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인지 요인

Search Result 8,511,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The Effect of Cognitive and Non-cognitive Skill on Wage Performance in Early Labor Market (인지 및 비인지적 요인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

  • Kim, Dusun;Seo, Hyonju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9 no.3
    • /
    • pp.33-73
    • /
    • 2016
  •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personality trait and wage performance using administrative data colle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e use Aptitude Test Battery and Five Factor Personality Inventory for individual's cognitive and noncognitive skill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robust relationships between wages and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traits vary across gender. Additionally, this results imply that the return to schooling is higher for those with higher cognitive ability in early labor market.

  • PDF

A Study on Factors to the Non-Use of Public Libraries in Users, Former Users and Non-Users (공공도서관 비이용 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자, 이용 중단자, 비이용자를 중심으로)

  • Kim, Hayana;Kim, Gi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1 no.3
    • /
    • pp.201-226
    • /
    • 2014
  • This study aims to develop measures to turn former users and non-users of public libraries back into users by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user, former user and non-user groups in terms of their perceptions to public libraries, as well as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groups in their perceptions regarding the factors to non-use of public libraries. A literature review an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s from a questionnaire survey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The results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user, former user and non-user groups in terms of their perceptions to public libraries and the non-use factors. From the results, we could categorize the factors into common non-use factors, non-use-only factors, and use interrupt factors, and we develop suggestions to improve the factors in order to move non-users and former users to frequent users of the public libraries.

A Study on Job Factors of Non-Regular Radiotechnologists (비정규직 방사선사의 직무적 요인에 관한 연구)

  • Lee, joo-ho;Lim, ch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55-156
    • /
    • 2015
  •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고용형태를 중심으로 구분하여,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인식차이, 이직의도,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상태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역과 지방권역으로 9개 의료기관에서 종사하는 방사선사 308명으로 하였다. 2012년 7월 18일에서 9월 15일까지 수집된 설문지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방사선사의 인식차이에서 정규직은 성별, 월 급여, 지역권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직의도는 정규직에서 학력, 월 급여, 지역권에서 그리고 비정규직은 성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스트레스는 정규직에서 학력, 월 급여, 지역권에서와 비정규직은 성별, 나이, 결혼, 총 직장 근무연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심리적 상태에서 정규직은 성별에서와 비정규직은 성별, 결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규직, 비정규직 간의 직무적 요인에 대한 상관관계에서 인식차이는 이직의도와 심리적 상태에서, 이직의도는 인식차이와 직무스트레스 및 심리적 상태에서,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와 심리적 상태에서, 심리적 상태는 인식차이, 이직의도 및 직무스트레스에서 유의하였다. 고용형태에 따른 요인별 직무스트레스에서는 직무요구 요인, 직무자율성 요인, 관계갈등 요인, 직무불안정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PDF

Relationship Among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Participation in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에서 학습자 참여 영향 요인간 관계 규명)

  • Yang, You-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471-474
    • /
    • 2010
  • 본 연구는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 환경에서 학습자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간의 관계를 보다 포괄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온라인 토론과 관련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교수학습설계요인, 동기적 요인, 사회-정서적 요인을 영향요인으로 도출하였으며, 영향요인들과 학습자의 인지적 참여(과정)와 학습(결과)간의 구조적 관계를 나타내는 이론적 연구모형을 제안하였다.

  • PDF

비만-비만의 원인

  • Yu, Hyeong-Jun
    • 건강소식
    • /
    • v.30 no.4 s.329
    • /
    • pp.16-17
    • /
    • 2006
  • 비만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유전적 소인과 환경 요인이 한데 어우러져 발생한다고 일컬으며, 유전 요인은 어쩔 수 없으니 환경요인에 비중을 두어 설명하는 경향이 강하다. 필자는 그러한 설명을 비껴 유전적요인, 2차적으로 비만을 가져오는 원인 등에 대한 내용을 먼저 소개한다.

  • PDF

민간 직업훈련 기관 훈련생 모집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 Jeong, Tae-Ge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35-37
    • /
    • 2018
  • 본 연구는 민간 직업훈련 기관의 훈련생 모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훈련 등록한 대상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접근성 요인(교통편, 주차장 등), 시설 요인(교실 크기, 시설 환경 등), 상담자 역량 요인(응대 태도, 서비스 지식, 상담 Skill 등), 비용적 요인(훈련비, 훈련비 지원 유무 등), 교육 요인(교육 편성 내용, 강사진 등)으로 나누고 각 요인들이 훈련 등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 하였다.

  • PDF

Tunnel Cost Estimating Model Based on Standard Section and Cost Variance Index (I) - Analysis Of Critical Cost Factors - (표준단면을 이용한 터널 공사비 예측모델 개발 (I) - 공사비 영향요인 분석 -)

  • Cho, Jeongyeon;Kim, Kyong Ju;Kim, Kyoungmin;Kim, Sang Kwi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5D
    • /
    • pp.665-675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 approximate cost estimating model for tunnel that can be utilized both in quick construction cost estimating for design alternatives, and in evaluating efficiently the cost effect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during design and construction stage. To meet this requirement, this study analyzes critical cost factors influencing tunnel construction costs. The cost factors include 7 elements such as rock drilling method, advancing method, type of detonator, loader capacity, unit weight and soil volume change factor, length of tunnel.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st varia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ost factors. The result is expected to be used in formulating approximate tunnel cost estimating model.

CATV 홈쇼핑에서 소비자의 비윤리적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Park, Jong-Hui;Kim, Do-Il;Choe, U-Ri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a
    • /
    • pp.193-215
    • /
    • 2005
  • 본 연구는 국내의 CATV 홈쇼핑에서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소비자들의 비윤리적인 행위에 관한 연구로서 소비자들의 비윤리적인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기존의 심리학 분야에서 소비자들의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와 오프라인 상의소비자 비윤리적인 행위에 관한 연구에서의 요인들을 홈쇼핑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홈쇼핑에 적용시켜보았다. 비윤리적인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신뢰와 전환비용, 그리고 충성도로 보았다. 설문조사를 통해서 분석한 결과 홈쇼핑에 대한 신뢰와 전환비용은 소비자들이홈쇼핑에 대한 충성도를 만드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4단계의 충성도는 소비자들의 비윤리적인 행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홈쇼핑 사들은 소비자들과의 관계를 보다 탄탄하게 구축하기 위해서는 전환비용을 지각하도록 하는 것보다 소비자 스스로가 홈쇼핑 사를 신뢰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면 소비자들의 비윤리적 행위는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사내하청 노동자 조직화에 있어서의 작업장 요인과 지역사회 요인: 광양만권 철강산업지역의 사례

  • Kim, Jik-Su
    •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 /
    • v.17 no.1
    • /
    • pp.209-242
    • /
    • 2011
  • 본 연구는 현대하이스코 순천공장과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의 비정규직 조직화 비교를 통해 사내하청 노동조합의 조직화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장 요인과 지역사회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비정규직 노동자 조직화를 비롯한 노동운동, 노동조합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생산의 정치'의 영역에서 비롯된 '작업장' 요인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비정규직 노동자 조직화에 대한 보다 분석을 보다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장뿐만 아니라 '스케일의 정치'가 작동하는 공간인 '지역사회' 또한 분석의 단위로 통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작업장에서의 정규직 및 비정규직 노동자들에 대한 관리통제와 실천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다양한 요인들이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조직화 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두 사례에서 사내하청 노동자들은 철강산업이라는 산업부문과 사내하청 고용형태에 속한다는 공통점 외에도 낮은 수준의 임금과 노동조건하에서 강한 불만을 지니고 있었으며, 원청 및 사내하청 업체의 강한 통제하에 놓여 있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그럼에도 포스코의 경우와 달리 현대하이스코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격렬한 대중투쟁과 지역사회의 지원 속에서 성공적인 조직화를 이룰 수 있었다. 사내하청 노동조합 결성 과정 또한 상이하였다. 현대하이스코의 경우 누적된 사내하청노동자들의 불만이 계약해지를 계기로 일순간 터져 나오면서 작업장 점거농성을 비롯한 대중투쟁과 결합하였다. 나아가 현대하이스코 비정규직지회는 지역사회운동과의 연대를 통해 작업장의 문제를 전체 비정규직 노동문제로 확대해 나갔다. 반면, 포스코의 경우 초기 조직화의 범위가 제한적이었고 대중투쟁 또한 강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지역사회의 관심과 지원 또한 약하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두 사례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비정규직의 조직화에 있어 비정규직 자체 동원기제와 정규직의 지원은 여전히 중요하게 작용하지만, 이것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지역사회를 비롯한 외부의 지원이 일정하게 작용함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역시 지역사회구조 및 지역사회운동의 성격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A psychological study of determinant factors on drunk-driving judgements (음주운전 결정요인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 최상진;손영미;김정인;박정열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6
    • /
    • pp.33-47
    • /
    • 2001
  • 본 연구는 운전자가 음주 후 운전여부를 결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음주운전결정요인에 대해 탐색하고, 이들 요인들에 대해 음주운전자와 비 음주운전자 간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집단심층면접과 기존 문헌 고찰을 통해 얻은 음주운전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사회심리적 요인들을 종합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전체 조사대상자는 음주운전 경험이 있는 운전자 136(남자 122명, 여자 13명)명이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운전자들은 음주 후 운전여부를 결정할 때 1) 음주정도, 2) 음주 후 경과시간 정도, 그리고 3) 다음날 이동시의 불편함, 4) 집과의 거리 정도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음주 후 운전여부를 결정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들에 대해 음주운전자와 비 음주운전자 간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크게 세 가지 차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첫째, '잘못된 신념'에 해당하는 요인들로 음주운전자들이 비 음주운전자들에 비해 음주단속에 걸리지 않을 것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으며, 음주단속과 교통사고 발생가능성을 낮게 평가하고, 자신의 운전실력을 과신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목전단기이익 추구 경향성'에 해당하는 요인들로 음주운전자들이 비 음주운전자들보다 음주 후 차를 두고 갈 경우 야기되는 비용부담, 다음날 이동시의 불편함 그리고 집과의 거리 정도에 더욱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음주운전자들이 비 음주운전자들보다 마신 술의 양(음주량)에 대해 더욱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향후 음주운전에 대한 개선 방안을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