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합리적 관계신념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9초

남자 중학생들의 게임중독과 분노행동의 관계: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Boys' Game Addiction and Anger Behavior: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s of Irrational Belief)

  • 임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27-236
    • /
    • 2014
  • 본 연구는 남자 중학생의 게임중독과 분노행동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청지역 남자 중학생 431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임중독은 비합리적 신념 및 분노행동 중 직접표출, 반추, 분산 요인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게임중독 고위험집단은 잠재위험이나 일반사용자집단에 비해 비합리적 신념, 직접표출, 반추, 분산의 평균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비합리적 신념은 게임중독과 분노행동 중 직접표출, 분노 반추, 분산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게임중독 고위험 중학생의 분노조절을 위한 실천적 함의로서 인지행동치료를 통한 비합리적 신념의 수정과 건설적, 적응적인 분노행동의 훈련이 제시되었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미혼 성인남녀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 비합리적 관계신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Unmarried Adult Men and Women's Implicit Narcissistic Propensity on the Tolerance of Dating Viole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Irrational Relationship Beliefs)

  • 정오영;장석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453-46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20~30대의 미혼 남녀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데이트폭력의 폭력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과 비합리적 관계신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성 교제 경험이 있는 20~30대의 미혼 남녀 215명을 대상으로 주요 변수를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하고 통계 분석을 실행하였다.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데이트폭력 허용도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관계신념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가설 검증 결과 내현적 자기애는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데이트폭력 허용도의 사이에서 비합리적 관계신념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비합리적 관계신념을 매개하여서만 데이트 폭력 허용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본 연구 결과는 폭력 허용도에 대한 비합리적 관계신념의 매개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데이트폭력을 예방할 수 있는 상담과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시사성을 담고 있다.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 행동과 도박중독과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도박신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tress Coping Behavior and Gambling Addiction: Mediating effect of irrational belief of gambling)

  • 김성봉;장정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85-9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 행동(문제중심 대처, 정서중심 대처)이 비합리적 도박신념을 매개로 도박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고등학생 37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Baron & kenny의 회귀분석 4단계를 거쳐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Sobel Test를 실시하여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 대처는 도박중독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정서중심 대처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문제중심 대처와 도박중독과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도박신념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중심 대처와 도박중독과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도박신념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정서중심 대처는 스트레스 상황에 놓였을 때 비합리적 도박신념을 높임으로써 도박행동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대처기술을 향상시키고 비합리적 도박신념을 합리적으로 수정하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이것이 청소년의 도박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에 대한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적대감 및 언어적 공격행동수준에 따른 네 집단 간의 비합리적 신념, 분노사고 및 삶의 만족도의 차이 (Differences of Irrational Belief, Anger-Thought, and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Four Groups Classified based on the Levels of Hostility and Verbal Aggression)

  • 임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81-291
    • /
    • 2015
  • 본 연구는 남자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공격성 요인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적대감과 언어적 공격행동의 수준에 따른 네 집단 간에, 특히 내현적, 외현적 적대감 집단 간에 비합리적 신념, 자동적 사고인 일차적 및 이차적 분노사고, 삶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충남지역 남자 중학생 2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격성 요인 중 적대감이 삶의 만족도와 가장 큰 부적 상관을 보였고, 적대감을 통제한 후에는 언어적 공격행동이 정적 상관을 보였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적대감은 삶의 만족도를 부적으로, 언어적 공격행동은 정적으로 예언하였다. 둘째, 비합리적 신념, 일차적 분노사고, 이차적 분노사고의 요인들은 삶의 만족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내현적 적대감 집단은 외현적 적대감 집단에 비해 자기비하, 친밀한 관계에서 경험하는 무시와 실망감, 무력감 요인의 점수가 높은 반면, 외현적 적대감 집단은 내현적 적대감 집단보다 타인비난/보복 요인의 점수가 높았다. 삶의 만족도는 내현적 적대감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낮았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적응을 돕기 위한 치료적 개입에 대한 함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 대한 영성의 매개효과 검증 (The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rrational Beliefs and Self-esteem)

  • 이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640-649
    • /
    • 2015
  • 본 연구는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영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14세에서 19세 청소년 5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419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의 평균 연령은 15.8세이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최초 연구 모형은 양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모형수정지수를 참조하여 모형을 수정한 결과 1차 수정 모형은 ${\chi}2=222.527$, df=83,p<.000, GFI=.975, NFI=.961 그리고 RMSEA=.061로 나타나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모형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의 직접 효과는 .02이며, 영성을 매개한 간접효과는 .30로 나타났다. 이에 자아존중감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의 영향을 영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를 볼 때 청소년들의 비합리적 신념이 자아존중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영성 수준을 향상 시키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비합리적 신념의 부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중학생이 지각한 심리적 성장환경의 자율성과 분노행동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Irrational Belief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utonomy of Psychological Growth Environment and Behavioral Anger Response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 김태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6호
    • /
    • pp.27-40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irrational beliefs on the relationships of middle school students' autonomy of psychological growth environment and behavioral anger responses(impulsive reaction, verbal aggression, physical confrontation and indirect expression). A sample of 346 first and second 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participated in the autonomy of psychological growth environment scale, the irrational beliefs scale and behavioral anger responses scal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⑴ The relations among autonomy of psychological growth environment, irrational beliefs and behavioral anger responses were significant. The autonomy of psychological growth environment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irrational beliefs and behavioral anger responses. Irrational beliefs produc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behavioral anger response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subtypes of behavioral anger responses. ⑵ There were mediating effects of irrational beliefs between autonomy of psychological growth environment and behavioral anger responses. The effects of autonomy of psychological growth environment on impulsive reaction, physical confrontation and indirect expression were fully mediated by irrational beliefs. However, the effect of autonomy of psychological growth environment on verbal aggress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irrational belief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irrational belief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of psychological growth environment and behavioral anger responses.

부부관계에 관한 비합리적 신념이 결혼의 질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Irrational Relationship Beliefs and Marital Quality of Married Men and Women)

  • 강유진;옥선화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6호
    • /
    • pp.155-165
    • /
    • 2005
  • The pu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rrational relationship beliefs on marital duality of married men and women and to find out what sub-scales of irrational relationship beliefs have effect on marital qual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01 married men and 302 married women living with their unmarried children in the metropolitan area around Seoul. All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answer the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The analysis includes frequencies, means, 1-test, one-way ANOVA, Duncan 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model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level of irrational relationship beliefs is below the average, and the married women show slightly higher level of irrational relationship beliefs than the men.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marital quality of the married men and women is slightly above the average with no difference between the men and the women. 2) In the case of the married men, the sub-scales of irrational relationship beliefs that have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he marital quality are 'partners cannot change', 'disagreement is destructive,' and 'sexes are different' 3) In the case of the married women, the sub-scales of irrational relationship beliefs that have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he marital quality are 'partners cannot change' and 'disagreement is destructiv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rrational relationship beliefs have negative effect on marital quality. However, the effect of each sub-scales shows slight differences in gender. The finding of this study suggests that a promoting marital promoting marital qualify by reducing the irrational relationship beliefs should take the gender differences into consideration.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비합리적 신념 및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 (Associations of Interpersonal Relations with Irrational Beliefs and Social Supports among Nursing Students)

  • 이은주;이수정
    • 정신간호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13-320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ssociations of interpersonal relations with irrational beliefs and social supports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Subjects were 149 nursing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in C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in June, 2018 using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23.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 according to gender (t=3.65, p<.001) and major satisfaction (t=5.04, p=.008). Also, interpersonal relation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irrational beliefs (r=-.24, p=.003)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r=.44, p<.001). The influencing factor of interpersonal relations were social supports, gender, irrational beliefs and major satisfaction. These factors explained 38.2% of interpersonal relations. Conclusion: Our study finidngs support developing educational and professional training with intepersonal relationships to improve social support as a prospective health care provider.

신혼기 부부의 비합리적 신념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Relationship of Irrational Belief and Marital Satisfaction of Newly Married Couples)

  • 하상희;정혜정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7-3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spouses and the relationship of irrational belief and marital satisfaction of newly married coupl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21 pairs of newly married couples by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 Results of paired t-tests showed that the degrees of irrational belief of wiv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ir husbands, and that wives'marital satisfaction were lower than their husbands'. Correlational analyses indicated that irrational belief of both husbands and wiv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rital satisfaction of them, respectively. It was also found that marita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differences in irrational belief between spouse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implications for the family life education for newly married couples and/or premarital couples.

  • PDF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비합리적 신념과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Irrational Beliefs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Early Children)

  • 이희영;시미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400-40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rrational beliefs o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early children. For achieving this purpose, Irrational Belief Test and Parenting Stress Index were administered to 300 mothers with early children in Busan and data from 234 mother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correlational analysis showed that irrational beliefs were positively related to parenting stress. Anxious over-concern factor was related to all parenting stress variables. The results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2~4 irrational beliefs significantly influenced parenting stress; sub-factors of parenting stress variable that irrational beliefs had the most effect on was competence factor. Based up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irrational belief is an important variable which predicts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early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