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士)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한중일 삼국 지식인 '사(士)'의 이상 - 배상제교·동학·천리교의 종교사상 비교를 중심으로 (The Intellectuals' Ideals in the Traditional East Asian Societies : Focused on the Religious Thoughts of Donghak, Tenrikyo and the Society of God Worshippers)

  • 임태홍
    • 한국철학논집
    • /
    • 제31호
    • /
    • pp.375-406
    • /
    • 2011
  • 이 글은 근대 동아시아 삼국의 대표적인 신종교라고 할 수 있는 중국의 배상제교, 조선의 동학, 그리고 일본의 천리교를 선택하여 각 종교 교리 가운데 내포되어 있는 지식인 '사(士)'의 이상적인 이미지와 사상적인 경향을 살펴본 것이다. 특히 이 글에서는 각 종교교단의 교조 즉 배상제회의 홍수전(洪秀全, 훙시우취엔, 1814-1864), 동학의 최제우(崔濟愚, 1824-1864), 그리고 일본 천리교의 나카야마 미키(中山みき, 1798-1887)의 사상을 중심으로 살폈는데, 이들 세 사람이 추구했던 이상은 각자가 어려운 환경에서 겪은 종교체험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홍수전은 하늘이 보낸 관리로서 신으로부터 칼과 도장을 받았으며, 최제우는 주문과 부적을 받아 그것으로 사람들을 가르쳐 신을 위하도록 하였다. 미키는 자기 자신이 하늘의 '쇼군(將軍)'이 되기도 하고, 또 그러한 쇼군을 섬기는 자가 되기도 하였다. 쇼군은 무사가운데 가장 높은 무사이다. 그녀는 스스로 인간을 구제할 수 있는 실용적이며, 현세이익적인 다양한 징표들을 만들어 제공했다. 그렇다면 이러한 신분적으로도 이상적으로도 신사 선비 무사였던 세 사람은 각자가 만든 종교에 어떠한 사상을 담았을까? 홍수전은 끊임없이 중국 내부로 관심을 돌리고 거기에 들어가 있는 악마적인 존재를 제거하고 평화를 이루는데 관심을 가졌다. 태평천국의 혁명 논리는 여기에서 나왔다. 최제우는 교인들을 가르치고 수양시키는데 관심을 가졌다. 그리고 새로운 시대가 개벽되었다고 선언하였다. 현실적으로 보이는 이익보다는 추상적인 사상에 집착하였다. 반면에 미키는 '인간'을 위한 구제를 선언하고 현실적인 이익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나, 그러한 이익은 오직 '우리 편' 혹은 '일본'에만 한정된 것으로 '타자'에 대해서는 배타적인 입장을 취했다. 아울러 그녀의 관심은 끊임없이 '외부'로 향했는데 그 외부는 정복하고 극복해야할 대상이었다.

1966~1967 되돌아 본 건축사(士)·건축사(史) - 40년 전에도 계약서와 설계보수대가는 "뜨거운 감자"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통권529호
    • /
    • pp.110-111
    • /
    • 2013
  • 올 해로 창간 47주년을 맞은 월간 '건축사'는 2013년 4월 현재 통권 528호를 발행했다. 건축사는 40여 년간 건축계의 다양한 이슈를 비롯해 수많은 건축 작품과 소식들을 전해왔다. 그간 발행된 간행물을 보면, 40여 년간 건축계가 안고 있던 고민과 연구 등은 현재와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건축사의 위상 찾기'는 과거와 현재를 비롯해 미래에서도 건축계가 풀어야 할 영원한 과제인 듯하다. 본지는 지난 47년간 게재되었던 내용을 통해 당시에는 건축계에 어떠한 일이 있었고, 어떠한 작품들이 있었으며, 선배건축사들이 어떠한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해결했는지 '건축사 Time machine'을 신설, 연재할 계획이다. 그 첫 번째 순서로 1966년 창간호와 1967년 발행된 4권(4월, 7월, 9월 11월호)의 내용을 살펴본다.

  • PDF

기술경영(MOT)을 알자 산.학.관.사(士)연대에 따른 새로운 인재육성 방법 (What is MOT? - New Fostering Methodology for Technology Manager -)

  • Kohya, Tetsuya
    • 기술사
    • /
    • 제38권2호
    • /
    • pp.68-72
    • /
    • 2005
  • 최근 MOT라는 키워드에 접할 기회가 많은데 이 말이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을 잠깨우는 계기가 될 수가 있기를 바란다. 1980년대 일본 제품이 세계를 석권하던 때가 엊그저께 같은데 과거 10여 년간은 침체의 늪에 빠져 있다가 요 몇 년 동안의 부활이 다시 옛날 영광의 산업게에 찾아오면 좋겠다. MOT라는 키워드가 이런 의미에서 일본 부흥의 전기가 된다면 MOT 논의(論議)도 가치 있는 일이 될 것이다.

  • PDF

정재(正齋) 남대년(南大秊)의 학문과 사상 (Jeongjae(正齋) Nam Dae-nyeon's(南大秊) Study and Thought)

  • 임옥균
    • 한국철학논집
    • /
    • 제53호
    • /
    • pp.63-100
    • /
    • 2017
  • 이 글에서는 정재 남대년(1887~1958)의 학문과 사상을 리기심성론에 관한 견해, 유교경전해석, 역대인물평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리기 심성론에 대한 정재의 견해를 살펴보면, 정재는 리무위(理無爲), 기유위(氣有爲)의 주장을 평생 견지하였다. 다음으로 스승 간재의 성사심제설(性師心弟說)에 대한 정재의 입장을 살펴보면, 그것이 공자와 맹자의 도통을 이은 것이라고 평가하면서도, 심의 주재성이라는 측면은 잘 드러내지 못한다고 생각했던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심즉리설에 대해서는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였다. 정재의 유교경전해석을 살펴보면, "논어"와 "맹자"를 중심으로 하여 사서에 대한 해석이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이는 사서를 중시했던 주자 이래의 성리학의 전통을 이은 것이라고 하겠다. 정재는 "논어"의 해석을 통해서는 인과 효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맹자"의 해석을 통해서는 사단과 사덕의 관계를 정밀하게 규명하고, 사(士)로서의 자의식을 보여주었다. 또한 "대학"의 자기설(自欺說), "중용"의 계구설(戒懼說)을 분석하기도 하였다. 또한 정재는 그의 "정재집"에서 중국과 우리나라의 여러 인물에 대한 평가도 진행하였는데, 그 평가의 기준은 절의와 식견이었다. 정재는 굴원과 노중련의 충성과 절의를 높이 평가하였으며, 진덕수는 학문적으로 뛰어난 분이었지만 출처에는 문제가 있었다고 평가하였다. 청의 육롱기와 장리상을 비교하면서, 육롱기가 이적의 나라인 청나라에서 벼슬을 한 것은 절의를 저버린 것이었다고 평가하였다. 정재는 우리나라의 인물들에 대해서도 평가를 진행하였는데, 포은은 우리나라에서 리학을 연 분으로, 정암은 지치를 회복하려 한 분으로, 퇴계는 해외 주자의 적전(嫡傳)으로, 율곡은 내성외왕을 실천한 유학의 표준으로, 스승 간재는 당대의 진실한 학문을 지닌 분으로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