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상 전력

Search Result 177, Processing Time 0.04 seconds

Design and Control Method for Critical Load Supply Equipment of MCFC Electricity Generation Systems (대용량 MCFC 발전시스템의 비상부하 전력 공급 장치 설계 및 제어 기법)

  • Kim, Dong-Hee;Kim, Jong-Soo;Lee, Byoung-Kuk;Kwak, Cheol-Hun;Cha, In-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07a
    • /
    • pp.200-20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동특성이 매우 느린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Molten Carbonate Fuel Cell, MCFC) 스택이 계통 사고 시 추가적인 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없이 비상부하로 전력 공급이 가능하고, 사고 제거 후 즉시 정격전력 발전하여 계통으로 주입할 수 있는 비상부하 추종형 백업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MCFC 발전 시스템용 비상부하 추종형 백업 시스템은 3상 인버터로 구성된 PCS (Power Conditioning System) 출력단에 3상 PWM 컨버터를 연결한 구조이고, 비상부하 추종 및 부하량 조절이 가능한 추가적인 제어 알고리즘으로 PWM 컨버터를 제어한다. 제안된 비상부하 추종형 백업 시스템의 회로와 제어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한다.

  • PDF

Periodic Safety Review of EDG for CANDU Type Nuclear Power Plant (중수로형 원자력 발전소 비상디젤발전기 주기적 안전성 평가)

  • Ha, C.W.;Han, S.H.;Lim, W.S.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666_667
    • /
    • 2009
  • 원자력발전소의 비상전력계통은 소외정전 시 발전소 안전정지에 필요한 안전관리 설비에 비상전력을 공급하는 계통으로 비상전력계통 모선에 비상디젤발전기(Emergency Diesel Generator : EDG)가 설치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중수로형 원자력 발전소에 대해서 최초로 주기적 안전성 평가(Periodic Safety Review : PSR)을 수행한 결과를 기술하였다.

  • PDF

The Operation Method of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in Bipolar LVDC Using Emergency Generator and ESS (비상발전기와 ESS를 이용한 양극성 저압 직류배전에서의 비상 전력 공급 시스템 운영 방법)

  • Kang, Kyung-Min;Kang, Jin-Wook;Song, Jun-Ho;Lee, Hoon;Kwon, Yong-Hoon;Won, Chung-Yue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07a
    • /
    • pp.180-182
    • /
    • 2018
  • 직류배전 시스템은 신재생에너지 및 ESS(Energy Storage System)와의 결합으로 높은 에너지 이용효율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직류배전 시스템은 기존 교류계통을 통해 구성되며, 다양한 디지털 부하가 연계되므로 교류계통 및 메인 PCS(Power Conversion System)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를 대비하여 비상 전력 공급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최근 직류배전에서 비상 전력 공급 시스템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ESS는 초기 설치비용, 용량, 수명 등의 문제로 인해 단일로 비상 전력 공급 시스템을 구성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때문에 기존에 이미 많이 설치되어 있는 비상발전기의 적용이 검토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비상발전기와 ESS를 활용하여 양극성 저압직류배전에서 정전과 같은 사고 상황 발생 시 직류배전망의 전압을 빠르게 안정시킬 수 있는 시스템과 그 운영기법을 제안하였고, PSIM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The commercialization of ESS PCS replacing Emergency Generator (비상발전용 ESS(Energy Storage System) 상용화 개발)

  • Park, Minjun;Seo, Jungwon;Hwang, Kwangkyu;Park, Juhyun;Jang, Jeahoon;Kim, Heej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461-462
    • /
    • 2016
  • 본 논문은 100kW 급 비상발전용 ESS 상용화 개발을 제안한다. 비상발전기란 전력계통이 정지되었을 때 발전장치를 구동시켜 전력을 생산하는 자가발전설비를 말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2Level 전압형 100kW 급 비상발전용 ESS 로써 정상 시 계통 전원과 동기 운전을 수행하는 계통 연계형 전력변환장치이다. 수배전 수용가에 설치되어 운영이 가능하며 일반적인 ESS PCS 기능인 주파수 조정 (Frequency Regulation), 출력 안정화, 첨두부하 저감 (Peak Shaving), 부하평준화 (Load Leveling), 수요반응 (Demand Response)에 추가하여, 자가발전 (Black Start), 무효전력제어 등의 기능을 적용 하였다. 제안된 100kW 급 비상발전기용 ESS PCS 는 시뮬레이션 및 프로토 타입을 이용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Applicability of Emergency Back-up Generators for Peak Shaving Resources (비상용 발전설비의 첨두부하 삭감자원으로의 활용방안)

  • Choi, M.S.;Cho, K.S.;Shin, J.R.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1b
    • /
    • pp.240-242
    • /
    • 2007
  • 본 논문은 전력수용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비상용 발전설비의 첨두부하 삭감자원으로의 활용방안을 다룬다. 전력수용가는 시스템 첨두부하시간대에 첨두부하를 삭감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자원을 확보하고 있으나 주로 전력소비시간 변경 또는 이전을 통한 자원화 방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상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할 목적의 부하를 차별화하고 비상발전설비의 첨두부하삭감 자원화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 PDF

Design and Control Method for Critical Load Supply Equipment using MCFC Electricity Generation Systems (대용량 MCFC 발전시스템을 이용한 비상부하 전력 공급 장치 설계 및 제어방법)

  • Kim, Dong-Hee;Kim, Jong-Soo;Choe, Gyu-Yeong;Lee, Byoung-Kuk;Kawk, Cheol-Hoo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16 no.1
    • /
    • pp.20-29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critical load following back-up system using MCFC stack. This system enables MCFC generation system to supply power to critical load without UPS and to generate rated power under grid fault state. This back-up system includes 'Load Leveler' that is connected with 3-phase inverter and is controlled by additional algorithm that includes critical load following. The proposed system and algorithm are verified by computer simulation based on 5kW system.

신재생에너지원과 에너지 저장장치 기반 비상발전기의 하이브리드 운전 제어기법 개발

  • Bae, Yeong-Gyu;Son, Gwang-Myeong;Park, Chang-Hye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11a
    • /
    • pp.143-144
    • /
    • 2012
  • 본 논문은 신재생에너지원과 에너지 저장장치 기반의 비상발전기의 하이브리드 운전 제어기법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와 에너지 저장장치 기반의 비상발전기를 하이브리드로 운전할 수 있는 제어장치와 출력이 불규칙한 신재생에너지의 출력을 평준화 할 수 있는 비상발전기 출력 제어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장치는 부하의 전기에너지 피크 절감을 위한 비상발전기 출력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PDF

The Utilization of Energy Storage System(ESS) as Emergency Power Source for Nuclear Power Plant (원자력 발전소 비상전원으로써 ESS의 활용)

  • Lee, Woo-Rim;Chang, Choong-k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641-642
    • /
    • 2015
  •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는 생산된 전력을 전력계통에 저장했다가 전력이 가장 필요한 시기에 꺼내어 사용함으로써 에너지효율을 높이는 능동적인 기술이다. ESS는 풍력발전, 태양광발전 등 신재생에너지와 같은 분산전원 도입, 피크부하에 대응하기 위한 부하평준화, 전력품질개선 등 그 역할과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후쿠시마 사고 이후 강조된 비상전원과 관련하여 원자력발전소 부지 내 비상전원으로써의 ESS 활용과 그 가능성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 PDF

Research on Optimum Design of 3kW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for Autonomous Vehicle's Emergency Power Generation System (자율주행차량의 ISG시스템에서 비상발전용 배터리 충·방전을 위한 3kW급 양방향 컨버터의 최적화 설계에 관한 연구)

  • Kim, Jin-Hak;Kang, Dong-Hun;Lee, Il-O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11a
    • /
    • pp.125-12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자율주행차량의 ISG시스템에서 비상발전용 양방향 DC-DC 컨버터 개발을 위한 최적화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자율주행차량의 주 전력시스템이 차단되었을 때 차량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전력공급이 가능한 비상발전시스템은 현재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다. 자율주행차량의 비상발전시스템의 최대 전력은 약 3kW이며 main battery 전압은 48V, sub battery 전압은 12V이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의 연비를 고려한 고전력 밀도와 배터리 수명을 고려한 전류 리플 최소화를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차동모드 커플더 인덕터를 가진 4상 인터리브드 방식으로 설계하였고, 최대 98.22%의 효율이 예상된다.

  • PDF

Energy Demand Estimation in Metropolitan Area in Case of Emergency using Spatial Information (공간정보를 활용한 대도시권역 비상시 에너지 수요량 예측)

  • Nam, Gyeongmok;Lee, Hong Chul;Lee, Dong-E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0 no.3
    • /
    • pp.105-112
    • /
    • 2019
  • Due to abnormal high temperature, electric power demand has exceeded the backup power reserved for emergency case, hence, resulting in a major power outage. In today's overcrowded cities, the unexpected disruption in energy supply and demand is a major threat to the enormous economic damage and urban malfunctions. Existing methods for estimating the demand of the emergency power source do not lend themselves to predict the actual demand in the spatial dimension of the city. In addition, the reserve power is arbitrarily distributed in the case of emergency.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hat predicts the emergency power demand us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mergency power demand by applying the daily energy consumption intensity and emergency power demand according to urban spatial information and building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