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망 위험도

Search Result 78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stimating Values of Statistical Lives using Choice Experiment Method (선택실험법을 이용한 확률적 인간생명가치의 추정)

  • Shin, Young Chul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6 no.3
    • /
    • pp.683-699
    • /
    • 2007
  • This study applied the choice experiment (CE) method to measure values of statistical lives from multi-attributed mortality risk reduction choices. The four characteristics of mortality risk (i.e. cause of death, voluntariness of mortality risk, timing of death, magnitude of mortality risk reduction) are utilized to design the alternatives of choice sets. The estimation results for the multinomial logit model show that individuals are willing to pay 27,930 won per year for a change from the status quo to a $\frac{1}{100}$ mortality risk reduction for 10 years, 116,773 won per year for mortality risk reduction associated with adults, 97,682 won per year for voluntary mortality risk reduction, 77,234 won per year for involuntary mortality risk reduction. There were several estimates of VSL related to different attributes of mortality risk. The mean VSLs of infant/child/young adult ranged from 1,165 million won to 1,367 million won. The mean VSLs ranged from 1,631 million won to 1,833 million won for adult, and were between 1,128 million won and 1,330 million won for old person.

  • PDF

A Study on the Cause of Death Accident on Peak and Non-Peak Hours in Highway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첨두·비첨두시간대 고속도로 노선별 사망사고 원인 분석에 관한 연구)

  • Yoon, Byoung-Jo;Baek, Jun-Hyouk;Jung, So-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07-208
    • /
    • 2017
  • 본 연구는 전국 고속도로별 첨두 비첨두 시간에 발생되는 교통사고 중 사망사고의 주요 요인들을 발견하고 분석하여 각 노선별 사고 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남해선의 경우 첨두 시간에 발생되는 사망사고의 요인 중 주시태만이 첨두가 비첨두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고, 논산천안선, 호남선과 중부내륙선의 경우 모두 졸음의 사망사고 위험도가 첨두일 경우 비첨두의 경우보다 높게 나왔으며 논산천안선, 호남선의 경우 비첨두일 때 과속에도 영향을 받는 경향을 나타냈다. 특이하게 경부선의 경우 졸음의 사망사고 위험도가 오히려 비첨두일 경우가 첨두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비첨두일 경우 경인선, 서해안선, 영동선 등의 노선에서도 졸음, 주시태만과 과속의 위험도가 나타났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n Peak and non-peak hours Traffic Accident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첨두·비첨두시간 사고유형 비교분석 연구)

  • Yoon, Byoung-Jo;Ko, Eun-Hyeck;Yang, Sung-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63-264
    • /
    • 2016
  • 본 연구는 첨두 비첨두시간에 발생되는 교통사고의 주요 요인들을 발견하고 비교하여 각 시간대의 사고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흐린 날씨의 경우 첨두시간에 발생되는 사망사고 위험도가 비첨두시간의 경우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비첨두시간 사망사고 위험도의 경우 안개가 낀 날 증가하고 맑은 날 감소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과속의 경우 비첨두시간이 첨두시간의 경우 보다 크게 나타났고, 횡단 중인 보행자와 발생되는 사고에 대해서는 첨두시간의 사망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차량단독 사고의 경우 공작물과 충돌로 인한 사망위험도는 첨두시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도로 이탈로 인한 사망위험도는 비첨두시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특집 - 당뇨병환자 사망원인의 75%, 관상동맥질환

  • Kim, Gyeong-Su
    • The Monthly Diabetes
    • /
    • s.210
    • /
    • pp.11-13
    • /
    • 2007
  • 당뇨는 고혈압, 고지혈증, 흡연과 함께 관상동맥질환을 일으키는 4대 주요한 위험요인 중의 하나이다. 당뇨를 가지고 있으면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말초동맥질환을 비롯한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에 걸릴 위험이 증가한다. 관상동맥질환은 당뇨병환자에서 높은 유병율을 가지며 당뇨병환자의 사망원인의 75%는 죽상동맥경화와 관련이 있고 그 중 75%는 관동맥질환이다. 과거에 관동맥질환이 없는 당뇨병환자에서 급성심근경색의 발생위험은 현재 관동맥질환이 있는 환자와 같으며, 특히 여성에서 관동맥질환 사망위험도는 비당뇨여성의 5$\sim$8배로 현저히 높다. 치료법의 현저한 발전으로 관동맥질환의 사망률이 많이 줄어들었지만 당뇨병환자에서는 여전히 높은 상태이다.

  • PDF

Valuing Reduction of Mortality and Cancer Risks from a Contingent Valuation (사망위험감소 및 암 발생확률감소가치의 추정)

  • Hocheol Jeo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32 no.1
    • /
    • pp.1-26
    • /
    • 2023
  • This study employs the dichotomous choic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o estimate the Value of a Statistical Life (VSL) and the Value per Statistical Case (VSCC) of cancer risk. In contrast to the previous studies, which presented the mortality risk probability directly, the study uses conditional probability, which combines the chance of getting cancer and dying from it.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variables that may affect willingness to pay for reducing the risk of death from cancer and getting cancer, such as the impact on daily life and pain levels associated with cancer.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stimated cancer VSL ranges from approximately 952 million won to 3.359 billion won, while the VSCC is estimated to be between about 0.42 billion won and 2.72 billion won. The study find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SL depending on whether the reduction in mortality risk is from a decrease in the chance of getting cancer or a decrease in the chance of dying from cancer. However, the effect of impacts on daily activities and pain on willingness to pay is inconclusive.

Record Linkage를 통해 본 영아 사망 요인 분석

  • Lee, Han-Na;Lee, J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Health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21-125
    • /
    • 2005
  • 우리나라 영아 사망은 계속 감소를 보이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낮은 출산율이 최근 문제시되고 있다. 영아 사망률은 인구의 사회적 건강의 요인으로서 넓게 인식된다. 따라서 영아 사망률의 사인을 밝히는 것은 낮은 출생률에 대비하고 출생아가 건강한 성인으로 자라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서 중요한 연구가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Record linkage를 통해 2000년부터 2003년 까지의 출생 자료와 사망 자료를 통합하여 유아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관련 변수들을 보정한 상태에서 조산아의 유아 사망 위험비는 1.42(95%CI =1.25-1.63)로 나타났다. 그 외에 산모의 연령, 부모의 직업, 거주지역 등이 유의한 위험요인으로 나타났고 본 연구에서 저체중은 영아 사망의 위험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 PDF

Arterial Switch Operation: The Technical Modification of Coronary Reimplantation and Risk Factors for Operative Death (동맥전환술: 판상돔맥이식 수기변형과 수술사망의 위험인자)

  • 성시찬;이형두;김시호;조광조;우종수;이영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7 no.3
    • /
    • pp.235-244
    • /
    • 2004
  • Anatomic correction of the transposition of the great arteries (TGA) or Taussig-Bing anomaly by means of the arterial switch operation is now accepted as the therapeutic method of choice.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for operative deaths and the efficacy of technical modification of the coronary transfer. 85 arterial switch operations for TGA or Taussig-Bing anomaly which were performed by one surgeon from 1994 to July 2002 at Dong-A university hospital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Multivariate analysis of perioperative variables for operative mortality including technical modification of the coronary transfer was peformed. Overall postoperative hospital mortality was 20.0% (17/85). The mortality before 1998 was 31.0% (13/42), but reduced to 9.3% (4/43) from 1998. The mortality in the patients with arch anomaly was 61.5% (8/13), but 12.5% (9/72) in those without arch anomaly. In patients who underwent an open coronary reimplantation technique, the operative mortality was 28.1% (18/64), but 4.8% (1/21) in patients undergoing a technique of reimplantation coronary buttons after neoarotic reconstruction. Risk factors for operative death from multivariated analysis were cardiopulmonary bypass time ($\geq$ 250 minutes), aortic cross-clamping time ($\geq$ 150 minutes), aortic arch anomaly, preoperative event, and open coronary reimplantation technique. Operative mortality has been reduced with time. Aortic arch anomaly and preoperative events were important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mortality. However atypical coronary artery patterns did not work as risk factors. We think that the technical modification of coronary artery transfer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the postoperative mortality of arterial switch operation.

특집 예고 없이 찾아오는 심장질환, 생명을 위협한다! - 급증하고 있는 '허혈성 심장질환' _사망률 3위 심장질환, 해마다 무서운 속도로 증가

  •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 The Monthly Diabetes
    • /
    • s.256
    • /
    • pp.8-9
    • /
    • 2011
  • 당뇨병환자의 주요 사망원인은 동맥경화성 관상동맥질환이다. 당뇨를 가지고 있으면 협심증 심근경색 등과 같은 심장질환에 걸릴 위험이 더욱 증가해, 재발 및 사망률이 높아진다. 사망원인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할 만큼 매우 위험한 질환이지만 대부분의 당뇨병환자가 심장질환에 관해 부주의한 경우가 많고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고 있다.

  • PDF

The Advancement of Underwriting Skill by Selective Risk Acceptance (보험Risk 세분화를 통한 언더라이팅 기법 선진화 방안)

  • Lee, Chan-Hee
    • The Journal of the Korean life insurance medical association
    • /
    • v.24
    • /
    • pp.49-78
    • /
    • 2005
  • Ⅰ. 연구(硏究) 배경(背景) 및 목적(目的) o 우리나라 보험시장의 세대가입율은 86%로 보험시장 성숙기에 진입하였으며 기존의 전통적인 전업채널에서 방카슈랑스의 도입, 온라인전문보험사의 출현, TM 영업의 성장세 等멀티채널로 진행되고 있음 o LTC(장기간병), CI(치명적질환), 실손의료보험 등(等)선 진형 건강상품의 잇따른 출시로 보험리스크 관리측면에서 언더라이팅의 대비가 절실한 시점임 o 상품과 마케팅 等언더라이팅 측면에서 매우 밀접한 영역의 변화에 발맞추어 언더라이팅의 인수기법의 선진화가 시급히 요구되는 상황하에서 위험을 적절히 분류하고 평가하는 선진적 언더라이팅 기법 구축이 필수 적임 o 궁극적으로 고객의 다양한 보장니드 충족과 상품, 마케팅, 언더라이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보험사의 종합이익 극대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Ⅱ. 선진보험시장(先進保險市場)Risk 세분화사례(細分化事例) 1. 환경적위험(環境的危險)에 따른 보험료(保險料) 차등(差等) (1) 위험직업 보험료 할증 o 미국, 유럽등(等) 대부분의 선진시장에서는 가입당시 피보험자의 직업위험도에 따라 보험료를 차등 적용중(中)임 o 가입하는 보장급부에 따라 직업 분류방법 및 할증방식도 상이하며 일반사망과 재해사망,납입면제, DI에 대해서 별도의 방법을 사용함 o 할증적용은 표준위험율의 일정배수를 적용하여 할증 보험료를 산출하거나, 가입금액당 일정한 추가보험료를 적용하고 있음 - 광부의 경우 재해사망 가입시 표준위험율의 300% 적용하며, 일반사망 가입시 $1,000당 $2.95 할증보험료 부가 (2) 위험취미 보험료 할증 o 취미와 관련 사고의 지속적 다발로 취미활동도 위험요소로 인식되어 보험료를 차등 적용중(中)임 o 할증보험료는 보험가입금액당 일정비율로 부가(가입 금액과 무관)하며, 신종레포츠 등(等)일부 위험취미는 통계의 부족으로 언더라이터가 할증율 결정하여 적용함 - 패러글라이딩 년(年)$26{\sim}50$회(回) 취미생활의 경우 가입금액 $1,000당 재해사망 $2, DI보험 8$ 할증보험료 부가 o 보험료 할증과는 별도로 위험취미에 대한 부담보를 적용함. 위험취미 활동으로 인한 보험사고 발생시 사망을 포함한 모든 급부에 대한 보장을 부(不)담보로 인수함. (3) 위험지역 거주/ 여행 보험료 할증 o 피보험자가 거주하고 있는 특정국가의 임시 혹은 영구적 거주시 기후위험, 거주지역의 위생과 의료수준, 여행위험, 전쟁과 폭동위험 등(等)을 고려하여 평가 o 일반사망, 재해사망 등(等)보장급부별로 할증보험료 부가 또는 거절 o 할증보험료는 보험全기간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 - 러시아의 경우 가입금액 $1,000당 일반사망은 2$의 할증보험료 부가, 재해사망은 거절 (4) 기타 위험도에 대한 보험료 차등 o 비행관련 위험은 세가지로 분류(항공운송기, 개인비행, 군사비행), 청약서, 추가질문서, 진단서, 비행이력 정보를 바탕으로 할증보험료를 부가함 - 농약살포비행기조종사의 경우 가입금액 $1,000당 일반사망 6$의 할증보험료 부가, 재해사망은 거절 o 미국, 일본등(等)서는 교통사고나 교통위반 관련 기록을 활용하여 무(無)사고운전자에 대해 보험료 할인(우량체 위험요소로 활용) 2. 신체적위험도(身體的危險度)에 따른 보험료차등(保險料差等) (1) 표준미달체 보험료 할증 1) 총위험지수 500(초과위험지수 400)까지 인수 o 300이하는 25점단위, 300점 초과는 50점 단위로 13단계로 구분하여 할증보험료를 적용중(中)임 2) 삭감법과 할증법을 동시 적용 o 보험금 삭감부분만큼 할증보험료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어 청약자에게 선택의 기회를 제공할수 있으며 고(高)위험 피보험자에게 유용함 3) 특정암에 대한 기왕력자에 대해 단기(Temporary)할증 적용 o 질병성향에 따라 가입후 $1{\sim}5$년간 할증보험료를 부가하고 보험료 할증 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표준체보험료를 부가함 4) 할증보험료 반환옵션(Return of the extra premium)의 적용 o 보험계약이 유지중(中)이며, 일정기간 생존시 할증보험료가 반환됨 (2) 표준미달체 급부증액(Enhanced annuity) o 영국에서는 표준미달체를 대상으로 연금급부를 증가시킨 증액형 연금(Enhanced annuity) 상품을 개발 판매중(中)임 o 흡연, 직업, 병력 등(等)다양한 신체적, 환경적 위험도에 따라 표준체에 비해 증액연금을 차등 지급함 (3) 우량 피보험체 가격 세분화 o 미국시장에서는 $8{\sim}14$개 의적, 비(非)의적 위험요소에 대한 평가기준에 따라 표준체를 최대 8개 Class로 분류하여 할인보험료를 차등 적용 - 기왕력, 혈압, 가족력, 흡연, BMI, 콜레스테롤, 운전, 위험취미, 거주지, 비행력, 음주/마약 등(等) o 할인율은 회사, Class, 가입기준에 따라 상이(최대75%)하며, 가입연령은 최저 $16{\sim}20$세, 최대 $65{\sim}75$세, 최저보험금액은 10만달러(HIV검사가 필요한 최저 금액) o 일본시장에서는 $3{\sim}4$개 위험요소에 따라 $3{\sim}4$개 Class로 분류 우량체 할인중(中)임 o 유럽시장에서는 영국 등(等)일부시장에서만 비(非)흡연할인 또는 우량체할인 적용 Ⅲ. 국내보험시장(國內保險市場) 현황(現況)및 문제점(問題點) 1. 환경적위험도(環境的危險度)에 따른 가입한도제한(加入限度制限) (1) 위험직업 보험가입 제한 o 업계공동의 직업별 표준위험등급에 따라 각 보험사 자체적으로 위험등급별 가입한도를 설정 운영중(中)임. 비(非)위험직과의 형평성, 고(高)위험직업 보장 한계, 수익구조 불안정화 등(等)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음 - 광부의 경우 위험1급 적용으로 사망 최대 1억(億), 입원 1일(日) 2만원까지 제한 o 금융감독원이 2002년(年)7월(月)위험등급별 위험지수를 참조 위험율로 인가하였으나, 비위험직은 70%, 위험직은 200% 수준으로 산정되어 현실적 적용이 어려움 (2) 위험취미 보험가입 제한 o 해당취미의 직업종사자에 준(準)하여 직업위험등급을 적용하여 가입 한도를 제한하고 있음. 추가질문서를 활용하여 자격증 유무, 동호회 가입등(等)에 대한 세부정보를 입수하지 않음 - 패러글라이딩의 경우 위험2급을 적용, 사망보장 최대 2 억(億)까지 제한 (3) 거주지역/ 해외여행 보험가입 제한 o 각(各)보험사별로 지역적 특성상 사고재해 다발 지역에 대해 보험가입을 제한하고 있음 - 강원, 충청 일부지역 상해보험 가입불가 - 전북, 태백 일부지역 입원급여금 1일(日)2만원이내 o 해외여행을 포함한 해외체류에 대해서는 일정한 가입 요건을 정하여 운영중(中)이며, 가입한도 설정 보험가입을 제한하거나 재해집중보장 상품에 대해 거절함 - 러시아의 경우 단기체류는 위험1급 및 상해보험 가입 불가, 장기 체류는 거절처리함 2. 신체적위험도(身體的危險度)에 따른 인수차별화(引受差別化) (1) 표준미달체 인수방법 o 체증성, 항상성 위험에 대한 초과위험지수를 보험금삭감법으로 전환 사망보험에 적용(최대 5년(年))하여 5년(年)이후 보험 Risk노출 심각 o 보험료 할증은 일부 회사에서 주(主)보험 중심으로 사용중(中)이며, 총위험지수 300(8단계)까지 인수 - 주(主)보험 할증시 특약은 가입 불가하며, 암 기왕력자는 대부분 거절 o 신체부위 39가지, 질병 5가지에 대해 부담보 적용(입원, 수술 등(等)생존급부에 부담보) (2) 비(非)흡연/ 우량체 보험료 할인 o 1999년(年)최초 도입 이래 $3{\sim}4$개의 위험요소로 1개 Class 운영중(中)임 S생보사의 경우 비(非)흡연우량체, 비(非)흡연표준체의 2개 Class 운영 o 보험료 할인율은 회사, 상품에 따라 상이하며 최대 22%(영업보험료기준)임. 흡연여부는 뇨스틱을 활용 코티닌테스트를 실시함 o 우량체 판매는 신계약의 $2{\sim}15%$수준(회사의 정책에 따라 상이) Ⅳ. 언더라이팅 기법(技法) 선진화(先進化) 방안(方案) 1. 직업위험도별 보험료 차등 적용 o 생 손보 직업위험등급 일원화와 연계하여 3개등급으로 위험지수개편, 비위험직 기준으로 보험요율 차별적용 2. 위험취미에 대한 부담보 적용 o 해당취미를 원인으로 보험사고(사망포함) 발생시 부담보 제도 도입 3. 표준미달체 인수기법 선진화를 통한 인수범위 대폭 확대 o 보험료 할증법 적용 확대를 통한 Risk 헷지로 총위험지수 $300{\rightarrow}500$으로 확대(거절건 최소화) 4. 보험료 할증법 보험금 삭감 병행 적용 o 삭감기간을 적용한 보험료 할증방식 개발, 고객에게 선택권 제공 5. 기한부 보험료할증 부가 o 위암, 갑상선암 등(等)특정암의 성향에 따라 위험도가 높은 가입초기에 평준할증보험료를 적용하여 인수 6. 보험료 할증법 부가특약 확대 적용, 부담보 병행 사용 o 정기특약 등(等)사망관련 특약에 할증법 확대, 생존급부 특약은 부담보 7. 표준체 고객 세분화 확대 o 콜레스테롤, HDL 등(等)위험평가요소 확대를 통한 Class 세분화 Ⅴ. 기대효과(期待效果) 1. 고(高)위험직종사자, 위험취미자, 표준미달체에 대한 보험가입 문호개방 2. 보험계약자간 형평성 제고 및 다양한 고객의 보장니드에 부응 3. 상품판매 확대 및 Risk헷지를 통한 수입보험료 증대 및 사차익 개선 4. 본격적인 가격경쟁에 대비한 보험사 체질 개선 5. 회사 이미지 제고 및 진단 거부감 해소, 포트폴리오 약화 방지 Ⅵ. 결론(結論) o 종래의 소극적이고 일률적인 인수기법에서 탈피하여 피보험자를 다양한 측면에서 위험평가하여 적정 보험료 부가와 합리적 가입조건을 제시하는 적절한 위험평가 수단을 도입하고, o 언더라이팅 인수기법의 선진화와 함께 언더라이팅 인력의 전문화, 정보입수 및 시스템 인프라의 구축 등이 병행함으로써, o 보험사의 사차손익 관리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보험시장 개방 및 급변하는 보험환경에 대비한 한국 생보언더라이팅 경쟁력 강화 및 언더라이터의 글로벌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임.

  • PDF

Clinical Study and Risk Factors of Surgical Mortality of Congenital Heart Defects (선천성 심장기형의 임상고찰 및 수술사망율에 미치는 위험인자의 분석)

  • 이상호;김병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0 no.1
    • /
    • pp.17-26
    • /
    • 1997
  • Objeitives. The surgical mortality of congenital heart defects has been reduced (or the very young age group. Especially, young age at repair is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mortality after repair of tetralogy of Falloff. Some risk factors were analyzed Methods. Three hundred and sixty six patients underwent surgical Intervention. Ages ranged from 5 days to 64 years, and 80 patients were adults(over 15 years of age). The defects consisted of 313(84.2%) acyanotic and 53(15.8%) cyanotic anomalies. The surgical mortalities were evaluated by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The overall surgical mortality was 10.4%. Mos deaths occurred in the infant group younger than 6 months(20/38 deaths) and in cyanotic group(21/38 deaths). Surgical infant mortality younger than 12 months was 24.8%(25/101). Risk factors of mortality in open heart surgery were age(p< 0.0001), body weight(p< 0.0001), pump time(p< 0.0001), aortic cross clamp time(p< 0.0001), use of total circulatory arrest(p<0.0001) and cyanotic disease(p<0.0001) by univariate analysis. But by multivariate analysis, the risk factor of mortality in open heart surgery was disease entity(p=0.002) only. A disease group with the highest risk was a cyanotic group(odds ratio was 15.3 relative to ventricular septal defect) excluding tetralogy of Falloff(odds ratio=0.27). Conclusions. Even though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was disease entity, we should conentrate our efforts on the technically improvable factors affecting surgical mortality indicated by univarlate analy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