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료첨가제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4초

Staphylococcus aureus와 Salmonella gallinarum에 대한 한약재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Medicinal Herb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gallinarum.)

  • 최일;장형수;윤영민;엄주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7-183
    • /
    • 2002
  • 40여종의 한약재추출물을 제조하여 가금질병에 관련이 있는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오미자, 천련자, 소목 및 오배자 추출물은 Salmonella gallinarum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향유, 육두구, 초두구, 지실, 하고초, 소목 및 오배자 추출물은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천련자, 소목 및 오배자 추출물의 S. gallinarum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1.2 ㎎/ml이며 오배자 추출물의 S. aureus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0.6 mg/ml로 가장 낮은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보였다. 열에 의한 항균활성 변화에 있어서 오미자와 오배자 추출물은 S. gallinarum에 대한 항균럭이 감소하였고 초두구와 소목 추출물은 S. aureus 에 대해 항균력이 안정하였다. pH에 의한 항균활성의 변화에서 S. gallinarum에서 오미자가, S. aureus에서는 향유, 지실 및 오배자는 산성역에서는 비교적 안정하였으나 알칼리역에서 불안정하였으며 소목은 산성과 알칼리역에서 안정하였다. 항균력이 가장 우수한 오배자와 소목 추출물의 미생물 증식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증식배지에 0, 100, 300 및 500 ppm의 추출물을 첨가하여 균주의 증식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배양후 24시간에 무첨가구에 비해 100 ppm이상의 오배자 추출물 첨가시 시험 균의 증식을 현저히 억제하였고, 소목 추출물에서도 무첨가구보다 300 ppm 이상의 추출물 첨가시 시험 균의 증식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이런 결과를 종합하면 가금 질병을 유발하는 S. gallinarum과 S. aureus를 예방 할 수 있는 사료첨가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Kocuria gwangalliensis 유래 phytoene desaturase 유전자의 cloning과 특성 연구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the Gene Encoding Phytoene Desaturase from Kocuria gwangalliensis)

  • 서용배;최성석;남수완;김군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26-235
    • /
    • 2017
  • Phytoene, lycopene, ${\beta}-carotene$과 같은 카로티노이드는 식품의 착색제나 영양보조제, 사료첨가제,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된다. 이전 연구에서 본 연구진은 분홍색의 색소를 생산하는 새로운 해양 세균인 K. gwangalliensis를 분리 동정하였다. Phytoene desaturase (CrtI) 효소는 crtI 유전자에 암호화되어 있으며, phytoene을 lycopene으로 전환하며, 카로티노이드 합성 초기 단계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CrtI는 카로티노이드 생합성 조절의 주요 효소 중 하나이며, 다양한 카로티노이드를 생합성하는 생물들의 카로티노이드 생합성 경로에 있어서 속도 조절 단계에 관련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K. gwangalliensis로부터 lycopene 생합성을 담당하는 crtI 유전자를 클로닝 하였으며, 이 유전자는 1,584개의 염기서열을 가지며, 527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고 있다. crtI 유전자의 염기 서열을 Kocuria rhizophila와 Myxococcus xanthus를 포함한 다른 종의 염기 서열과 비교한 결과, 진화 과정에서 잘 보존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crtI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 플라스미드를 구축하여 발현시킨 결과, 이 플라스미드를 함유하는 대장균은 약 57 kDa의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화였으며, 이는 phytoene desaturase의 분자량에 해당한다. lycopene의 생합성은 lycopene 생합성에 필요한 crtE, crtB 유전자를 포함한 pRScrtEB plasmid를 E. coli에 형질전환 했을 때, Escherichia coli에서 합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분자 수준에서 K. gwangalliensis CrtI의 1차 구조에 대한 폭 넓은 지식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잠재적 사료첨가제로서 Pediococcus acidilactici SRCM102607의 생균제 특성 및 면역활성 효과 (Probiotic Properties and Immunomodulator Evaluation of the Potential Feed Additive Pediococcus acidilactici SRCM102607)

  • 신수진;하광수;정수지;류명선;김진원;양희종;곽미선;성문희;정도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896-90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가축의 면역증강용 생균제 개발을 위하여 Pediococcus acidilactici SRCM102607의 프로바이오틱스 특성 및 면역활성을 조사하였다.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유산균을 분리 하였고, 분리 유산균을 대상으로 가축유해 미생물 5종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5종의 유산균을 1차 선별하였고, 이를 대상으로 생균제 소재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용혈성, 담즙산염 분해효소, 항산화 활성 분석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SRCM102607을 선별하였으며,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Pediococcus acidilactici SRCM102607로 명명하였다. SRCM102607의 pH 2 조건에서 내산성은 1.54×105 CFU/ml의 생균수를 보였으며, 0.5% 이상의 oxgall이 포함된 조건에서도 105 CFU/ml 이상의 높은 생균수를 나타내었다. 또한, 선발균주의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항생제 내성 및 분해 효소능을 측정하였고 다양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과 유해 효소를 생성하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최종적으로 면역 증강제로서의 활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TNF-α 생성능(171.86±4.00 ng/ml)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SRCM102607은 가축 생균제 소재로 활용 가능성과 면역활성이 뛰어난 유산균으로 생균제 산업에서의 잠재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버섯 균사체 혼합 배양 추출물의 항균, 항산화 및 항암 활성 (Antibacterial,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vities of mushroom mycelium mixed culture extracts)

  • 김만철;김주상;허문수
    • KSBB Journal
    • /
    • 제23권2호
    • /
    • pp.158-163
    • /
    • 2008
  • 버섯 균사체 혼합배양액을 이용하여 어류질병세균에 대한 항균 및, 항산화활성, 그리고 인체 암세포에 대한 항암 활성을 조사하였다. 항균활성 측정 결과 대부분의 시료에서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YM broth에서 배양한 상황버섯과 운지버섯 균사체 배양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띄었지만 10% 감귤추출물배지에서 배양한 상황버섯과 운지버섯 균사체 배양 추출물 또한 비교적 활성이 높아 합성배지가 고가임을 고려할 때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항산화 활성의 측정결과 10% 감귤추출물배지에서 배양한 상황버섯, 운지버섯, 꽃송이 버섯 균사체 배양추출물과 PD broth에서 배양한 상황버섯과 운지버섯 균사체 배양 추출물의 경우 1 mg/ml에서 90%에 가까운 라디컬 소거활성을 보였다. 항암활성 측정결과 10% 감귤추출액만을 첨가한 대조군보다 모든 실험구가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10% 감귤추출물배지에서 배양한 상황버섯, 운지버섯 배양 추출액과 10% 감귤추출물배지에서 배양한 상황버섯, 운지버섯, 꽃송이버섯 균사체 배양 추출액이 높은 활성을 나타났다. 이러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측정한 결과 최종적으로 감귤농축액이 첨가된 버섯균사체 배양 추출물들의 활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귤의 천연배지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감귤농축액 및 버섯균사체 혼합 배양을 이용한 다양한 사료첨가제 및 신소재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세균에 의해 면역이 유도된 동애등에의 항균활성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Bacterial-challenged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 박관호;윤은영;박승원;구태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409-1414
    • /
    • 2016
  • 동애등에(Hermetia illucens)를 포함한 곤충은 불량환경에서 오랜 진화의 역사를 통해 병원균 침입에 대응하기 위하여 강력한 항균 펩타이드를 발현하는 선천성 면역기전을 보유하고 있다. 동애등에 생체 내 항균펩타이드를 인위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E. faecalis 포함한 5종의 세균을 한방침에 묻혀 주사하였다. 5종 세균에 의해 면역이 유도된 동애등에로부터 혈림프를 채취하여 각 세균에 따른 항균펩타이드 유도효과에 의한 항균활성을 그람양성균인 S. aureus와 그람음성균인 E. coli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초균인 B. subtilis은 5종 세균 중 그람양성 및 음성균 둘 다에 대해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B. subtilis ($1{\times}10^9cfu/ml$)에 의해 면역이 유도된 동애등에는 주사 후 24시간째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B. subtilis에 의해 면역이 유도된 동애등에는 가금류의 주요 병원균인 S. enteritidis, S. typhimurium 및 S. pullorum에 대해서도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써, B. subtilis에 의해 면역이 유도된 동애등에는 가축 성장촉진용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사료첨가제로써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Enterococcus faecium KHM-11를 이용한 요구르트 급여가 자돈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Yogurt Using Enterococcus faecium KHM-11 on the Growth in Piglet)

  • 배형철;이조윤;남명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4-210
    • /
    • 2008
  • 건강한 한국인 30명의 모유 중 유산균배지에서 생육하는 70개의 유산균을 선별하여 그 중 21-3과 22-2 균주를 선발하여 균주동정을 실시한 결과, 분리된 유산균주 21-3과 22-2 균주는 동일한 16S rDNA 염기서열을 가지고 있었으며 E. faecium의 표준균주와 99.9%의 16S rDNA 상 동성을 나타내는 균주로 동정되었다. 분리 동정된 유산균은 E. faecium KHM-11로 명명하였으며, API kit를 이용한 이 균의 생리적 발효특성은 D-arabinose, L-arabinose, galactose, D-glucose, D-fructose, D-mannose 등을 비롯한 19종류의 당 성분을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E. faecium KHM-11을 사용하여 제조한 요구르트 특성은 발효 15시간 후 pH는 4.09, 산 생성은 1.10%, 생균수는 $1.30{\times}10^9\;CFU/mL$이었다. 0.5% 요구르트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증체율이 유의성 있게 21.67%증가하였다(p<0.05). 1일 증체량은 대조구에 비해 109 g이 높았다. 따라서 요구르트 첨가 사료첨가제 급여에 따른 사양성적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혈액성분 중 혈당, 콜레스테롤, 알부민, 글로블린의 양은 전체적으로 대조구와 0.5% 요구르트 급여구가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조구와 0.5% 요구르트 급여구 모두 조사항목이 정상범위 또는 정상범위 부근에 들어가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 4주간 설사증상을 보이는 자돈은 대조구가 16.6%에 비해 0.5% 요구르트 급여구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유기산 생성균에 의한 병원성 Escherichia Coli $A_2$와 Escherichia Coli $G_7$의 생육억제 (Growth Inhibition of 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A_2$and Escherichia coli $G_7$ by the Organic Acid Producing Bacteria)

  • 백영진;배형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1-118
    • /
    • 1988
  • 유기산 생산균인 L. casei Y, Str. faecium C, Str. faecalis, Cl. butyricum M, B. toyoi를 사료첨가제와 발효유로부터 분리 확인하여 이들 균주가 자돈의 대장균증 설사를 유발시키는 E. coli $A_2$, E. coli G$_7$에 대하여 in vitro에서는 어떤 항균효과를 나타내는지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L. casei Y, Str. faecium C, Str. faecalis, B. toyoi Cl. butyricum M을 각각 배양한 BL broth 3일 배양액은 모두 E. coli $A_2$와 E. coli G$_7$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나타내었고, 이들 배양액을 E. coli $A_2$와 E. coli G$_7$에 대한 발육 Disc 확산시험 결과 그 저지환 직경은 각각 15mm와 17mm, 14mm와 15mm, 13mm와 14mm, 11mm와 13 mm, 10mm와 12mm 였다. 2. 유기산 생산 능력이 우수한 균일수록 E. coli $A_2$와 E. coli G$_7$에 대한 항균력이 높게 관찰되었으며, L. casei Y와 Str. faecium C가 이들 두 대장균에 대하여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3. 유기산 생성균과 대장균(E. coli $A_2$, E. coli G$_7$)을 BL broth 에 혼합 배양할 때 E. coli $A_2$와 E. coli G$_7$은 배양액의 pH가 5.0 이하일 때 생육억제 되었고, pH 4.5 이하였을 때 사멸되었다. 4. 생성된 유기산은 배양액의 pH를 저하시킴과 동시에 항균성 물질로 직접 작용하여 E. coli $A_2$와 E. coli G$_7$의 생육저해 또는 사멸을 유도하였다. 5. E. coli $A_2$가 E. coli G$_7$보다 유기산 생산균의 대사산물에 대하여 더 높은 내성을 갖고 있었다.

  • PDF

β-glucan이 바지락의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β-glucan on immune parameters in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 남기웅;박경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3-127
    • /
    • 2015
  • ${\beta}$-glucan은 면역증강제의 하나로 어류를 비롯한 척추동물의 사료첨가제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다당체이다. 본 연구는 척추동물과는 다른 면역체계를 갖고 있는 바지락의 면역반응에 ${\beta}$-glucan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식물플랑크톤이 공급된 해수에 0, 0.1, 1%의 ${\beta}$-glucan을 첨가하고 이 해수에 바지락을 매일 1시간 씩 2주간 노출시켜 먹이 섭식 시 ${\beta}$-glucan이 흡수되도록 하였다. 바지락의 면역력은 혈구의 식세포작용과 혈림프액의 병원성 세균에 대한 정균력을 실험전과 ${\beta}$-glucan을 급이한 2주 후 각 그룹별로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0.1%의 ${\beta}$-glucan에 노출된 바지락의 식세포율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뚜렷한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1%의 ${\beta}$-glucan에 노출된 경우 약 30%의 식세포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정균력에 관한 실험에서 ${\beta}$-glucan은 바지락 혈림프액이 Vibrio tapetis, V. parahaemolyticus, V. ordalii 등의 병원성 세균의 증식을 억제케 함이 확인되었다. 바지락의 사망률 역시 ${\beta}$-glucan에 노출된 바지락에서 낮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beta}$-glucan의 농도가 높을수록 낮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바지락은 ${\beta}$-glucan에 의해 면역력이 상승하였으며, 주사방식이 아닌 해수 침지시에도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Escherichia coli WC7가 생산하는 Phytase의 효소특성과 그 유전자의 클로닝 (Characterization and Cloning of a Phytase from Escherichia coli WC7.)

  • 최원찬;오병철;김형권;강선철;오태광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
    • /
    • 2002
  • 토양으로부터 phytate 분해능이 뛰어난 phytate를 생산하는 균주를 분리 동정한 결과 Escherichia coli로 동정되었고, E. coli WC7으로 명명하였다. 이 균주가 생산하는 phytase를 ammonium sulfate 침전, Phenyl-Sepharose, DEAE-Sepharose, CM-Sepharose, Resoure S, Mono S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분리정제를 수행하여 정제도 1,250 배, 수율 30%로 정제하였고 640 Unit/mg의 비활성을 얻었다. 또한 정제된 phytase는 SDS-PAGE에서 분자량 45kDa인 단일 subunit로 이루어진 단일효소임을 확인하였다. E. coli WC7 phytase의 최적 pH는 5.0, 최적 온도는 $60^{\circ}C$였으며, pH 2.0-12까지 안정하였다. 열안정성에서는 $60^{\circ}C$이상에서 급격한 활성의 감소를 보여 초기 활성의 20% 활성만을 나타내었다. Phytase의 N-말단 아미노산 서열은 Ser-Glu-Pro-Clu-Leu-Lys-Leu-Glu-Ser-Val-Val이었으며 이는 E. coli 유래의 pH 2.5 acid phosphatase와 아주 큰 유사성을 보였다. S. coli WC7 phytase의 유전자를 확보하기 위해 E. coli acid phosphatase의 DNA sequence를 바탕으로 한 primer들을 이용하여 PCR 클로닝을 수행하였으며 증폭된 PCR fragment를 pUC19 벡터에 클로닝 하고 DNA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 1.2 kbp의 WC7 phytase 유전자의 ORF를 확인하였으며 432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분자량 44,716 Da의 단백질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acid phosphatase 효소들의 active site라고 추정되는 active site motif인 RHGXRXP가 N-terminal 쪽에 존재하고 있었다. pUEP를 이용하여 E. coli XL1-Blue에서 phytase를 발현시켰을 때 효소의 생산량이 17.5 U/ml로서 원균주의 23배 활성을 가졌으며,효소의 비활성 및 pH 안정성 측면에서 높은 산업적 이용가능성을 볼 때 사료첨가제 효소로의 개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왕대의 첨가수준이 반추위 in vitro 발효성상과 메탄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al Levels of Phyllostachys bambusoides on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Emission in in vitro)

  • 조성욱;이신자;이예준;김현상;엄준식;최유영;배은지;이성실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41-256
    • /
    • 2021
  • 이번 연구는 반추동물의 메탄 감소에 효과가 있는 천연 사료첨가제를 찾고자 실시하였다. 왕대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43.54 mg CE/g 및 17.13 mg QE/g이였으며, DPPH 및 ABTS 유리기 소거 활성은 IC50 값이 각각 163.13 및 97.07 ㎍/mL으로 측정되었다. In vitro 시험은 왕대의 첨가수준을 달리하여 발효 시간대별(6, 12, 24 및 48 hr) 실시하였다. pH는 발효시간동안 적정 범위였으며, 건물 소화율 및 미생물 성장량은 모든 발효 시간대별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유의적(P>0.05)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가스 발생량은 발효 6 및 24시간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Linear effects, 6 hr, P=0.0004; 12 hr, P=0.0055)하였다. 메탄 및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발효 48시간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Linear effects, P=0.022; P=0.0188). 또한 왕대의 첨가는 총 휘발성 지방산 생성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발효 48시간대 butyrate 함량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Linear effects, P=0.0001)하였다. 따라서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왕대의 첨가는 in vitro 반추위 메탄을 저감할 수 있고 발효성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므로 반추동물 메탄저감 첨가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