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상대응능력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자율운항선박 육상원격제어사의 행동기반 비상대응능력 평가 방법

  • 황태민;황태웅;황효선;윤익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255-256
    • /
    • 2022
  • 자율운항선박 육상원격제어사의 육상원격제어능력은 자율운항선박의 안전 운항 달성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특히 화재, 침수와 같은 비상상황은 긴밀한 대처를 필요로 하며, 선박에 자율화된 대응 시스템이 있다 하더라도 육상원격제어사의 비상상황 대응능력은 중요도가 높은 원격제어능력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육상원격제어사의 능력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선박조종능력에 편향된 경향을 보이며 선박조종 이외의 비상상황대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자율운항선박의 비상상황에 대한 육상원격제어사의 대처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행동기반 비상대응능력 평가 모델을 개념화하여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mergency Response Empowerment for Captain Based on the Analysis of Maritime Accidents (사고분석을 통한 선장 비상대응 역량강화 연구)

  • Chae, Chong Ju;Park, Young Sun;Jo, So Hyun;Kang, Suk Young;Lee, Ho;Kim, Hong Beo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5 no.4
    • /
    • pp.413-422
    • /
    • 2019
  • Maritime accidents are always accompanied by human/property damages. If management level ship's of icers properly respond to emergency situation in a correct manner based on knowledge required by international conventions, when maritime accidents occur, it will be possible to minimize such human/property damages. To improve the ability to deal with maritime accidents, this study analyze maritime accident cases to identify which competencies ships' officers' were lacking, compared the emergency response competencies required by international conventions, analyzed various emergency management manuals of shipping companies and carried out questionnaire surveys to suggest improvements of emergency response capability for ship's master. Through the analysis of maritime accidents, it was identified that management level ship's officers lacked competencies regarding damage stability and intact stability, and that the training for emergency response required by international conventions had been insuf iciently carried out. In addition, even though emergency management manuals of ships were generally adequate,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re were limitations in terms of practical use of emergency response manual. Therefore, based on the questionnaire, this study proposed the expansion of emergency response training required by international conventions based on use of simulators, and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or manuals for effective and efficient response in emergency situations.

비상상황 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한 훈련개선

  • Mun, Jae-Ho;Ha, Yun-Ju;Kim, Bo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345-347
    • /
    • 2015
  • 사고발생시 해상교통관제센터의 신속한 상황전파 및 적극적인 현장지원 등을 통해 대응능력 배양이 필요하고 다양한 관제상황 모의훈련을 통해 현장대응 문제점 도출 및 개선, VTS와 상황실 함정 등 현장세력 간 공제체계 강화방안을 검토하였다.

  • PDF

A Study on HSTPA Model for Improvement of Emergency Response Training for Ships (선박의 비상대응훈련 개선을 위한 HSTPA 모델에 관한 연구)

  • Han, Ki-Young;Jung, Jin-ki;Ahn, Young-Jo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5 no.4
    • /
    • pp.441-447
    • /
    • 2019
  • Since emergency response training for maritime safety and safety education of maritime education institutions are conducted based on the set scenarios and education contents,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reduction of human error and response to various situations. Although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there is no way to improve response capabilities by assessing existing education training and securing diversity in situations. This study proposes a theoretical procedure analyzer method to model the diversity of situ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mergency response training. This paper defines the human and system theoretical procedure analysis model (HSTPA) based on the organic relationship of the source and system.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training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errors that each component could produce and applying them to the fire response training scenarios requiring vertical reporting systems and responses. The segmentation and inspection of training scenario considerations applying the proposed HSTPA model is believed to help create diverse and realistic scenarios in emergency response training and education, and improve the situation judgment understanding and response capabilities of the subjects.

원전 비상직무에서의 주제어실 운전원의 의사소통 수행도 분석

  • 정광섭;박진균;정원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86-91
    • /
    • 2003
  • 원자력발전소의 설계는 다중방호의 개념에 의해 이루어져, 그 구조가 복잡하고 운전 형태도 다양하며, 이에 따라 사고의 전개 과정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로 인해 원자력발전소의 운전원들은 발전소의 유동적인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고도의 능력이 요구된다. 특히 주제어실 운전원들은 발전소의 기동 및 전출력 운전, 정지, 그리고 비정상 및 비상 상황 시의 적절한 대처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다. 발전소의 사고 분석 결과에 의하면, 사고에 대한 운전원의 대응이 사고의 전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결과 적으로 사고에 대한 운전원들의 적절한 대응 능력은 발전소의 안전성에 중요한 부분임이 밝혀졌다.(중략)

  • PDF

Comparison of Airport Emergency Plans in Korea and Japan and Survey of Emergency Response of Airline Employees at Check-in Counter (한·일 공항비상계획 비교 및 체크인카운터의 항공사 직원 비상대응 실태조사)

  • Kwon, Kyum;Kwon, Byung Hwa;Cheung, Chong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3 no.2
    • /
    • pp.11-25
    • /
    • 2020
  •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improve responsiveness in the event of a disaster in the landside area of the Airport Passenger Terminal, and it investigated the airport emergency plan and the status of emergency response in the event of a disaster by the airline's ground staff. The Airport Emergency Plan examined the airport evacuation plan of Korea's Gimpo Airport and Japan'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onfirming that the domestic airport emergency plan was not specific. In addition, a survey of 100 airline ground employees working at check-in counters found that 69% of the respondents were unaware of their role in disaster situations, 90% were not educated in emergency response and 98% were not trained in disaster training in landside areas. Cross-analysis confirm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safety of the airport where the service life worked and whether it was a role in the event of a disaster.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airport emergency response plan should be improved to improve the ability to respond to disaster sites in the landside area of the airport passenger terminal and that the airline's ground staff should be educated and trained to enhance disaster response.

`96 울진원전 방사능방재 합동훈련

  • 이영준
    • Nuclear industry
    • /
    • v.16 no.10 s.164
    • /
    • pp.61-69
    • /
    • 1996
  • 효과적인 비상 대응 능력을 높이고 방사능 방재 관련 기관과의 유기적인 협조 체제를 강화할 뿐 아니라 방사선 비상 계획을 보완$\cdot$발전시키기 위해 96 울진 원자력 방사능 방재 합동훈련이 지난 9월 11일 울진 원전 비상대책실과 울진 군청 상황실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실제 훈련과 도상 훈련으로 나눠 시행된 이번 훈련은, 과학기술처$\cdot$내무부$\cdot$국방부$\cdot$경상북도$\cdot$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관계자와 미국$\cdot$프랑스 등 국제원자력기구 회원국 방재 전문가, 지역주민, 유관 기관 관계자 등 총 400여명이 참가하였으며, 헬기 및 해양 경비정을 동원하는 등 육$\cdot$$\cdot$공의 입체적인 훈련으로 진행되었다.

  • PDF

우리나라의 방사능방재 현황 - 영광 3호기 방사능방재합동훈련을 중심으로 -

  • 강영철
    • Nuclear industry
    • /
    • v.15 no.12 s.154
    • /
    • pp.52-58
    • /
    • 1995
  • 지난 11월 10일 한국전력공사 영광원자력본부에서는 원전에서의 방사능누출사고 발생시 사고복구 및 주민보호를 위해, 과학기술처$\cdot$내무부$\cdot$전라남도$\cdot$전라북도$\cdot$영광군$\cdot$고창군$\cdot$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cdot$한국전력공사 본사$\cdot$영광원자력본부 관계자 및 지역주민 등 약 400여명이 참여한 대규모 방사능방재훈련이 있었다. 훈련은 일부 주민에 대한 실질적인 대피, 헬기 및 해상함정을 동원한 공중 및 해상의 환경방사능 측정, 화재진압, 부상자 구호, 발전소 사고복구, 관련기관간 유기적인 정보교환 등 실제 및 도상으로 처리하는 훈련을 통해 만약의 비상사고시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금번 훈련의 가장 중요한 의의는 우리나라에서 지역주민이 처음으로 대피훈련에 참여함으로써 실질적인 비상대응능력 확보에 기여하였다는 점이다.

  • PDF

A Study on Flood Inundation Analysis of Dam Downstream Area by Using Mike Flood (Mike Flood를 이용한 댐 하류하천 홍수범람 분석)

  • Choi, Byung-Kyu;Kang, Tae-Ho;Choi, Kyung-Lok;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9-114
    • /
    • 2006
  • 최근 들어 지구온난화 및 이상기후 등 기상이변으로 인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이상홍수에 대한 댐의 적극적인 대응을 위하여 댐 지역의 가능최대강수량(PMP) 및 가능최대홍수량(PMF)을 산정 수문학적 안정성을 검토하고, 이에 따른 댐의 치수능력 확보를 위해 구조적, 비구조적 계획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상호우로 인한 댐 붕괴 혹은 댐 하류하천 홍수범람 영향을 검토하여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침수예상지역의 비상대피계획(EAP)을 수립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홍수에 있어서 댐 치수능력 증대에 따른 댐 방류시 하류하천의 홍수범람 양상을 모의하기 위하여 1차원, 2차원 결합모형인 Mike Flood 모형을 이용하여 댐 하류하천의 홍수범람 분석을 실시하였다. Mike Flood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1998년 8월 홍수시 서울시 우이천유역의 홍수범람 실측자료를 바탕으로 Mike Flood 모형을 모의를 수행한 결과 실제 조사된 홍수범람지역과 대체로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댐 치수능력 증대에 따른 하류하천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Mike Flood 모형을 이용 수어댐에 적용하여 이상홍수시 하류하천 침수예상지역을 예측함으로써 이 지역의 비상대피계획 수립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