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상의학(四象醫學)

Search Result 1,63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Philosophical View of Nature on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사상의학으로 본 철학적 자연관)

  • Choi, Jong-duck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
    • v.10 no.2
    • /
    • pp.29-40
    • /
    • 1998
  • 1. The traditional view of nature in oriental medicine originated with a horizontal relation between nature and human. But the Sasang Constitution Medicine is based on the thought that ethical value is due to nature and at the same time nature could be transformed by ethical inclination. 2. The Sasang Constitution Medicine is not only a clinical medicine, but also a nature-philosophical system which implies the korean general view of nature. 3. We must examine a thought critically, four seperated physical structure were indeed deterministic. A deterministic understanding is false, because it is based on the recipiency of western philosophical ontology without reflection. 4. Korean view of nature is not kept in the fixed structure, and then can be opened and transformed by personal doings (practical acts). It is important that Sasang medicine is the pathology centering on man which is embodiment of ethical judgements.

  • PDF

사상의학(四象醫學)의 형성 과정에 관한 문헌적 고찰 - 비박탐라(鄙薄貪懦)와 희노애락(喜怒哀樂)을 중심으로 -

  • Lee, Su-Gyeong;Go, Byeong-Hoe;Song, Il-Byeong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
    • v.10 no.1
    • /
    • pp.41-54
    • /
    • 1998
  • 연구목적 : 사상의학(四象醫學)은 인간을 태양인(太陽人), 태음인(太陰人), 소양인(少陽人), 소음인(少陰人)으로 구분하여 동일한 병증에 대해서도 치료를 달리하는 의학이다. 즉 인간을 동일한 원리로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각 체질에 따른 차등성을 통해 각 체질 취약점의 보완을 추구하는 의학이다. 그러면, 무엇이 이러한 인간 구분의 단서가 되었으며 이것이 의학으로까지 적용되는 과정 즉, 사상의학의 성립 과정을 살펴 보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동무(東武) 이제마(李濟馬)의 저술로 인정되는 "격치고(格致藁)", "동무유고(東武遺藁)",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의 문헌적 자료와 각 편의 저술시기를 통해 동무(東武) 이제마(李濟馬)의 사고의 흐름과 변화를 통해 사상의학이 성립되는 과정을 살펴 보는 문헌적 조사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및 결론 : 이상의 결과를 통해 아래의 연구 결론을 구하였다. 1. 동무(東武)는 "맹자(孟子)"의 사부지심(四夫之心)을 근거로 인간을 심욕에 따라 비인(鄙人), 박인(薄人), 탐인(貪人), 나인(懦人)으로 구분하였고 인의예지의 사단을 장부에 배속하여 심욕을 몸에 적용하였다. 그러나 "격치고(格致藁)"의 비인(鄙人), 박인(薄人), 탐인(貪人), 나인(懦人)과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의 태소음양인(太少陰陽人)의 직접 연결은 동무 사고의 시간적 흐름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며, 동무는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사단론(四端論)"과 "확충론(擴充論)"을 통해 비박탐라인(鄙薄食懦人)의 심욕(心愁慾)과 태소음양인(太少陰陽人)의 정기(情氣)를 매개로 하여 비인(鄙人)은 태양인(太陽人), 탐인(貪人)은 태음인(太陰人), 박인(薄人)은 소양인(少陽人), 나인(懦人)은 소음인(少陰人)으로 설명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격치고(格致藁)" "독행편(獨行篇)"과 저술 연도가 동일한 "동무유고(東武遺藁) 교자평생함(敎子平生箴)"을 통해 의학적 사고의 성립을 살펴보면, 동무(東武)의 차등적 장리(臟理)는 희노애락의 성정(性情) 구분이 장리(臟理)의 차이로 발전한 것이 아니라 장부(臟腑) 강약(强弱)에 대한 인식이 선행되고 이를 희노애락(喜怒哀樂)으로 설명하였으며, 또한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의 장부(臟腑) 대소(大小)는 강약(强弱)에 근거한 개념임을 알 수 있었다. 3. 사상의학(四象醫學)의 의학적 설명 도구는 희노애락(喜怒哀樂)이다. 희노애락은 비박탐라(鄙薄貪懦)와는 달리 선악(善惡)의 가치 판단이 들어있지 않으면서 기의 승강을 나타낼 수 있는 중용적 설명 도구로 동무가 의학을 설명하기 위한 최선의 도구였다. 사상의학(四象醫學)에서의 희노애락(喜怒哀樂)은 증치의학(證治醫學)의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역할과 같은 것이다. 4. 희노애락(喜怒哀樂)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서 성(性), 정(情), 기(氣)로 설명되는데 희노애락의 성(性)과 정(情)은 장부 대소를 설명하는 근거로 체질마다 다른 장국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각기 표기(表氣)와 리기(裏氣)를 손상(損傷)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희노애락(喜怒哀樂)의 기(氣)는 기(氣)의 승강(升降)을 설명하는 근거로 애기(哀氣)와 노기(怒氣)는 양(陽)으로 직승(直升)과 횡승(橫升)하고 희기(喜氣)와 락기(樂氣)는 음(陰)으로 방강(放降)과 함강(陷降)한다. 이러한 희노애락은 순동역동(順動逆動)의 특성과 상성상자(相成相資)의 특성을 지니는데 희노애락(喜怒哀樂)의 상성상자(相成相資)는 사상의학 고유 개념으로 사상인병증론(四象人病證論)에서 언급하고 있는 성정(性情)과 심욕(心慾)의 편급까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단서이다.

  • PDF

中韩对体质问题的研究比较 (중국과 한국의 체질의학 비교연구)

  • Wang, Gi;Lee, Yeong-Su;Ma, Hyo-Bong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 /
    • v.20 no.2
    • /
    • pp.98-103
    • /
    • 2007
  • 중국의 체질의학은 중국의학의 진단과 변증 및 치료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이론 중의 하나이다. 최근 중국에서의 체질에 대한 연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의학계에서는 체질이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었으며 사상의학을 대표로 하는 체질의학이론의 체계가 이미 형성되어있다. 이 논문은 중국과 한국의 양국의 체질이론에 대해 그 연원과 이론체계 및 임상응용에 대해 비교고찰한 것이다. 본고의 연구를 통해 한국의 체질의학은 중국의 체질의학의 영향을 받은 것이지만, 중국의 체질의학의 내용을 더욱 심화시키고 확대한 것으로 평가된다.

  • PDF

The Basic principle of treatment according to the symptom (病證藥理)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사상인병증약리(四象人病證藥理)의 성립과정(成立過程)과 그 운영정신(運營精神)에 대한 고찰(考察))

  • Song, Il-Byung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
    • v.8 no.1
    • /
    • pp.1-15
    • /
    • 1996
  •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eeks the psychosomatic balance, and the Basic principle of treatment according to the symptom(病證藥理)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uld be summarize as follows. 1. The pursuit of Shape-Image Medicine (形象醫學) and the Symptoms of shape - Symptoms of disease (形置病證). It established emotion, symptoms of constitution, and symptoms of constitutional disease on the base of Shape-Image Medicine (形象醫學) which means qi (氣) is inside and shape is outside (氣裡形表). 2. The inductive medicine and positive medicine. It systematized the Symptoms of shape - Symptoms of disease (形證病證) on the base of the medical practice of the ancients and Lee Jae-Ma (李濟馬)'s own experience inductively, and it present show to control the psychosomatic balance practically. 3. The pathology centering on human. Oriental medicine is based on Yin-Yang (陰陽) and Five elements (五行) and the harmony of nature and human (天人相應) of Taoism, but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s based on emotional and ethical pathology of Confucianism (儒學). 4. The treatment according to the symptom (病證藥理)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entering on clear qi (正氣). The promotion and demotion (補瀉) which is based on clear qi (正氣) and evil qi (邪氣) is a basic principle in Oriental medicine, but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t is attached importance to control of clear qi and classify obedience symptom and disobedience symptom (順 逆症) as the type to oppose disease. 5. The treatment according to the psychomatic symptoms. It takes importances to control of one-sided emotion as well as the treatment of psychical symptoms, and also to remedy disease as keeping under control one's mind. 6. The preventive medicine and the medicine to develop one's health. It is in pursuit of social health to develop personality through clear qi (正氣) in real life, to prevent disease, and to spread the sickness control of individual perso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pursuits the psychosomatic balance through 'Balance', 'Control', 'Self regulating Control' of the 'Golden Mean (中庸)' with the treatment according to the symptom (病證藥理)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