적은 동일한 것이다. 학교도서관은 항상 새롭고 보다 훌륭한 시설과 풍부한 정보자료를 개발하여야 하며 유능한 전문직 사서교사는 교육과정에 적절하고 합리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봉사하여야 한다. 학교내외에서 야기되고 있는 저해 요인들로 실질적으로 유명 무실한 학교도서관을 보다 능률적이고 새롭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학생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교사들이 학교도서관에 대한 적절한 인식과 기대를 가지고 있다면 교사와 학생들이 학교도서관을 보다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활성화시키는 초석이 될 것으로 간주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의 봉사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기대를 파악하여 향후 초등학교 도서관이 진정한 교수학습의 장으로 활용되도록 하는 제 방향을 찾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 사서의 역할을 개관하고 이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 교사들의 인식과 기대에 대한 수준을 측정한 후 이에 따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결과 학교도서관에 대한 중요도, 사서교사의 배치 필요성, 다양한 봉사에 대한 기대,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수강에 대한 윤곽 등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 PDF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공통 탐구 과제에 포함된 정보활용과정 요소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within Common Inquiry Tasks of Textbooks in Korean Middle Schools Social Studies)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33-25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탐구 과제를 정보활용과정 측면에서 분석하고, 사서교사가 정보활용교육 차원에서 수행할 수 있는 교육적 역할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분석 결과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탐구 과제를 수행하는 학생은 개별적으로 필요한 자료를 선정하여 정보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보고서로 쓰거나 발표하는 활동을 전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특징을 중학교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에서 지도하는 정보활용과정과 비교하면, 1단계인 '정보과제 정하기와 정보 요구 파악하기'와 3단계인 '정보표현하기'를 충족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서교사는 탐구 과제 해결에 필요한 적절한 자료의 탐색 전략과 자료가 담고 있는 정보를 이해하고 종합하는 능력 그리고 탐구 과정과 결과를 평가하는 능력 등을 지도함으로써 사회교사의 수업 부담을 줄여주고 학생의 탐구 활동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사서교사와 교과교사가 정보활용능력을 기반으로 한 협동수업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