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멸률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1초

미나리 추출물의 기억력 손상 억제와 산화스트레스 억제 효과 및 Isorhamnetin 분석 (Inhibitory Effects of Dropwort (Oenanthe javanica) Extracts on Memory Impairment and Oxidative Stress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of Isorhamnetin in the Extracts)

  • 원범영;신기영;하현지;위지향;윤여상;김예리;박용진;정경옥;성혜미;이형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11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인이 일상생활에서 주로 상용하는 미나리에 대해 기억력 관련 효과와 항산화 효과, 미나리 추출물의 flavonoid 중 isorhamnetin을 분석하여 기능성식품 개발 및 이용에 기여하고자 실시하였다. Acetylcholinesterase의 활성 억제를 측정한 결과 화순미나리 추출물이 28.5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나주미나리 추출물 25.11%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SH-SY5Y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DMSO와 비교하여 화순미나리 추출물 37.23%와 나주미나리 추출물 36.68%로 세포사멸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수동회피실험 결과 scopolamine 처리에 의해 기억력이 손상된 동물모델에서 미나리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vehicle control보다 latency time이 높게 나타났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화순, 나주, 의령 미나리 추출물 모두 미나리 처리 그룹군 간에도 유의적 차이가 있었고(P<0.05), 화순미나리 추출물이 총 폴리페놀 함량 117 m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30 mg GAE/g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TBARS 측정 결과 미나리 추출물 $440{\mu}g/mL$의 농도에서 화순미나리 추출물이 50.7%의 억제력으로 가장 높았으며, 나주와 의령미나리 추출물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미나리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중 isorhamnetin을 분석한 결과 표준용액과 미나리 추출물의 머무름 시간이 14분대로 피크 유지시간이 일치하였으며, 동일한 spectrum을 나타내어 정확한 isorhamnetin의 분리를 확인하였다. 또한 LC/MS/MS를 통한 분석 결과 표준용액과 미나리 추출물에서 동일 시간대에 TIC를 확인하였고 precursor ion은 317 $[M-H]^+$ m/z, product ion은 302 $[M-H]^+$ m/z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미나리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와 기억력 개선제로써의 활용 가치를 시사한다고 사료된다. 또한 건강기능성 소재로서 식품산업 분야의 이용률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C6 Rat Glioma Cell에서 리튬에 의한 성장 억제와 Insulin-like Growth Factor System Components의 발현과의 관계 (Relationships of the Lithium-Induced Growth Inhibition of C6 Rat Glioma Cell to Expression of the Insulin-like Growth Factor System Components)

  • 김인애;진은정;조은정;손시환;이철영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563-570
    • /
    • 2004
  • Insulin-like growth factors(IGF)s-I과 -II ligands와 이들의 receptors 및 6종류의 IGF-binding proteins(IGFBPs)로 구성된 IGF systim은 여러 종류의 세포의 생존, 증식 및 분화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리튬은 in vitro에서 여러 종류의 세포의 생존과 증식의 조절제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IGF-I, IGF-I receptor 및 IGF carrier로서 주로 IGFBP-3를 발현하는 rat C6 glioma cell에서 LiCl로 유도된 세포 생존 및 증식의 변화와 IGF system components의 발현간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10%혈청을 함유하는 배양액에서 0, 2mM, 혹은 5mM LiCl을 첨가하여 C6 cell을 24시간 배양했을 시 세포의 생존률과 세포 수는 리튬 첨가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72시간 배양 했을 때 C6 cell은 명백히 리튬의 첨가수준에 따라 반응하였다. 0, 2m, 5mM LiCl 첨가수준에서 72시간 배양한 C6 cell은 각각 전형적인 세포분열, 세포분열 중지 및 세포사멸 양상을 보였다. 더욱이 사멸돼가는 세포는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으로 조사한 IGF-I, IGF receptor 및 IGFBP-3의 발현수준이 저하되었다. 흥미롭게도 혈청을 첨가하지 않은 배양조건 하에서 IGFBP-3에 대한 antisense oligodeoxyribonucleotide를 10${\mu}M$ 수준의로 첨가하여 배양했을 때도 표적 mRNA는 물론 세포 수도 줄었다. 종합하자면, C6 cell에서 리튬의 독성 효과의 일부는 이 제제에 의한 IGF system components의 발현 억제 효과에 의해 매개될 소지가 크다. 이러한 관점에서 IGRBP-3는 적어도 이 세포의 정상적인 증식을 위해 꼭 필요한(‘prrmissive')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인체혈구암세포 U937의 D-Ala2-Leu5-enkephalin처리에 의한 세포 주기 억제 효과 (Cell Cycle Arrest by Treatment of D-Ala2-Leu5-enkephalin in Human Leukemia Cancer U937 Cell.)

  • 이준혁;최우영;최영현;최병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20-624
    • /
    • 2009
  • 동면 개시인자로 알려진 DADLE는 여러 연구에 의해 in vivo와 in vitro 상에서 유사 동면 상태를 야기한다. 본 연구는 인체혈구암세포인 U937 세포주의 세포 사멸과 세포 주기 둥에 대한 DADLE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DADLE가 처리된 U937세포는 8${\sim}6$10 ${\mu}$M의 높은 농도에서 세포 증식이 감소하였으며, 0${\sim}6$ ${\mu}$M의 낮은 농도에서 영향이 없었다. DNA flow 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 주기를 분석해본 결과 DADLE에 의한 세포 주기 억제가 관찰되었다. DADLE처리에 따른 세포 증식률 감소 및 세포 주기 억제효과를 전사 수준에서 조사한 결과 Bcl-XL, c-IAP-2의 발현 및 survivin의 발현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COX-2의 발현 역시 COX-1의 변화 없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cyclin E 와 cdk-2, -4 그리고 -6의 발현 역시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Telomere 조절 관련 유전자의 경우도 c-myc과 TERT의 감소, 그리고 TEP-1가 증가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DADLE를 U937 암세포주에 처리했을 때 세포 주기의 억제를 통하여 life-time을 증가시킬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인삼(人參) Extract 첨가(添加)가 유당발효성(乳糖醱酵性) 효모(酵母)의 발효(醱酵)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Korean Ginseng Extract on the Fermentation of Lactose-Fermenting Yeast)

  • 이조윤;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272-281
    • /
    • 1985
  • 인삼(人蔘) extract가 유당발효성효모(乳糖醱酵性酵母)인 Kluyveromyces fragilis IFO 0288의 발효(醱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탈지유(脫脂乳) 배양액(培養液)에 인삼(人蔘) extract를 0~50%의 농도(濃度)로 첨가(添加)하고 $30^{\circ}C$에서 168시간(時間) 정치배양하면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인삼(人蔘) extract를 1.0% 및 5.0% 첨가(添加)한 구(區)가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pH 및 acidity에서 현저한 증가(增加)를 보였다. 2. $CO_2$ 발생량(發生量)에서는 인삼(人蔘) extract 1.0% 첨가구(添加區)가 가장 효과(效果)가 좋았으며 5.0% 첨가구(添加區)는 유제효과(柳制效果)를 나타내었다. 3. alcohol 생산량(生産量)은 인삼(人蔘) extract 1.0%~5.0%가 첨가구(添加區)가 0~0.5% 첨가구(添加區)에 비(比)하여 많은 생산량(生産量)을 나타냈으며 발효시간(醱酵時間)을 단축시켰다. 4. 효모수(酵母數)및 효모성장률(酵母成長率)은 인삼(人蔘) extract 1.0~5.0%가 첨가구(添加區)에서 유도기가 단축되었으며 사멸기를 연장시켰다. 5. 인삼(人蔘) extract 중(中)에 포함되어있는 유리당(遊離糖)은 효모(酵母)의 발효(醱酵)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않았다.

  • PDF

토마토와 라이코펜이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omatoes and Lycopene on Prostate Cancer Prevention and Treatment)

  • 황은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455-462
    • /
    • 2004
  • 토마토에는 라이코펜과 quercetin, phytoene, phytofluene, cyclolycopene, salicylates 그리고 tomatlne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은 라이코펜과 함께 항암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생리적 농도에서 라이코펜은 세포주기의 정지(arrest)와 세포 자가사멸을 통한 암세포의 생존률을 감소시키고, 사이클린을 조절하며, 세포간의 연락체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라이코펜은 산화에 민감하여 매우 쉽게 산화물질을 만든다. 토마토 제품의 섭취는 혈중 phytoene, phytofluene 그리고 라이코펜 산화물질인 cyclolycopene의 농도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또한 토마토나 토마토 제품을 통한 라이코펜의 섭취는 혈중 라이코펜의 농도를 최고 1.26 $\mu$M까지 증가시켰다. 다양한 암 부위 (cancer sites)를 통한 19건의 동물실험결과, 10건의 실험에서 라이코펜이 효과가 입증되었고, 7건의 실험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밝혀지지 않았고, 2건의 전립선암 실험에서는 억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임상실험에서 라이코펜 섭취와 토마토 제품섭취군 모두 백혈구와 전립선에서 의 DNA 산화물질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라이코펜은 암화과정을 방해하는 생리활성 물질로 밝혀졌으나 phytoene, phytofluene 그리고 cyclolycopene의 역할에 관해서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라이코펜과 토마토에 함유되어 있는 다른 식물성 화학성분들(phytochemicals) 간의 상호작용에 관해서는 좀 더 구체적이고 신뢰성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나노 Ag(Silver)입자를 이용한 친환경성 항균 무기 복합분체의 제조 (A Study on Preparation of Environment-friendly Special Powder Using Functionality Antibiotic Nano-particle)

  • 이용원;민동진;조준형;이종만;김형진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강연 및 논문개요집
    • /
    • pp.143-143
    • /
    • 2003
  • 최근 생활수준 및 생활환경의 향상에 힘입어 청결 및 쾌적을 추구하는 것이 사회적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요즘처럼 현대화된 시대에 '왜 항균제가 필요한 것일까' 라는 자연스러운 의문이 발생하게 되지만 현실은 항균제를 이용한 다양한 항균제품, 항균가전제품, 항균가공 내ㆍ건자재 및 항상 신선한 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제품 등이 호황을 누리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그 시장 규모는 3,000억원을 상회하고 있다. 이러한 항균 가공제품이 호평을 받는 사회적 배경은 우리를 둘러싼 주변 삶의 경제환경 신장에 따른 쾌적성 추구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처럼 항균기능이 부여된 제품이 호평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항균제품의 주 기능 역할을 하는 항균제에 대한 개발은 초기단계로 국내 시장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의 경우, 유기 항균제의 사용이 전체 사용량의 80%를 차지하고 있고, 제올라이트나 인산염을 무기 담체로 항균성 금속 이온(Ag, Zn)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킨 무기 항균제가 개발된 것이 최근의 기술 수준이다. 이러한 유기 항균제는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 또는 사멸시키기 위한 것이지만, 생체의 피부 세포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피부 자극원의 하나로 그 사용이 점차로 제한되고 있다. 무기 항균제는 안정성이나 항균력에서는 유기항균제 보다는 뛰어나지만 가격(경제성)이나 색(Color), 사용성 (Application)측면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귀금속이므로 가격이 고가이며, 금속고유의 색으로 회귀하려는 플라즈몬 효과에 의해 색(Color)의 조절이 불가능, 분말형태이므로 지류에 첨가시키는 방법 등이 큰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 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나노기술이다 나노기술(Nano-Technology)은 물질을 분자, 원자단위에서 규명하고 제어하는 기술로서 원자, 분자를 적절히 결합시킴으로서 기존 물질의 변형, 개조는 물론 신물질의 창출을 가능케 하는 기술이다. 나노기술은 여러분야로 세분화되지만 그중 산업화에 가장 접목이 용이한 기술이 나노입자(Nano-Particle)제어 기술이며, 나노입자는 통상적으로 입자크기가 수 nm에서 100nm이하 크기의 넓은 표면적을 가진 콜로이드 상의 불균일 분산입자를 말한다. 나노입자(Nano-Particle)는 기존의 입자($\mu\textrm{m}$)보다 물리적 및 광학적 성질이 우수하고 그 자체의 기능면에서도 탁월하기 때문에 국내외의 여러 산업에서도 기존제품의 품질 향상 및 기능성부여, 기존 공정의 개선 및 생산 원단위 절감 등 경제적, 생산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적합한 나노입자를 채택, 적용하고자 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천연 항생제로 알려진 Ag, 즉 항균 및 탈취, 전기적 기능이 우수한 은(silver, Ag)을 나노(nm) 입자희 제조하고 이와 더불어 이산화티탄(TiO2) 복합 분체를 제조하여 제조된 나노 입자 및 복합 분체를 사용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이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한 소재 개발에 연구 내용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한 기대 효과로서 환경성 측면에서는 환경 친화적인 나노 입자의 제조로 기능성 나노 입자에 친 환경성을 부여하여 유기계 항균제 대체 효과를 발현하고 이를 제품에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가진 신소재 제조에 있다. 또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고부가 가치의 제품 개발에 따른 새로운 수요 창출과 수익률 향상, 기존의 기능성 안료를 나노(nano)화하여 나노 입자를 제조, 기존의 기능성 안료에 대한 비용 절감 효과등을 유도 할 수 있다. 역시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특수소재 개발에 있어 최적의 나노 입자 제어기술 개발 및 나노입자를 기능성 소재로 사용하여 새로운 제품의 제조와 고압 기상 분사기술의 최적화에 의한 기능성 나노 입자 제조 기술을 확립하고 2차 오염 발생원인 유기계 항균제를 무기계 항균제로 대체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안료의 형상 균일화 기술을 확보하여 가격 경쟁력 및 부가가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양송이 마이코곤병원균(病原菌) 약리균주(藥理菌株)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Mycogone perniciosa as Variable Strain in Cultivated Mushroom of Agaricus bisporus)

  • 김광포
    • 한국균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3-97
    • /
    • 1981
  • 본(本) 시험(試驗)은 양송이 마이코곤 병원균(病原菌) 중(中) 최근(最近)에 출현(出現)되어 703호(號) 계통(系統)에도 피해(被害)를 입히는 변이(變異) 균주(菌株)의 특성(特性)을 기존(旣存) 균주(菌株)와 비교(比較) 시험(試驗)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본(本 )병원균(病原菌)의 변이(變異) 균주(菌株)는 PSA에서 배양시(培養時) $25^{\circ}C$에서 생육(生育)이 가장 양호(良好)하였고 $10^{\circ}C$$35^{\circ}C$에서는 극(極)히 저조(低調)하였으며 기존(旣存) 균주(菌株)도 거의 동일(同一)한 결과(結果)였다. 2. 본(本) 병원균(病原菌)의 기존(旣存) 균주(菌株)는 pH 6.0에서 旣凉 株는 pH 6.0에서, 변이(變異) 균주(菌株)는7.0정도(程度)에서 생육(生育)이 양호(良好)하였다. 3. 본(本) 병원균(病原菌)의 사멸(死滅)은 $50^{\circ}C$에서 기존(旣存) 균주(菌株)가 40분(分), 변이(變異) 균주(菌株)가 60분(分) 열처리(熱處理)로서 완전(完全)히 이루어졌다. 4. 본(本) 병원균(病原菌)의 후막포자(厚膜胞子)는 PSA에서 6일후(日後)에, 변이(變異) 균주(菌株)는 4일후(日後)부터 다량(多量) 형성(形成)되었다. 5. 방제(防除) 약제(藥劑)로서 기존(旣存) 균주(菌株)에 대해서는 Benlate나 Homai만 약효(藥效)가 높게 나타나나, 변이(變異) 균주(菌株)에 대해서는 Delan이나 Dithane Z-78도 약효(藥效)가 높게 나타났다. 6. 양송이 공시(供試) 계통중(系統中) 마이코곤 이병률(罹病率)이 40% 이하(以下)인 것은 기존(旣存) 균주(菌株)에 대(對)하여 22계통(系統), 변이(變異) 균주(菌株)에 대(對)하여 12계통(系統)이 있었다. 7. 양송이 계통중(系統中) 저항성(抵抗性) 이 강(强)한 것은 크림색(色)이나 갈색 계통(系統)이 많으며 백색계통(白色系統)은 대체적으로 약(弱)하며 그중 린피(鱗皮)가 있는 것은 약간 강(强)한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오염된 인삼으로부터 분리된 Enterobacter sp.의 동정 및 인삼사포닌의 균 생육억제효과 (An Identification of Enterobacter sp. Isolated from Contaminated Ginseng and Inhibition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Its Growth)

  • 곽이성;이종태;여운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6-30
    • /
    • 2002
  • 오염된 인삼분말로부터 1 종의 세균을 순수분리하여 API kit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형태적,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균은 직경 0.6-1.0 $mu extrm{m}$, 길이는 1.2-3.0 $\mu\textrm{m}$ 이었고 세포표면에 편모를 가진 간균이었다. 분리균은 $\beta$-galactosdase, arginine dihydrolase, omithin decarboxylase를 가지고 있으며 탄소원으로 citrate를 이용할 수 있지만 H$_2$S는 생성하지 못하였다. 또한 glucose, manitol, sorbitol, rhamnose, sucrose, melibiose, arabinose 등의 당 및 amygdalin을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 이상의 API kit를 이용한 생리적 특성분석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미세 형태적 특성 관찰결과에 의해 본 균주는 장내세균과(Enterobacteriaceae) 에 속하는 Enterobacter sp.로 동정되었다. 한편 분리균주 Enterobacter sp.의 생육에 미치는 인삼사포닌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사포닌은 농도의존적으로 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사포닌을 0.05, 0.5, 2.0, 4.0% 첨가하고 38$^{\circ}C$에서 3일 동안 배양한 후 사포닌 비첨가군과 비교한 결과 균의 상대적 성장률은 각각 75.0, 37.5, 7.5, 0.5%로 나타났다. 사포닌의 미생물 생육 억제작용은 비교적 고농도인 4.0%사포닌 첨가시에도 초기의 6.0$\times$$10^{6}$에서 2.0$\times$$10^{7}$ CFU/g 으로 완만한 증가경향을 나타내어 사멸작용보다는 정균작용일 것으로 추측된다.

감마선을 조사한 ICR 마우스 정세관에서 apoptosis 발생 평가 (Evaluation of Radiation-induced Apoptosis in Seminiferous Tubule of ICR Mouse after Gamma Irradiation.)

  • 장종식;김중선;김종춘;김성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99-803
    • /
    • 2009
  • 방사선 및 각종 독성물질에 의한 고환 정세관세포의 사멸은 apoptosis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정세관상피주기에 따른 apoptosis 발생에 대한 변화연구는 미진하다.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을 조사한 ICR 마우스의 고환에서 apoptosis 발생을 transferase-mediated end labeling (TUNEL) 과 periodicacid-Schiff (PAS) 염색을 동시에 실시하여 관찰하였다. Apptosis는 TUNEL 양성으로 나타났으며 특징적 형태변화를 보였다. 2 Gy (분당 2 Gy의 선량률)의 방사선을 조사하고 24시간동안의 변화를 관찰한바 방사선조사 후 12시간에 가장 높은 apoptosis 발생을 보였고 이후 감소하였다. 8 Gy까지의 방사선을 조사하고 8시간에 변화를 관찰한 결과 모든 정세관상피주기에서 방사선 용량에 비례한 apoptosis의 발생이 관찰되었다. 방사선 용량-반응은 linear-quadratic 곡선 [y=(-0.014${\pm}$0.009)$D^{2}$ +(0.31${\pm}$0.697)D+0.3575. Y는 정세관 당 TUNEL 양성세포의 수, D는 방사선 용량(Gy), $r^{2}$=0.9]에 가장 일치 하였다. 최대반응은 8 Gy에서 관찰되었으며, 0.5 Gy조사군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정세관상피주기 V에서 B정조세포와 정세관상피주기 XII의 분열기 정자세포에서 가장 현저하였다.

Coscinoderma sp.의 대장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Anti-proliferation Effect of Coscinoderma sp. Extract on Human Colon Cancer Cells)

  • 최기헌;정주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94-298
    • /
    • 2016
  • 해양생물을 포함한 천연물질은 신약개발의 원천 소재로서 매력적이며, 특히 무수한 미지의 해양생물들의 연구가 관심을 받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미크로네시아에서 채취한 해면동물 40여종에 대하여 항증식 효과를 다양한 암세포주에서 검색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 Coscinoderma sp.의 작용 및 그 기전을 살펴보았다. 특히, 암 억제유전자 p53의 발현을 억제시킨 세포주(HCT116 p53KO과 RKO-E6)에서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세포생존률 시험에서 Coscinoderma sp. 추출물은 p53의 유무와 상관없이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p53 존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사멸 관련 단백질 발현양을 Coscinoderma sp. 처리한 각 세포주에서 비교하였다. 그 결과, Coscinoderma sp.를 HCT16 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p53과 Noxa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caspase-9이 분절되면서 감소하는 것으로부터 apoptosis를 일으킨다고 여겨진다. 반면, p53이 결핍된 HCT116세포주에서는 Coscinoderma sp.에 의하여 p21과 mTOR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senescence를 야기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로부터 Coscinoderma sp.는 p53의 존재여부에 따라 상이한 작용기전을 매개하여 대장암 세포주의 증식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새로운 항암제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Coscinoderma sp.의 활성 성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