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빈곤부모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3초

가족빈곤이 아동학대 및 방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부모의 우울 및 가족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Process analysis of poverty influencing on child abuse and noglect - Analyzing mediating effect of parent's depression and family relationship)

  • 김광혁;김예성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847-859
    • /
    • 2008
  •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process through which poverty influences in child abuse and neglect. Data come from Seoul Panel Study of Children 2004-2005 and analysis method 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demonstrate that poverty has a direct influence on child abuse and neglect. Also poverty influences through process variable such as depression of parent and family relationship. And depression of parent influences child abuse and neglect through family relation. finding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societal support for poor families can prevent child abuse and neglect. Specially, such societal support need to be centered to low income family and family process.

아시아 농촌 청소년 교육과 훈련의 연결망 (Networks of Rural Youth Education and Training in Asia)

  • 김성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9권1호
    • /
    • pp.131-145
    • /
    • 2002
  • 국제연합에서는 $15{\sim}24$세의 젊은이를 청소년이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농촌청소년은 미래 농촌발전의 핵심주체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청소년은 그들 부모세대보다 더 높은 교육수준과 도전의식 그리고 더 높은 창의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들은 미래가 자신의 장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전망, 미래의 비전에 관심이 크다. 청소년에 대한 교육은 민주사회의 미래에서 한 사회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투자 중의 하나라고 인식되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고도의 경쟁적인 시장경제로의 진입에서 청소년의 사회경제적 비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 훈련의 질적 양적 향상이 최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무역기구 출범 이후 농산물 수출국가와 선진국에서의 소득균형은 일반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순식량 수입국가나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소득균형이 더 악화되고 농업영역의 쇠퇴를 초래하고 있는 부작용이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 등의 분석이다. 더욱이 식량안전상황은 농산물의 급격한 수입으로 여전히 불안하고 농가 판매의 지속적인 악화, 농촌과 도시간의 소득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유해한 유전자조작 농산물 (GMO)의 교역은 소비자의 식품안전과 잠재적 위해 때문에 합당한 조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업교육, 연구 그리고 지도, 특히 아시아의 주요작물 영역에 대한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며 많은 아시아국가들에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농촌 청소년교육은 빈곤퇴치,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그리고 지속적이고 균형있는 농촌개발 등이다. 이를 위한 정부와 국민, 특히 농촌 청소년들의 연결망을 통해 함께 협력해야 빈곤퇴치와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등 농촌의 사회경제적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아시아지역 농촌사회 및 식량농업의 발전을 위한 청소년 연결망을 예시적으로 검토하고 미래사회에서의 협력을 위한 접근을 탐색하였다.국제연합에서는 $15{\sim}24$세의 젊은이를 청소년이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농촌청소년은 미래 농촌발전의 핵심주체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청소년은 그들 부모세대보다 더 높은 교육수준과 도전의식 그리고 더 높은 창의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들은 미래가 자신의 장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전망, 미래의 비전에 관심이 크다. 청소년에 대한 교육은 민주사회의 미래에서 한 사회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투자 중의 하나라고 인식되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고도의 경쟁적인 시장경제로의 진입에서 청소년의 사회경제적 비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 훈련의 질적 양적 향상이 최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무역기구 출범 이후 농산물 수출국가와 선진국에서의 소득균형은 일반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순식량 수입국가나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소득균형이 더 악화되고 농업영역의 쇠퇴를 초래하고 있는 부작용이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 등의 분석이다. 더욱이 식량안전상황은 농산물의 급격한 수입으로 여전히 불안하고 농가 판매의 지속적인 악화, 농촌과 도시간의 소득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유해한 유전자조작 농산물 (GMO)의 교역은 소비자의 식품안전과 잠재적 위해 때문에 합당한 조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업교육, 연구 그리고 지도, 특히 아시아의 주요작물 영역에 대한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며 많은 아시아국가들에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농촌 청소년교육은 빈곤퇴치,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그리고 지속적이고 균형있는 농촌개발 등이다. 이를 위한 정부와 국민, 특히 농촌 청소년들의 연결망을 통해 함께 협력해야 빈곤퇴치와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등 농촌의 사회경제적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아시아지역 농촌사회 및 식량농업의 발전을 위한 청소년 연결망을 예시적으로 검토하고 미래사회에서의 협력을 위한 접근을 탐색하였다.

  • PDF

일개 시 미취학 아동의 사회경제적 계층별 건강관리 현황 (Health Status of Preschoolers Depending on the Socioeconomic Status)

  • 방경숙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0-149
    • /
    • 2006
  • Purpose: The current descriptive study examined the health and healthcare status of preschoolers in poverty group compared to those of comparison group.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51 mothers in federal poverty group and 49 in low-income group and 200 mothers in normal income comparison group in one city.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Korean CBCL and health related questionnaire. Results: Public assistance group showed more low-birth-weight infants, developmental delay, and hospital admission experiences. Their compliance for vaccination and congenital metabolic disorder test were lower than those of comparison group.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upon the income of the group. Conclusion: Preschoolers' health and healthcare status are affected by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It indicated an need for anticipatory guidance and early intervention that might help to prevent or ameliorate potential health problems in poverty.

  • PDF

빈곤계층 아동 양육자의 우울, 건강 상태와 양육 스트레스 (Depression, Health Status, and Parenting Stress of Caregivers of Children in Poverty)

  • 방경숙;채선미;박성희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5-61
    • /
    • 2011
  • Purpose: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of depression, health status, and parenting stress of caregivers of children in povert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2 caregivers of preschool or school age children enrolled for the Dream Start Program in a city of Kyeonggi province, which is a program of the Korean Ministry of Health & Welfare offering services for growth and development of low-income children.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009 to February, 2010 by using a questionnaire. Results: The vast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were mothers (n=33, 78.6%), and less than a half were married (n=16, 38.1%). Depression of the participants was at the moderate level ($18.60{\pm}10.13$). They perceived their health was fair ($81.10{\pm}18.97$). Their parenting stress was high ($93.45{\pm}20.06$). Their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r=.57, p<.001) and perceived health status (r=.49, p=.001), which indicates their parenting stress was high as their depression was high or they perceived they were not healthy.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uggest to provide the caregivers of children in poverty with a well- developed program to manage their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and ultimately to improve their mental health.

  • PDF

주거빈곤기간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ousing poverty on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 임세희;김선숙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6호
    • /
    • pp.133-164
    • /
    • 2016
  • 본 연구는 아동기의 주거빈곤기간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기존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의 주요 영향요인으로 알려져 있는 가족관계나 또래관계, 그리고 학교적응이 주거빈곤기간과 청소년의 행복감 사이를 매개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아동 청소년이 행복한 사회가 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의 일환으로써 주거복지정책은 어떠한 방향으로 수립되어야 하는지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복지패널 제1,4,7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7차년도 아동부가조사에 최종 조사 완료한 512명의 고등학교 연령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주거빈곤기간은 최저주거기준미달기간과 주거비과부담기간을 통해 측정하였다. 매개변수로 사용한 가족관계는 부모의 교육참여, 부모의 지도 감독, 가족갈등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학교적응은 학교환경과 학교유대감, 그리고 또래관계는 친구애착과 친한 친구의 또래애착으로 측정하였다. 종속 변수는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척도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청소년의 성별과 가구소득의 영향을 통제하였다. 분석 결과, 최저주거기준미달 기간이 길수록 가족관계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저주거기준미달로 인한 부정적 가족관계는 청소년의 학교 적응과 또래관계에도 영향을 미쳐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다. 주거비과부담기간의 경우 주거비과부담기간이 길어질수록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이 직접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받았다. 요컨대 최저주거기준미달기간의 경우 가족관계를 통한 간접적 효과가 있는 반면에 주거비과부담기간의 경우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직접적으로 부정적 효과가 확인되었다. 주거빈곤기간이 길수록 아동권리보장의 최종상태라 할 수 있는 주관적 행복감에 부정적이라는 본 연구결과는 아동 청소년 가구의 주거빈곤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한 사회적 노력을 요구하고 있다.

아동이 있는 빈곤 가구의 식품 미보장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A Case Study of Food Insecurity Experiences of Poor Households with children)

  • 정정호
    • 사회복지연구
    • /
    • 제43권2호
    • /
    • pp.31-60
    • /
    • 2012
  • 빈곤가구의 식품 미보장은 상대적으로 풍요로운 사회에서 경험되는 불평등과 사회적 박탈을 보여주는 중요한 현상이므로, 이 연구에서는 아동이 있는 수급 가구들의 '식품 미보장 경험'을 탐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부모들은 제한된 소득 내에서 식품 구입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적절한 혹은 충분한 양의 식재료 구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 아니라, 질 낮은 식재료의 선택 및 사용, 상대적으로 보다 값싼 재료로의 대체, 이용가능한 식재료 종류(특히 육류와 과일)의 제한, 단조롭고 제한된 식사 구성과 같은 경험을 일상적으로 하고 있었다. 때로는 이로 인해 아이들이 식사를 거르기도 하였다. 즉 '식품 미보장'개념을 구성하는 내용들이 아동이 있는 빈곤 가구들에서 실제로 경험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식품 미보장 척도상에서 보고가능한 내용과 질적 면접을 통해 보고되는 내용에 어느 정도 차이가 있으므로 이러한 점이 향후 식품 미보장 척도를 활용함에 있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 대부분의 가정에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들이 부분적으로 가구내 식품 미보장 상황을 보완해 주고 있는 점 등도 척도 활용시 고려되어야 할 점이라고 생각된다.

어머니의 임신 전 교육수준에 의한 학령기 아동의 학업성적 예측도 : 세대간 전이에 대한 함의 (Predicting Child School Performance by Mother's Pre-childbearing Level of Education : Implications for an Intergenerational Cycle)

  • 이경혜
    • 아동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9-108
    • /
    • 2003
  • 가족소득은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이전의 많은 연구들에 근거하여, 세대간 교육수준 순환의 가정하에 두 문제점들이 제기되었다 : (a)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학령기 아동의 학업성적을 예측할 수 있는가? (b) 만약 예측되어진다면, 교육수준의 역순환은 부모의 경제적 수준상태에 의하여 이러한 영향을 상쇄시킬 수 있는가? 아동발달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추구하고자 종단적 데이타를 사용하였다. 즉, 아동이 2살일 때 부모의 경제적 수준상태가 측정되어졌으며, 아동들이 초등학교 1학년이 되었을 때 다시 담임선생에 의한 아동의 학업성적이 측정되어졌다. 이러한 데이타는 Structure equation modelling analyses 통계분석법을 이용하여, 본 연구는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아동의 초등학교 1학년 때의 학업성적을 예측한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이러한 관계는 부모의 경제적 수준상태에 의하여 상쇄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어머니의 저교육수준에 따른 아동의 열등한 학업성적 순환고리는 부모의 경제적 수준의 영향에 의해 깨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밝혀주었으며, 아동기 발달의 한 경로를 분명히 제시하였다.

  • PDF

가정외보호 퇴소 청소년의 원가족 관계 경험 (Relationships with the family of origin of youth transitioning from out-of-home care)

  • 김수정;김지선;정익중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8호
    • /
    • pp.1-4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가정외보호 퇴소 청소년이 원가족과 어떠한 관계를 경험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정외보호 퇴소 청소년 6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4개의 범주와 12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는데, 4개의 범주는 '혼돈 속의 헤어짐', '다시 만났지만 거리가 생김', '완전히 끝나버린 관계', '새로 만드는 가족의 경계'로 구분되었다. 첫째, 빈곤이나 이혼 등의 문제로 부모와 분리된 연구참여자 3명은 부모와 다시 재회를 하였고, 퇴소 이후에도 관계를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자립하는데 있어서 부모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지원을 통해 안정적으로 자립을 해가고 있었다. 둘째, 심각한 아동학대, 부모의 죽음으로 부모와 분리된 경우는 부모와의 관계가 단절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원가정이 아닌 새로운 대안관계를 통해 자립해 가고는 있지만 다소 불안정한 전이를 경험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참여자의 원가족 관계 경험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애증의 외줄타기"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외보호 퇴소 청소년의 원가족 관계를 돕기 위한 아동복지 실천적 및 정책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빈곤층 편모의 스트레스가 부모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Str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as Determinants of Parenting Practices among Poor Single Mothers)

  • 한경혜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4권4호
    • /
    • pp.263-27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that explain parenting practices. Those factors considered are stress and characteristics of single-mother/child together with psychological distress experienced by the single mother. A total of 285 poor single mothers with a child attending elementary school or junior high school completed a structured questionai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were analyzed by the path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poor single mothers rely on affectiv $e^portive involvement more frequently then punitive/inconsistent discipline.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enviromental factors such as financial stress living environmental stress and job status play important roles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parenting practices with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distress.ss.

  • PDF

남성 독거노인의 생애사를 통해 본 사회적고립 (Life History of the Socially Isolated Male Elderly Living Alone)

  • 임승자
    • 한국노년학
    • /
    • 제39권2호
    • /
    • pp.325-34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으로 고립된 남성 독거노인의 생애사적 접근을 통해 사회적으로 고립되기까지의 과정과 삶을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연구 생애사 방법의 하나인 'Mandelbaum(1973)의 삶의 영역(Dimensions), 전환점(turnings), 적응(adaptation)'이라는 개념틀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사회적으로 고립된 노인들은 가족 관계 단절, 빈곤, 열악한 일자리, 건강악화 등의 복합적인 어려움을 경험하면서 사회적으로 고립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삶의 영역에서 고립 전의 원가족과의 삶에서 부모와의 원만하지 못한 관계나 부재, 가족의 빈곤, 주위 사람들과의 원만하지 못한 관계 등의 경험이 있었다. 노동시장에서 막노동, 배달, 장사, 허드렛일 등의 좋지 않은 일자리를 갖고 있었다. 전환점의 영역에서는 외환위기, 부모의 이혼과 죽음, 배우자 외도, 경제적 어려움 등의 여러 원인으로 원가족과 배우자와의 분리로 인한 가족과의 단절을 경험하게 되었다. 적응의 영역에서 참여자들은 삶의 각 전환점에서 변화된 삶을 받아들이며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타협하고 절충하면서 적절히 적응하려는 노력을 해나가고 있었다. 국민기초수급자라는 사회적 안전망 제도에 들어왔고 그 안전망을 지키기 위해 한곳에 머무르는 지금의 삶이 더 안정적인 삶을 살게 만들었으며 개인적인 취미생활과 네트워크를 통한 대리만족으로 적응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는 기존연구에서 고립된 노인들이 우울증과 고독사의 위험에 심하게 노출되었다는 연구결과와 다소 다른 결과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고립감이 낮은 노인을 인터뷰한 본 연구의 특성을 동시에 감안해야 할 것이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러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