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이 있는 빈곤 가구의 식품 미보장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A Case Study of Food Insecurity Experiences of Poor Households with children

  • 정정호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투고 : 2012.01.31
  • 심사 : 2012.04.17
  • 발행 : 2012.06.30

초록

빈곤가구의 식품 미보장은 상대적으로 풍요로운 사회에서 경험되는 불평등과 사회적 박탈을 보여주는 중요한 현상이므로, 이 연구에서는 아동이 있는 수급 가구들의 '식품 미보장 경험'을 탐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부모들은 제한된 소득 내에서 식품 구입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적절한 혹은 충분한 양의 식재료 구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 아니라, 질 낮은 식재료의 선택 및 사용, 상대적으로 보다 값싼 재료로의 대체, 이용가능한 식재료 종류(특히 육류와 과일)의 제한, 단조롭고 제한된 식사 구성과 같은 경험을 일상적으로 하고 있었다. 때로는 이로 인해 아이들이 식사를 거르기도 하였다. 즉 '식품 미보장'개념을 구성하는 내용들이 아동이 있는 빈곤 가구들에서 실제로 경험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식품 미보장 척도상에서 보고가능한 내용과 질적 면접을 통해 보고되는 내용에 어느 정도 차이가 있으므로 이러한 점이 향후 식품 미보장 척도를 활용함에 있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 대부분의 가정에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들이 부분적으로 가구내 식품 미보장 상황을 보완해 주고 있는 점 등도 척도 활용시 고려되어야 할 점이라고 생각된다.

This case study tried to explore the food insecurity experiences of poor households with children, since 'food insecurity experiences' of poor households represents economic inequality and social deprivation in the midst of a affluent society. Interviewees in this reports reported that they have found difficulties with buying right or enough food materials due to short of income. As well, they have usually experienced the selection and use of only low-grade foods, substitution for more cheap food materials, limitation of available food materials(especially, meats and fruits), and monotonous diets in their everyday lives. Sometimes, their children skipped their meals due to their monotonous diets. To sum up, I could identify that they(poor households with children) had experienced many components of 'food insecurity' constructs in their daily lives. In spite of, there are some distinction between reports through food insecurity scale and records of interviews and the various foods-supply programs have supplemented their food insecure situation. Therefore, we should give consideration to these in the use and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of food insecurity scal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