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무공간 디자인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6초

최근 서울시 중형 OFFICE 건물의 실내재료의 사용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ing Trends of Interior Materials in Current Medium Size Office Building in Seoul)

  • 김은중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호
    • /
    • pp.19-25
    • /
    • 2000
  • This study aims by analysing the interior design elements trends of current medium size office buildings in Seoul. The analysing objects are ceiling, floor, wall, and illumination plan of current office buildings. Analysing tools are finishing material and color of each part. Analysing areas are lobby area, deskwork area, conference area, welfare area, public area(rest room, corridor, stair). The interior design elements of lobby shows a lots of different features then the other areas in ceiling, floor, and wall design. Such difference appears at finishing material especially, and the coloring is more splendorous then the other areas. Desk work area and conference area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materiors and colors, and they usually follow the needs of function. Walfare area shows more splendorous feature then deskwork and conference area, and designed by various materials and colors. Public area also shows very active design concept then past times.

  • PDF

사무공간 레이아웃에 따른 근무자의 시각적 교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Interaction of Workers under the Effect of Office Layout)

  • 유우상;최윤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35-43
    • /
    • 2005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ontaneous interactions of office workers and their workspace layout. The spontaneous interactions are captured by the measures regarding the 'visual interaction' between workers in their desk layouts. The measures of visual interaction then are examined by means of the office layout or desk arrangement and the properties of work patterns according to the departments, such as general affairs, sales,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planning. The study finds four types of office layout ; Type 1 with low visual interaction between workers and high intensity of visual interaction, Type 2 with high visual interaction between workers and high intensity of visual interaction, Type 3 with low visual interaction between workers and low intensity of visual interaction, and Type 4 with high visual interaction between workers and high intensity of visual interaction. The study shows that the patterns of unintentional interaction between workers varies according to the property of work and office arrangement and it also argues that the patterns of office layout are different according to properties of work.

시간제 디지털 임대 사무환경의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ime-based Digital Rental Workplace)

  • 한승훈;정석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18-126
    • /
    • 2006
  •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future workplace in reference to the case for Digital Nomad Space (DNS). For this study, it has been investigated how to converge meanings of the digital environment and physical office space by which surveys to potential digital nomads were fulfilled. As a result, the types and the properties of future workplace in digital environment have been obtained. This study also include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sign aspects of the time-based ubiquitous rental workplace followed by investigating future trends of the digital era. Thus, suggestions of spatial requirements of the digitalized office towards the practical level in the architectural interior design is proposed, and DNS has special features such as the cultural complex and ICT-based facilities with free accessibility to existing information and data over the air.

사무공간의 실내디자인을 위한 색채인간공학 (A study on the Colorergonomics for the office plan)

  • 유연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호
    • /
    • pp.3-9
    • /
    • 1998
  •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ing of human engineering in modern industrial society, we must give thought to Colorergonomics. The reason is that color is a very important factor of the human engineering. And selecting the right colors in human working environment could bring many positive effects. This study tries to present a theoretical base for the color design in the plan of modern office especial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odel of Coloregonomics and the Color Cycleo of Human Engineering developed by the German colorist Axel Venn. As a main result of this study a man must be the focus of attention in the color design for the office.

  • PDF

모바일 기기 디자인의 새로운 접근 - 근 미래 작업환경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도구 디자인과 GUI 연구를 중심으로 - (A New Approach to Mobile Device Design - focused on the Communication Tool & it's GUI for Office Workers in the Near Future -)

  • 양승호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31-42
    • /
    • 2006
  • 본 연구는 근 미래 작업환경에서의 새로운 작업 패턴 및 작업공간의 변화에 합당한 적절한 기술과 이 기술을 활용한 실험적인 디자인 솔루션을 찾기 위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최근 급격한 기술의 발전은 새로운 노동 패러다임을 이끌고 있고 새로운 컴퓨터 기술이 사무환경을 급속도로 변화시켜나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변화가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장을 보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근 미래 작업환경에서 작업자들의 업무와 개인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성공적으로 지원하는 모바일기기 디자인의 실험에 있다. 여기서 말하는 근 미래 작업환경은 5년의 기술적인 그리고 사회적인 시각이 적용 되었다. 근 미래의 사무환경의 실험적인 경험을 얻기 위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기술의 발전이 제공하는 사무환경의 변화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이 이루어 졌으며, 이 실험적인 미래 사무공간에서 사용될 협업과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통합된 시스템에 대한 제안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인 bON은 근 미래의 사무실에서 사용될 업무를 위한 도구인 동시에 커뮤니케이션 기기이다. 사용자가 자기 자리를 떠나 있을 때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디자인된 bON은 업무와 커뮤니케이션이 하나로 통합된 도구로서 모바일 게이트웨이의 모습을 띠고 있다. bON으로 인해 사용자는 자기의 물리적인 작업공간으로부터 자유롭게 떠날 수 있으며, 일상생활의 어떤 시간, 어떤 공간으로도 자신의 업무정보와 개인정보와 함께 이동가능하다. 매우 복잡하고 큰 시스템의 한 부분으로써 작은 모바일기기인 bON은 사용자의 업무 능률 향상을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주변의 여러 구성요소들과 상호작용한다. 사용자의 휴대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제공되는 정보의 품질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하고 방대한 기술 및 관련 연구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이 이루어 졌으며, 현장관측과 밀착 인터뷰 등의 실제적인 조사방법을 통한 문제발견은 보다 현실성 있는 디자인 제안을 가능하게 했다. 더욱이 제한된 크기의 스크린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각적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GUI의 시도와 제안은 향후 모바일 기기 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 PDF

국내 오피스 공용공간에 나타난 공간특성 및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 탈경계성, 자연친화성, 유희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patial Concepts and Expressions shown in Common Areas of Domestic Offices - Focused on Concepts of Non-territoriality, Eco-Friendly, and Play -)

  • 김지이;심은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84-92
    • /
    • 2009
  • Sociological, technical, and organizational changes have affected the culture of business in many ways. These changes are now encouraging new concepts in the workplace environment such as emotional approaches for a more creative and humanistic workplace let alone enhancing image of the compan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urrent situations of common office areas and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designing more creative and stimulating work environments. The study first examines concepts of new office designs in our modem society, then defines categories such as territorial fuzziness, eco-friendly, fun and play. Secondly, by using content analysis as research tool the researchers have investigated how the conceptual categories and detailed design presentation methods are shown in workplace designs in Korea. Scope of study is limited to 39 office design projects from 2002-2008 presented in the Korean monthly magazine 'Interiors'. As results. territorial fuzziness was found to be most popular method while play the least. For application wise, meeting rooms, rest area and hallways were places where these concepts appear the most. Even though, these new approaches in office designs can be found in our domestic offices, still more experimental and active approach seems to be needed.

비즈니스 문서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RPA(Robotics Process Automation)적용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RPA(Robotics Process Automation) For Productivity Of Business Documents)

  • 현영근;이주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199-212
    • /
    • 2019
  • 디지털화(Digitalization)가 우리의 비즈니스 환경에 다양한 변화와 혁신을 일으키고 있다. 제조업에서는 오래전부터 자동화를 위해 로봇을 활용하여 처리속도 및 품질에 혁신을 이루었다. RPA는 이러한 제조현장의 혁신을 사무공간으로 가져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무공간에서 단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업무에 대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생산성 향상과 관련하여, 비즈니스 자동화(Business Automation)에 대한 개념을 살펴본 후, 비즈니스 문서 작업과 관련하여 자동화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5가지 업무영역을 대상으로 애자일 방법론을 활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결론적으로, 품질점검 관련 97.3%, 편집 디자인 관련 31.7%의 생산성 향상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실제 업무에 적용하기 위한 방향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IPA(Intelligent Process Automation)의 적용방안에 대해 진행하고자 한다.

IoE 환경에 적합한 보안 경고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개인정보 보호 기법

  • 류정우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5-30
    • /
    • 2017
  • 최근, Internet of Everything (IoE)는 Internet of Things (IoT)의 영역을 급속히 확장하며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IoT가 여러 가지 다양한 센서들을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이라면 IoE는 우리주변의 모든 기기들 (예를 들면 가전제품이나 보안 시스템)을 IoE와 아울러서 통합된 망을 구축함으로써 여러 가지 상승효과를 모색하는 정보산업의 새로운 흐름이라 할 수 있겠다. 하지만, IoE의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새롭게 개발되고 있는 기술이라는 특성상, 아직도 보완해야 될 점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특히, IoE 환경의 경우, 가정이나 사무공간에서 연결되고 있는 기기나 장비들이 개인용품이 많다는 특성상 정보 보안에 문제가 생길 때 개인정보 유출의 우려가 클 수밖에 없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많은 IoE 서비스 이용자들이 이런 보안상의 문제점들에 대해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보안경고 디스플레이 기술을 활용하여 일반인들에게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키고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도록 유도하는 디자인 기법들의 가능성들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농촌표준주택의 패턴언어 적용 관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Pattern Language in 'Standard Rural-Houses Design')

  • 황용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08-216
    • /
    • 2019
  • 연구의 배경은 농촌주택이 도시주택의 공간구성을 모방하면서 원래의 모습을 잃어버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주택표준설계도에 크리스토퍼 안렉산더의 패턴언어를 적용하여 농촌주택에 필요한 디자인 구성 요소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범위와 방법은 한국 농어촌공사에서 2009년에서 2014년까지 제작 배포하고 있는 표준설계도에 패턴언어에서 제시하고 있는 디자인 패턴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1) 표준설계도에서 주택배치는 다양한 농촌의 부지 조건을 무시하고 있었고. 2) 대부분 주택마당은 농촌생활의 다양한 행위를 담을 있는 공간임을 고려하여 적극적으로 계획하지 않았다. 3) 표준설계도는 어린이를 위한 공간이 없었고 부엌은 L.D.K 형식으로 내부공간을 통합하여 융통성 있는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4) 귀촌 귀농민을 위한 임대 가능한 별채와 사무공간으로 겸용할 수 있는 공간계획은 없었다. 5) 2014년에는 부부만을 위한 표준설계도 계획으로 면적이 좁은 평면계획이 많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표준주택설계도에서 농촌의 환경과 생활 패턴이 무시된 부분도 있었지만, 패턴언어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양한 패턴언어를 농촌주택의 표준 디자인 구성요소로 개발하여 귀촌 귀농민을 유입하고 농민들의 생활패턴에 가장 적합한 주택으로 개발할 수 있는 방안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무공간 실내 색채 환경 적용 사례 연구 (Case Study for Application of the Interior Color Environment to the Office Space)

  • 서승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7-70
    • /
    • 2006
  • In modern society industrial structure is being altered in complex and various way owing to rapid technical develop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concerns and recognition for surrounding environment is being moth heightened. For this reason, modern people requite the environment which can be applied in more pleasant and convenient way, and in order to satisfy such requirements, importance of the interior design mote vividly stands out, and concerns or the society for the design is being more Heightened these days. Especially, as for the design of the office space, the study transforming the office, which is the rendezvous of the information, into the business environment with more comfortable and sensitivity, being free rrom the design concentrated on the business efficiency and economic feasibility, has been actively proceeded. As it is the reality that various and new types of the business spaces have appeared, new office landscape design is requited as the device to solve the matter related to the society change. It is purposed to propose the office space which is comfortable together with flowing sensitivity by applying the color plan that unconsciously controls the human sense through remodeling of mid size of the office spa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