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선형 터빈효과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2초

경사형 진동수주 파력발전장치의 비선형 터빈효과의 분석 (Analysis for Nonlinear Turbine Effect of Inclined OWC Wave Energy Converter)

  • 김정석;남보우;박세완;김경환;신승호;홍기용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9-60
    • /
    • 2018
  •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장치는 수주, 터빈, 발전기 그리고 전력변환 장치 등이 연계된 복잡한 물리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1/4 스케일의 모형시험을 통해 진동수주와 터빈의 물리적인 관계의 도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진동수주실과 연성된 터빈의 공력특성은 오리피스를 활용하여 모사하였다. 진동수주실 성능평가에 핵심요소인 터빈효과는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속과 압력강하로 대표할 수 있다.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장치의 터빈효과는 모형시험에서 계측된 유속과 압력강하로부터 비선형적인 관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背壓과 抽氣復水터빈을 採用한 産業用 熱倂合 發電플랜트의 最適運用 (Optimal Operation of industrial Cogeneration Plant with Back-Pressure and Extraction-Condensing Turbine/Generators)

  • 오성근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69-76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배압터빈과 추기복수터빈으로 이루어진 열병합 발전플랜트의 최전운전을 결정할 수 있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제시한 알고리즘은 플랜트가 운전중에 직접 온 라인으로 취할 수 있는 증가량만을 파라메타로 하여 보일러와 터빈-발전기의 최적부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알고리즘은 비선형 경비함수와 해당 제한사항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제 운전중인 열병합 발전플랜트와 비교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다. 즉 실제 운전 데이터와 비교해본 결과 공정의 증기 부하량에 따라 1.2∼4.5[%]의 운전경비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본 알고리즘은 필요한 입력 데이터를 공정으로부터 쉽게 온 라인으로 취할 수 있어 프로세스 컴퓨터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 PDF

라이다(LiDAR) 측정을 이용한 나셀전달함수의 유도 (Derivation of Nacelle Transfer Function Using LiDAR Measurement)

  • 김현구;강용혁;윤창열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9권9호
    • /
    • pp.929-936
    • /
    • 2015
  • 풍력터빈 블레이드의 후단, 나셀 상부에 설치되는 나셀 풍속계는 블레이드 회전에 따른 후류효과 및 나셀형상 등으로 인하여 풍력터빈에 입사되는 자연풍속과는 다른 왜곡된 풍속을 측정한다. 풍력터빈 출력성능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는 나셀풍속을 자연풍속으로 보정하는 나셀전달함수를 유도하여 성능곡선을 보정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비금도 북부 해안에 건설된 신안풍력발전소에서 지상기반 원격탐사 장비인 라이다(LiDAR)를 설치하여 나셀 풍속계와 동일 높이에서의 자연풍속을 측정하였다. 나셀풍속을 자연풍속으로 보정하는 기존의 단순회귀분석에 의한 선형 나셀전달함수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에 의한 비선형 나셀전달함수를 유도하였다. 나셀전달함수로 계산한 보정풍속을 풍력터빈 출력곡선에 대입하여 산출한 이론 발전량과 실제 발전량의 잔차를 비교하여 개선효과를 검증하였다. 다중회귀분석 나셀전달함수는 단순회귀분석에 비해 풍속의 표준오차는 9.4% 감소하였으며, 발전량 잔차 분포의 평균은 6.5% 감소하여 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변 피치형 수평축 풍력 터빈의 공력 최적설계 및 피치제어 성능 연구 (Optimal Aerodynamic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for Pitch-Controlled HAWT)

  • 유기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891-898
    • /
    • 2007
  • 피치 제어형 수평축 풍력터빈에 대한 공력최적 설계 형상과 피치 변화에 따른 공력 성능 특성을 수치적으로 계산하였다. 수치적 방법은 날개 요소이론을 적용하였으며, Prandtl의 팁 손실 효과, 에어포일의 분포 효과, 후류의 회전 효과 등을 고려하였다. 블레이드 설계에는 총 6개의 서로 다른 에어포일을 사용하였으며, 구조적 강성을 갖기 위해서 허브 측에는 최대 40% 두께비의 에어포일을 분포시켰다. 최적 설계에서 얻어진 비선형 코드 길이는 제작성과 무게 등을 고려하여 선형화 시켰고, 선형화에 따른 공력성능 변화는 무시할만하다는 결과를 얻어내었다. 피치각 변화에 따른 동력성능, 추력성능, 토크 성능 곡선을 비교한 결과 $3^{\circ}$의 피치각 변화에도 민감한 공력 값의 변동이 생김을 알 수 있었고, 정밀한 피치 제어를 위한 각도 제어는 증분이 $3^{\circ}$보다 작은 값으로 피치 제어 알고리즘과 피치 구동 장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최대 토크는 설계속도비보다 작은 속도비에서 발생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대형 풍력터빈 절연커플링 시험장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for the Insulated Coupling Test Machine of a Large Wind Turbine)

  • 주성하;김동현;오민우;김수현;배준우;강종훈;이형우;김경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0권8호
    • /
    • pp.543-55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5 MW 급 대형 풍력터빈 절연커플링의 시험평가 장치를 자체설계 개발하였다. 3 MW 급 대형 풍력터빈용 절연커플링에 대한 공인성능시험평가를 수행하고 시험장치에 대해서는 개발요구도, 장치설계, 기능적 고려사항, 구조진동해석 및 검토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대형 풍력용 절연커플링 모델과 같이 필라멘트와인딩 공법으로 제작된 두꺼운 유리섬유 복합재 파이프의 경우 shell 요소 기반의 유한요소 해석기법과 두께 효과를 정확하게 모델링 할 수 있는 복합재 적층형 3D solid 모델링 기법의 비교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다수의 판스프링이 적층된 형태로 제작된 디스크팩 구조에 대한 효과적인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기법을 제시하고 시험평가 결과와 비교 검증을 수행하였다.

연소시스템의 열음향 불안정 예측을 위한 Helmholtz Solver 개발 (Development of Helmholtz Solver for Thermo-Acoustic Instability within Combustion Devices)

  • 김성구;최환석;차동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445-45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실제 로켓엔진 및 가스터빈용 연소기 내부의 열음향 불안정을 효과적으로 예측하기 위하여, 헬름홀츠 방정식과 시간지연모델을 이용한 3차원 유한요소법 해석코드를 개발하였다. 연소응답항에 의해 수치적으로 야기되는 비선형성은 반복법으로 선형화 하였으며, Arnoldi 방법을 사용하여 대용량 고유치 문제를 해석하였다. 해석결과인 복소각주파수와 음향 압력장을 통해 각 음향모드의 공진주파수, 진폭의 증폭/감쇠 여부 그리고 모드 형태를 예측할 수 있다. 이론해가 존재하는 두 가지 문제를 통해 출구 임피던스와 예혼합 화염이 종 방향 음향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예측 정확도를 평가하였으며, 배플 유무에 따른 횡 방향 음향 모드의 주파수 변이를 상온 음향시험 결과와 비교/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