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뽕나무

검색결과 450건 처리시간 0.025초

인공재배 버섯의 혈전분해효소 활성검색 (Screening of Fibrinolytic Activities from Cultured Mushrooms)

  • 최한석;김명곤;박효숙;김재성;심명화;김성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039-1041
    • /
    • 2005
  • 인공재배 가능한 버섯 13종을 선정하여 균사체 배양 후 배양액 및 혈전분해활성을 검토한 결과 배양액에서는 0.00-0.16U 매우 낮았던 반면에 균사체의 혈전분해 활성은 0.00-0.48U로 배양액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뽕나무 버섯의 건조 균체량은 6.50g/100mL로 다른 균체에 비하여 1.9-5.0배의 높은 생산력을 보여주었다. 인공 재배된 버섯 자실체(7종)의 혈전분해활성은 0.17-0.94U로 나타났으며 아위버섯 자실체의 혈전분해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C57BL/6 mouse에서 뽕나무 추출물의 모발성장효과 (Effect of Morus alba extract for hair growth promotion in C57BL/6 mouse)

  • 정주영;박재영;정현숙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9-23
    • /
    • 2008
  • Morus alba has been well known for its tonic effect or preventing of hypertension, aging, or diabetes mellitus in Asian countries. To evaluate the its effect on hair growth promotion, we performed the hair regrowth experiment with leaf, branch, root and fruit extract of Morus alba on animal model of C57BL/6 mouse. The hair regrowth effect was remarkable in the mouse treated branch and root extract (with what %), however, little effect on hair regrowth appeared on the mouse treated with leaf extract. Morus alba extract displayed antibacterial effects on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nd Candida albican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branch and root extract of Morus alba could be applicable for hair regrowth or prevention of hair loss in human.

  • PDF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비만세포 억제에 의한 항알레르기 효과 및 기전 (Cudrania tricuspidata Suppresses Mast Cell-Mediated Allergic Response In Vitro and In Vivo)

  • 김영미
    • 약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26-34
    • /
    • 2012
  • Mast cells play an important role in early and late phase allergic reactions through allergen and IgE-dependent release of histamine, proteases, prostaglandins, and several multifunctional cytokin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Cudrania tricuspidata extract (CTE) suppresses IgE-mediated allergic responses in mast cells, an allergic animal model, and its mechanism of action in mast cells. We found that CTE inhibited IgE-mediated degranulation and cytokine production in rat basophilic leukemia (RBL)-2H3 mast cells and bone marrow-derived mast cells (BMMC), as well as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PCA) in mice. With regard to its mechanism of action, CTE suppressed the activating phosphorylation of spleen tyrosine kinase (Syk), a key enzyme in mast cell signaling processes and that of LAT, a downstream adaptor molecule of Syk in $Fc{\varepsilon}RI$-mediated signal pathways. CTE also suppressed the activating phosphory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MAP) kinases and Akt. The present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the anti-allergic activity of CTE is mediated through inhibiting degranulation and allergic cytokine secretion by inhibition of Syk kinase in mast cells. Therefore, CTE may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s.

신라시대 비단과 양잠에 대한 연구 (The Investigation silk fabrics and sericulture on Silla periods)

  • 이광우;이준희;석희숙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1년도 제45차 학술발표회
    • /
    • pp.23-23
    • /
    • 2011
  • 신라는 유잠국을 거쳐 새로운 비단이라는 신라(新羅)로 국호를 변경한다. 신라 뽕나무와 비단의 행방을 �O는다면 실크로드의 출발점이 한반도의 신라의 땅이라는 추정에 의거하여 1995년부터 조사를 하였다. 특히 삼국사기의 내용을 기초로 하여 한반도의 지명을 방문하여 조사하는 과정에서 삼국사기의 내용이 전혀 한반도에는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1. 신라는 한반도에 없었다. 최근 한학자이신 이중재님이 발표한 논문과 책자를 기초로 조사 검정을 하는 중에 고구려, 신라 백제가 한반도에 없었다는 사실을 확인 하였다. 2. 중국고금지명대사전(1931)을 중국 청도에서 섬유공장장으로 근무하는 정윤화친구의 도움으로 구입하여 이중재의 책의 내용을 검정하였다. 그러므로 신라의 비단과 양잠을 한반도에서 확인하는 것은 잘못된 사실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3. 삼국사기의 내용을 중국고금지명사전을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그동안 의문으로 되어 있는 임라설, 가야설, 고구려 신라 백제의 강역, 문익점 선생의 최초의 목화에 대한 사실 등 모든 사실을 잘못된 내용이라는 것을 확인 검정하였고, 현재의 한반도의 역사는 식민주의 역사학자들이 한반도의 역사를 왜곡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4. 한반도에서는 고려시대 이전에는 나라 형태의 국가는 없었고, 조선시대부터 국가의 형태가 성립되었다.

  • PDF

꾸지뽕나무 뿌리로부터 Cudratricusxanthone A와 Cudraxanthone D의 분리 및 함량 분석 (Isol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Cudratricusxanthone A and Cudraxanthone D from Roots of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 박수연;김은남;정길생
    • 생약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59-64
    • /
    • 2019
  •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Moraceae) has been used for physical weakness, impotence and insomnia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this study, cudratricusxanthone A and cudraxanthone D were isolated from roots of C. tricuspidata and quantification were achieved by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method with diode array detector. The isolated compound was identified by NMR analysis and HPLC method was validated by linearity, precision and specificity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calibration curves of two compounds indicated great linearity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R^2$) of 0.9976 and 0.9995. The limits of detection (LOD) for cudratricusxanthone A and cudraxanthone D were 1.15, $0.11{\mu}g/ml$. Intra-day precision of cudratricusxanthone A and cudraxanthone D were 0.32~1.99%, 0.09~3.32% and inter-day precision were 0.59~2.40%, 0.28~1.55% RSD (%) values, respectively. The specificity was confirmed by chromatograph and quantitative contents of cudratricusxanthone A and cudraxanthone D were $0.46{\pm}0.02%$ and $1.53{\pm}0.06%$.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research data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derived compounds from roots of C. tricuspidata.

마자인 함유처방과 처방 투여 실험동물의 혈액에서 THC, CBD 성분 측정

  • 김동구;진종식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1-121
    • /
    • 2022
  • 마자인(麻子仁)은 뽕나무과에 속하는 대마(Cannabis sativa L.)의 종자로써, 治血虛津虧, 腸燥便秘하며, 中風汗出, 逐水, 利小便, 破積血, 復血脈, 乳婦産後餘疾, 長髮 등에 사용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마자인 종자의 외피에는 환각성분인 Tetrahydrocannabinol (THC) 및 뇌전증과 다발성경화증 등 희귀, 난치성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되는 Cannabidiol (CBD)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외피를 제거한 마자인은 햄프씨드(Hemp Seed)로써 식품으로 이용되지만, 외피를 제거하지 않은 마자인은 의약품으로써 사용이 되고 있다. 마자인은 윤조탕, 자윤환, 마자인환 등 다양한 한의학 처방에 사용되지만, 외피에 함유되어있는 THC 및 CBD의 함유량 및 안전성에 대한 연구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마자인 함유처방의 안전성을 입증하는 실험방법을 설계하였다. 우선 의약품으로 유통되는 마자인의 외피에 THC 및 CBD 성분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마자인을 다양한 용매별 (물, 헥산 등)로 추출한 후 LC/MS를 이용해 성분 유무를 확인한다. 또한, 마자인 함유 처방 (마자인환, 자윤환, 윤조탕 등)을 복용하였을 경우 혈중에 THC 및 CBD 성분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실험동물에 마자인 함유 /처방을 투여한 후 혈액을 채취한다. 마찬가지로 성분 유무를 측정하는 방법은 LC/MS를 이용해 확인한다.

  • PDF

뽕나무애바구미의 생태 및 방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Biology and Control of the Mulberry Small Weevil, Baris deplanata ROELOFS (Coleoptera: Curculionidae))

  • 백현준;백운하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5-78
    • /
    • 1976
  • 본 시험은 뽕나무애바구미의 외부형태, 생활사 및 약제방제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충은 칠흑색, 장정원형이고 주둥이는 길다. 암컷의 체장은 3.30$\pm$0.04mm, 폭 1.47$\pm$0.04mm, 주둥이 길이는 1.25$\pm$0.014mm이고 숫컷의 체장은 3.28% 0.06mm, 체폭 1.40$\pm$0.04mm, 주둥이 길이는 1.30$\pm$0.02mm이었다. 더듬이는 12절의 슬상이다. 숫컷의 복부는 끝이 뽀족하게 튀어 나왔고 암컷은 거의 일직선이다. 2. 난은 유백색의 장타원형이고 길이 0.51$\pm$0.05mm, 폭 0.32$\pm$0.02mm이었다. 3. 유충은 유백색, 원통형이며 두부는 농갈색이다. 다리는 없고 체장 3.88$\pm$0.06mm, 체폭 1.40$\pm$0.02mm이고 각절에는 많은 주름과 잔털이 있다. 4. 용은 장타원형 유백색이며 나용이다. 체장은 3.53$\pm$0.09mm. 체폭 1.40$\pm$0.03mm이었다. 5. 대부분 1년1세대이고 벌채후 남는 가지속에서 성충으로 월동하며 이듬해 4월하순에서 5월초순에 탈출한다. 그러나 일부 암컷은 당년에 탈출산난하며 유충(0.4%)이나 용(0.1%)으로 월동한다. 6. 난은 대부분 벌채후 남은 가지의 전피층에 산난하고 암컷의 평균 산난수는 73.44$\pm$8.74개이고 평균 산난일수는 33.88$\pm$6.04일이었다. 난기간은 11.69$\pm$0.39일, 유충기간은 45.04$\pm$1.63일, 용기간은 11.05$\pm$0.49일이었다. 성충의 잠복기는 약 270일이고 활동기간은 46.7$\pm$5.9일이었다. 7. 유충은 가지의 형성층을 먹고 성충은 동아, 잠복아, 엽병, 신초의 기부를 가해한다. 8. 성충의 발생소장은 춘벌유전에서는 5월초순에, 하벌유전에서는 6일 중순에 두면 peak를 나타냈다. 9. 유충밀도와 가지의 지름과 길이와는 정(+)의 상관을 이루었다. 10. 뽕나무애바구미의 가지당 성충의 분포는 부(-)의 이항분포를 이루였다. 11. 조사된 천적은 유충외부에 기생하는 좀벌이 발견되었고 이 좀벌의 기생률은 11.9%이었다. 12. Phosvel분제, Halir분제, Salithion유제, DDVP유제, Cidial 유제의 성충에 대한 방제효과가 우수하였고 핵충에 대해서는 Satchukoto-S유제, Salithion유제가 비교적 우수한 편이였다.

  • PDF

수확부위 및 시기에 따른 꾸지뽕나무 메탄올 추출물의 항균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according to the Parts Harvested and Time)

  • 최소라;유동현;김종엽;박춘봉;김대향;류정;최동근;박현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35-340
    • /
    • 2009
  • To evaluate the availability of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as a natural source of antimicrobials,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of harvested parts was investigated using the paper disc diffusion method. The extracts from leaves and root bark had broa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various bacteria, including Bacillus subtilis,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mutans, Listeria monocytogenes, Enterobacter aerogenes, Enterococcus faecalis, Salmonella choleraesuis subsp. choleraesuis, Vibrio vulnificus, and Pseudomonas aeruginosa and inhibited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and Listeria monocytogenes, agents of food poisoning especially well. The extract from ripe fruit had a very hig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with a 20.2 mm of clear zone at 50 mg/mL sample concentra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udrania tricuspidata could be used as new source for developing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상지, 상백피, 상엽 약침액의 발효 및 열처리 후 미백 효능에 관한 연구 (Whitening Effects of Mori Ramulus, Mori Cortex Radicis and Mori Folium Herbal-acupuncture Solution after Fermentation and Heating)

  • 박서영;김재수;이봉효;임성철;이세나;임강현;이경민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91-98
    • /
    • 2009
  • 목적 : 상지, 상백피, 상엽은 모두 뽕나무에서 유래한 것으로 한의학에서 수천 년 동안 사용되어왔다. 최근 이들의 미백효능이 발견되면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피부의 멜라닌 색소 침착은 자선에 대한 정상적인 방어기전이다. 그러나 비정상적인 색소침착은 심각한 미용적 문제를 가져온다. 최근 약침이 피부 미백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발효와 열처리는 미백화장료 가공의 최신 경향이다. 이 연구에서는 상지, 상백피, 상엽 약침액이 발효와 열처리 후에 피부 미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상지, 상백피, 상엽을 각각 4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1) 비발효, 비열처리, (2) 비발효, 열처리, (3) 발효, 비열처리, (4) 발효, 열처리한 그룹들에 타이로시나제 활성 및 도파 산화 활성, 그리고 멜라닌 함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타이로시나제 활성 및 도파 산화 활성, 그리고 멜라닌 함량에 있어서, 발효, 열처리가 대체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멜라닌 함량에 있어서 발효, 열처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결론 : 주근깨, 흑색종, 간반(肝斑) 등 비정상적인 색소 침착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상지, 상백피, 상엽 약침액 제조에 있어, 발효 및 열처리 방식을 적용하면 보다 나은 미백효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Berberine Sulphate를 이용(利用)한 형광현미경기법(螢光顯微鏡技法)에 의(依)한 수목(樹木)마이코플라스마검정(檢定) (Detection of Mycoplasma-like Organisms in Some Trees by Fluorescence Microscopy with Berberine Sulphate)

  • 박원철;라용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2호
    • /
    • pp.232-236
    • /
    • 1991
  • 형광색소(螢光色素) berberine sulphate의 DNA 및 RNA-결합성질(結合性質)을 이용(利用)한 형광현미경기법(螢光顯微鏡技法)의 마이코플라스마(mycoplasma-like organism ; MLO) 감염진단(感染診斷)에 대(對)한 효용가치(效用價値)를 조사(調査)하였다. 이병(罹病) 대추나무, 오동나무, 뽕나무 및 일일초(日日草)의 조직절편(組織切片)을 berberine sulphate로 염색(染色)하여 형광현미경(螢光顯微鏡)으로 관찰(觀察)하였던 바, 사부조직(篩部組織)에서 MLO-특이형광반응(特異螢光反應)이 나타났으나, 건전조직(健全組織)의 사부(篩部)에서는 특이형광(特異螢光)이 관찰(觀察)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berberine sulphate의 조직염색법(組織染色法)은 목본(木本) 및 초본식물(草本植物)의 MLO감염(感染)을 정확(正確)하게 진단(診斷)하는데 매우 유용(有用)한 방법(方法)임을 보여 주었으며, 사용(使用)이 간단(簡單)하고 비용(費用)이 저렴(低廉)하므로 대량(大量)의 시료(試料)에 대한 신속(迅速)한 검정(檢定)에 이용(利用)될 가능성(可能性)을 보여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