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망 수준

Search Result 34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Regional Differentials in Mortality in Korea, 1990-2000 (사망력 수준의 시ㆍ군별 편차 및 그 변화 추이, 1990∼2000)

  • 김두섭;박효준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6 no.1
    • /
    • pp.1-30
    • /
    • 2003
  •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effects of ecological and socioeconomic factors on the level of mortality and the changing trends of such effects during the period of 1990∼2000. For this purpose the population census data and micro-data from the vital statistics for years 1990, 1995 and 2000 were used. As indicators of mortality, the crude death rate(CDR), the standardized death rate(SDR) and the longevity rate were calculated for 170 'Si' s and 'Gun's. Using GIS, this paper first presents the mortality and longevity maps for years 1990, 1995 and 2000. Then ANOVA and regression analyses are carried out in an effort to generalize the effects of ecological and socioeconomic factors on the CDR, the SDR and the longevity rate. When the mortality and longevity maps are examined, three indices of mortality are found to be markedly high in the southwest coastal regions of Cholla-Nam-Do. By contrast, Seoul and Pusan metropolitan areas show substantially low level of mortality and longevity in these indices. It is also found that the regional differentials in the SDR and the longevity rate show a trend of becoming smaller after 1990. The research, however, does not find any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SDR and the longevity rate. The causal mechanisms of the two indices are found to be different. The results of the ANOVA and the regression analysis reveal that the locational factors of both mountainous and farming regions tend to increase the CDR and SDR while both coastal and farming regions disclose a tendency of increasing the longevity rate.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se analytical results is found to be weaker when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education, income, marital status, availability of medical care, and sanitary conditions of the region are taken into account. The regional differentials in the mortality level seem to have a clear relationship not only with the socioeconomic factors but also with the age structure influenced by the age selectivity of migration during the past 40 years.

Examination on Data for the Estimation of Infant Mortality Level (영아사망수준 추정 자료에 대한 고찰)

  • 박경애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4 no.1
    • /
    • pp.67-90
    • /
    • 2001
  •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KNSO) estimated period birth rates, period death rates, and probability of dying for infant(q$q_{0}$) at period life table, considering the unregistered infant deaths. A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MHW) conducted 1993 and 1996 birth cohort infant death surveys. KNSO re-estimated infant mortality levels(especially q$q_{0}$). For the re-estimation, reference data were derived from death registration. MHW surveys, death registration of developed countries. Model Life Tables, and Life Table for Japan. Seventeen simulations were made by the combination of estimation methods and reference data. The final $q_{0}$ was estimate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q_{0}$ of MHW 1993 survey and $q_{1-4}$ of registered deaths for the period of 1971~1997. For 1993, $q_{0}$ was calculated directly from the 1993 MHW survey and interpolation and extrapolation were made for 1995 and 1997 using the relative decrease rates of $q_{0}$ between 1993 and 1996 MHW surveys. Utilizing the formular of Coale-Demeny North Model, $q_{0}$ was transformed into $m_{0}$ for the period 1971~1997. Finally, cremation data are found to be very useful for the estimation of 1998 infant mortality level by supplementing unregistered infant deaths, especially neonatal deaths. Furthermore, they are found to be very useful to produce fetal and perinatal death statistics.

  • PDF

Follicle Cell Death during Ovarian Atresia in the Rat (Rat난소폐쇄에서의 난포의 사망기전)

  • ;;A. J. W. Hsueh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20 no.4
    • /
    • pp.385-393
    • /
    • 1997
  • 다세포 생물에서 몸의 효율적 생존을 위한 각 기관의 homeostasis는 세포 증식과 사망에 의해 조절된다. 따라서, apoptosis라 명명된 세포사망은 정교한 기전에 의한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사망기전으로써 몸의 정상적 유지를 위한 필수적인 현상이다. 발생기 세포나 신경세포 또는 흉선세포 분화 동안 과다한 세포의 제거가 apoptosis의 대표적인 예이며, 각종 호르몬에 의해 그 기능이 조절되는 난소세포에서도 apoptosis가 활발히 일어난다. Rat난소에는 태어날 때 수십 만개의 난포를 지니고 있는데, 이 중 단지 1%만이 배란에 사용되어질 뿐이고 나머지는 모두 사망하게 된다. 이러한 난포사망은 난소의 적절한 세포 수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 과정이며, 인위적으로 apoptosis를 억제하는 유전자인 bcl-2를 과다 발현시키면 난소암이 발생하는 연구결과가 이를 입증해주고 있다. 이처럼 중요한 난포 사망기전은 apoptosis라는 개념이 정립되면서 최근 들어 점차 그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Apoptosis의 특징 중 뚜렷한 점은 DNA가 일정한 간격으로(180∼200 bp)잘려지는 DNA fragmentation현상으로, 이를 이용하여 DNA3'-end 부위에 방사선동위원소를 label한 후 이를 전기영동으로 분리하면 apoptosis를 손쉽게 측정할 수 있다. 난소의 기능은 시상하부호르몬인 LH와 FSH 뿐만 아니라 난소에서 분비되는 각종 난소국부호르몬들에 의해 조절된다. 특정한 발육단계의 난포는 특정한 호르몬에 의해 그 기능을 조절 받는데, 이러한 난소기능 조절기작은 매우 복잡한 경로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복잡한 기작으로 인해 초기 연구에서첨 생체 내에서 밝히려는 연구 시도는 어려움에 부딪치게 되었다. 생체내 실험은 난소가 다양한 발육단계의 난포를 동시에 지니고 있어 특정한 발육단계의 난포 사망기전을 연구하기 어렵다. 또한 난포는 생체 내에서 다양한 호르몬을 동시에 분비하기 때문에 특정한 난소국부호르몬이 사망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힘든 점이 있다. 최근 들어 난포체외배양이 다양하게 개발되면서, 이러한 어려운 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은 각 발육단계의 난포를 절단해 체외배양하면서, apoptosis DNA 절단 현상을 이용하여 각종 난소국부 호르몬들이 난포발육단계별로 사망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해 보였다. 난포는 발육하면서 점차 복잡한 호르몬 경로를 생존을 위해 필요로 한다. Prevulatory난포생존에 필요한 난소국부호르몬들은 early antral 단계의 난포에서는 그 미치는 영향이 감소되다가 preantral단계의 난포에서는 영향을 전혀 미치지 못했다. 단지 예외는 cGMP처리로써, 세포내 cGMP수준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것이 난포발육단계에 무관하게 생존에 중요한 인자로, 장래 연구는 난포 세포내의 cGMP수준을 조절하는 기작을 규명하는데 있을 것이다.

  • PDF

출생 및 사망신고체계의 현황과 발전방향

  • Park Jeong-Han
    • 대한예방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1.04a
    • /
    • pp.50-72
    • /
    • 2001
  • 국민건강 수준과 문제점의 파악, 보건사업의 기획 및 평가를 위해 정확한 출생과 사망에 관한 통계자료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출생신고 이전에 신생아가 사망하는 경우에 대부분 출생과 사망 모두를 신고하지 않아 영아사망률을 비롯한 보건통계를 산출하지 못하여 합리적인 보건사업의 기획 및 평가가 어려우며, OECD 회원국으로서 제시해야 할 기본적인 보건통계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현행 출생신고자료에는 신생아와 산모의 건강상태에 관한 자료가 없어 보건서비스제공과 모자보건관련 역학적 연구에 활용 가치가 거의 없다. 지역보건의료정보화, 예방접종기록전산화, 미숙아 및 선천성기형아 등록 등 각종 등록 및 전산화사업이 진행중이나 이러한 사업들이 독립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같거나 비슷한 자료의 중복 입력하게 되고, 상호 연계가 되지 않아 자료의 활용성이 낮고, 그 어느 사업도 전체 분모를 파악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전산정보체계의 확립으로 해결할 수 있다. 약 99%의 분만이 의료기관에서 일어나고, 정부의 초고속 통신망을 비롯한 의료기관과 보건소의 전산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전산정보체계를 위한 여건이 성숙되고 있다. 분만의료기관이 산모의 거주지 보건소로 직접 출생신고를 하면 보건소는 적기에 산모와 신생아에게 필요한 보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보건소가 읍 면 동사무소로 출생신고 자료를 전송하면 산모는 동사무소에 가지 않고도 출생신고를 할 수 있으며, 보건통계자료수집과 출생신고관리에 필요한 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정확한 생정통계를 얻을 수 있고, 예방접종기록과 미숙아 및 선천성기형아 등록은 쉽게 해결되고, 완전한 보건사업대상자의 database를 구축할 수 있어 평생건강관리체계의 기틀을 마련하게 된다. 이러한 전산신고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연자 등은 정부의 연구용역사업으로 전산프로그램과 표준신고양식과 신고체계를 개발하여, 포항과 천안시에서 2000년 3월에서 8월까지 시험 운영하였다. 시험운영결과 출생신고율은 99.9%이었으나 신생아사망의 전산신고율은 11.1%로 낮았다. 그러나 일단 출생신고된 신생아의 사망은 반드시 확인될 수 있는 것이 본 신고체계의 큰 장점이었다. 전산신고의 중요한 장애 요소는 현행법상 의료기관이 출생신고를 직접 할 의무가 없으므로 신고를 강요할 수 없고, 의료기관의 일손 부족으로 출생신고서를 충실하게 기재하지 못하는 것과 의료기관간의 전산화 수준의 차이가 심한 것이었다. 의료기관이 직접 신고를 하도록 하기 위하여 모자보건법 등 관련법 개정이 필요하며, 의료기관의 출생신고자료 송부에 대한 정당한 보상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의료기관 간의 전산화 수준의 차이는 data warehousing과 on-line analytical processing과 같은 기술을 이용하면 해결 가능할 것이다.

  • PDF

Exploring Multidimensional Public Health Data Using Self Organizing Map and GIS (자기조직화지도와 GIS를 이용한 다차원 공중보건자료의 탐구적 분석)

  • Sohn, Chul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0 no.6
    • /
    • pp.23-32
    • /
    • 2012
  • This study applied an exploratory analysis based on Self Organizing Map and GIS to cause specific age-standardized regional death rates data related to ten types of male cancers to find meaning patterns in the data. Then the patterns revealed from the exploratory analysis was evaluated to investigate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these patterns and regional socio-economic status represented by regional educational attainment levels of head of household. The results from this analysis show that SI-GUN-GUs in Korea can be clustered to eighteen unique clusters in the stand point of male cancer death rates and these clusters are also spatially clustered. Also, the results reveal that regions with higher socio-economic status show lower level of the death rates compared with the regions with lower socio-economic status. However, for some cancer types, the regions with higher socio-economic status show relatively higher death rates. These patterns imply that the prevention, detection, and treatment of male cancers might be strongly affected by regional factors such as socio-economic status, environmental factors, and cultures and norms in Korea. Especially, one of the eighteen clusters, which includes Gangnam-Gu and Seocho-Gu, shows lower death rates in many of male cancer types. This implies that socio-economic status may b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for regional cancer control.

An Explanatory Data Analys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ortality Level and Four Indicators Relating to the Causes Mortality Decline (사망수준과 사망 원인관련 지표들 간의 관계에 대한 자료탐색 분석)

  • Lee Sung Yong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6 no.2
    • /
    • pp.33-6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ree factor -socioeconomic development, public health development, egalitarian nature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affecting mortality declines. Infant mortality rate and life expectancy at birth are used as the mortality index, that is the dependent variables, while GNP is used as the indicator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primary school enrollment ratio of female as the indicator of egalitarian nature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population per hospital bed as the indicator of public health. The data of these variables are collected two time-periods -before 1970 and during 1970-1980- over 50 countries. The explanatory data analysis is used as the statistical technique. We can fin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dependent variable and independent variables are linear or nonlinear, and which case is the influential case in our model.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First, the association between infant mortality rates and four indices are not linear. The most important factor explaining the variation of infant mortality is GNP, while primary enrollment of female is the second and GINI is the third important factor. However, population per hospital bed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fant mortality rates in this study. Second, life expectancy at birth is log-linearly related to GNP. Unlike infant mortality rates, the most important factor explaining the variation of life expectance at birth is women's education and the next important factor GNP, and then the third one GINI. But, still population per hospital bed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variation of life expectance in this study.

A study on the Korean Average Marital Life Expectancy by a Standard of Education (교육수준에 따른 한국인의 유배우기대여명)

  • Woo, Won-Kyu;Cho, Young-Tae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2 no.1
    • /
    • pp.93-111
    • /
    • 2009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changes of marital status and average marital life expectancy in Korea according to educational attainment. The study produces Korean marriage life table to accomplish the goal of study by introducing Wolfbein-Wool style working life table. Specific data utilized in this study are collected from the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5 and Death Census 2005. Educational attainment i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o accommodate to this study: elementary school course and lower, middle school course, high school course, college course and higher. Marriage rate, divorce rate, widowhood rate and death rate according to educational attainment are used as basicdata to analyze marital life expecta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s subjects age is younger, the average marital life expectancy of the highly educated tends to be higher. The disparity of average marital life expectancy according to educational attainment is apt to become narrow as subjects age is older. However, the gap between people who graduated from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n older age group does not distinctive. 2. Males marital life expectancy is higher than females controlling for their educational attainment. 3. Males live with their wife for most of their lives but females live alone more than 10 years in every single educational categories. Based on the above,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average marital life expectancy is differentiated among age and sex according to educational attainment. Marital rate tends to be higher as educational level is higher. Divorce rate is lower in the highlyeducated group as their age is younger but this is apt to reverse as age is older. Furthermore, bereavement rate shows division according to educational attainmentsince one tends to marry other who has similar level of education with him or her. Therefore, educational attainment acts as an significant factor in Korean average life expectancy.

Differences in Medical Care Utilization by Regional Economic Status (지역 소득수준에 따른 의료이용의 차이)

  • Lim, Nam G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10
    • /
    • pp.459-46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medical care utilization by regional economic status using the National Hospital Discharge Patients Injury Survey. In order to determine economic status of each region, 234 cities and counties were categorized 5 quintiles according to their financial self-reliance ratio.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w economic region has high age-standardized admission rate and standardized mortality rate. Second, of 16 major diseases, cerebrovascular and heart diseases, lung cancer, and stomach cancer reported greater changes in standardized mortality rate by regional economic status. Third, the rate of admission via emergency room in low economic region is higher than that of high economic region. Lastly, in the major illnesses, lower economic status led to an increase in average length of stay. Therefore, In order to bridge the gap in health inequality across regions, a regional medical policy tailored for each reg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economic status should be established.

Comparison of mortality on discharged to residential area inpatients with Seoul area (거주지 입원과 서울 입원의 퇴원시 사망률 비교)

  • Lim, Ji-Hy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517-520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 환자의 거주지 입원과 서울 입원의 퇴원시 사망률을 비교하여 치료결과를 파악함으로써 향후의 효과성 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2005년, 2008년도 환자조사 자료 중 지방거주 환자 자료 333,280건과 419,873건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카이제곱 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퇴원시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연도, 성, 보험유형, 의료기관유형, 입원경로, 내원경위, 주진단, 거주지의 효과를 통제한 후 살펴본 결과 거주지 입원환자의 퇴원시 사망률이 서울 입원환자에 비해 2.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환자의 경우도 효과를 통제한 후 퇴원시 사망률을 살펴본 결과 거주지 입원환자의 사망률이 서울 입원환자에 비해 3.4 배 높게 나타났다. 정부는 지역주민의 의료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의료공급량의 확충과 분배보다는 지역의료의 질적수준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정책을 펼쳐야 한다.

  • PDF

MCH SERVICE SYSTEM IN KOREA AND PROBLEMS OF SERVICES IN COMMUNITY (한국의 모자보건사업체계 및 지역사회에서의 서비스 문제)

  • Hong, Moon-Sik;Hwang, Na-Mi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v.10 no.1
    • /
    • pp.98-105
    • /
    • 1993
  • 최근 경제수준 향상과 소자녀 가치관의 확립, 그리고 전국민 의료보험 실시 등으로 인하여 모자보건 대상자의 대부분은 민간 의료시설의 전문인력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었고, 모자보건 수준도 급격히 향상, 1992년 시설분만율의 경우, 99%에 도달하였다. 이렇듯 의료시설 이용의 증가와 의료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영아사망율 및 모성사망율이 최근 몇년동안 같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음은, 보다 질적인 관리측면으로 사업의 방향이 전환되어야 함을 의미하는데 이는 곧 공공성을 띠고 있는 모자보건사업을 국가가 관리하여야 할 필요성을 더욱 크게 한다. 공공부문에서는 취약대상을 위하여 민간 전문인력과의 유기적인 연계체계를 마련하여 계속적인 관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보건교육 강화를 위한 관련 홍보물(모자보건수첩 활용, 모유수유 권장, 제왕절개수술 지양 등)을 제작하며 신경아세포종 검사 등과 같은 새로운 예방사업 개발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또한 영유아관리는 저체중아 및 장애아에 대한 추구관리서비스까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현 우리나라 주산기구급이송체계는 응급의료체계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주산기관리를 위한 의료여건이 성숙되어 있지 못하고 있는데다(이 시기의 집중관리를 통하여 사망 및 장애아 예방이 가능) 관련 제도마저 취약하여 민간의료부문에서는 영아사망 및 모성사망을 낮추기 위해서는 이 부문에 대한 노력이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주산기학, 신생아학 전문인력의 훈련제도 확립파 주산기 관리시설의 지역적 적정분배(분만 2,000건에 1개 시설마련), 둘째, 집중적인 인력과 고가장비가 투입되는 주산기 의료활동 강화를 위한 관련 의료제도의 수정 및 보완, 세째, 질적관리가 매우 중시되는 고위험 신생아의 집중관리를 위한 '표준 의료관리지침서' 마련, 네째, 동 시설 및 관리에 준하여 주산기 의료시설에 대한 감독 및 감시기능 강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