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분리

검색결과 5,701건 처리시간 0.044초

번들-분해법을 이용한 대규모 비분리 콘벡스 프로그램 해법 - 수치 적용결과

  • 박구현;신용식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서울대학교, 서울; 30 Sep. 1995
    • /
    • pp.211-219
    • /
    • 1995
  • 블록-삼각(Block-angular)구조를 갖는 선형 제약식과 분리되지 않는 콘벡스 목적함수의 대규모 비분리 콘벡스 최적화 문제의 해법으로 번들-분해법 (Bundle Based Decomposition)을 이용한 알고리즘 SQA(Separable Quadratic Approximation)은 비분리 콘벡스 프로그램을 분리가능한 2차계획 법(Separable Quadratic Programming) 문제로 근사화시켜 번들-분해법을 축 차적으로 적용한다. 본 연구는 수렴성(local convergence & global convergence) 및 알고리즘 구현 [1]에 이어 이에 대한 수치적용 결과를 중심 으로 소개한다. 수치 적용은 ANSI C로 작성된 SQA 프로그램을 SUN SPARC II에서 실행하였으며 이때 대규모 비분리 최적화 문제의 비분리 목 적함수와 블록-삼각 구조의 선형 제약식들이 계수들은 ANSI C의 랜덤함수 로부터 임의의 값들을 이용하였다. 이와같은 다양한 비분리 콘벡스 최적화 문제에 대한 수렴성, 반복회수 및 처리시간등의 결과와 함께 GAMS/MINOS 의 최적해를 소개한다.

  • PDF

내산소성 비피더스균의 분리와 생육 특성 1. 내산소성 비피더스균의 분리와 동정

  • 정후길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20-27
    • /
    • 1994
  • 건강한 성인의 분변으로 부터 호기적인 평판배지에서의 생육이 가능한 비피더스균을 선별 분리하는 조건과 상기 분리주의 특성을 규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5%의 탈섬유소 말혈액을 첨가한 BLB Agar Medium에 인체 분변을 호기적으로 표면 배양하여 내산소성 비피더스균 변이주를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주는 BLB Agar Medium 평판배지에 호기적으로 배양 했을때 $1.1\;{\times}\;10^9$ cfu/ml 이상의 높은 균수를 유지하였다. 2. 상기의 내산소성 비피더스균 분리주를 BLB Agar Medium 에 호기적으로 배양했을때 0.5mm, 연유갈색, 원형, 융기상의 윤택한 집락을 형성하였으며 현미경 검경 결과 Y 자형 분지상과 V자형 만곡간균상, 팽윤상 등의 전형적인 비피더스균 형상으로 나타냈다. 3. 탄수화물 발표실험 결과 상기의 내산소성 비피더스균 분리주는 Bif. adolescentis 로 동정되었으며 F6PPK GKA효소 활성 함께 매우 높은 ${\alpha}$-Galactosidase, $\beta$ - Galactosidase, ${\alpha}$-Galactosidase, 효소 활성을 나타냈다. 한편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순수한 우유 중에서의 발효성 및 호기적인 생육능이 매우 양호하였다.

  • PDF

수중 비분리 콘크리트의 최적 배합비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the Optimal Mix Proportion for Antiwashout Underwater Concrete)

  • 진치섭;김희성;한태영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224-232
    • /
    • 1995
  • 최근 일부 외국에서는 종래의 수중 콘크리트와 다른 관점으로부터 수중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고 타설방법도 용이한 특수 혼화제가 개발되어 실험과 시공에서 성공하였고, 이런 특수 콘크리트(수중 비분리 콘크리트)는 점차 사용 규모와 시공 방법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수중 비분리 콘크리트에 대한 성공적인 실험, 시공사례를 참고하여 수중 비분리성 혼화제 및 다른 혼화제의 첨가 방법을 달리하였을 경우, 수중 비분리 콘크리트의 물성변화를 검토하였고, 비교적 정온 상태의 해상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수중 비분리 콘크리트의 최적 배합을 결정하였다.

효모의 연속 포말 분리 (Continuous Foam Separation of Yeast Cells)

  • 서근학;심현과윤종원
    • KSBB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46-51
    • /
    • 1996
  • 연속식 포말 분리관에 효모 용액을 일정하게 공급 하여 분리 실험을 수행하며 배지 공급량, 질소 공급량, 온도와 pH, 배지의 희석비 및 $CaCl_2$첨가 등의 영향에 따른 연속 포말 분리관의 분리 및 특성 등을 연구하였다. 배지 공급량이 200ml/hr인 경우 액본 체 효모의 90-95%가 제거되어 매우 효과적인 분 리법이었다. 질소 공급량이 50ml/min일때 효모 제 거율은 90-95%의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효모 용액 줌의 효모 농도가 1.18g/$\ell$ 일 때 액본체 효모 가 90% 가까이 제거되었고 효모 분리비도 145로 매우 효과적인 분리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효모 용 액의 pH가 4.6-5.6일때 최대의 효모 분리비 78.4~83.6 로 나타났고, 효모 용액의 온도가 $32^{\circ}C$일때 효모 분리비는 80.5, 효모 제거율은 87.3의 값을 나 타내었고, 효모 용액 중의 $CaCl_2$.의 농도가 0.5g/$\ell$ 일 때 효모 분리비는 90.04, 효모 제거율은 83.3% 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였다. 배지의 희석비가 3배일 때 효모 분리비가 122.2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였고 액본체 내의 효모도 92.8%가 제거되는 효과적인 분 리 특성을 나타내어 포말분리법은 용액 중 효모를 분리하기 위한 매우 효과척인 방법이었다.

  • PDF

EADRess 와 NMF 를 결합한 음원분리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Sound Source Separation Combining EADRess and NMF)

  • 정영호;장대영;이태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6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24-227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채널 신호 간 강도비를 이용하여 음원을 분리하는 EADRess 알고리즘과 부분기반 표현을 특징으로 한 비음수 행렬 인수분해를 통해 음원을 분리하는 NMF 가 결합된 새로운 음원분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입력 오디오 신호로부터 frequency-azimuth 평면 구성을 통해 식별된 방위각에 상응하는 신호 강도비로 표현되는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하여 1 단계 음원분리를 수행하고, 얻어진 개별 분리음원을 대상으로 supervised NMF 및 Wiener 필터 기반 마스킹 함수를 적용함으로써 잔류 혼합성분을 제거하는 2 단계 음원분리를 수행한다. 제안된 EADRess/NMF 결합 음원분리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SASSEC 에서 제공하는 테스트 음원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개별 음원분리 알고리즘에 비해 SIR 이 각각 1.41dB, 10.43dB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 PDF

횡유입에 의한 합류부 홍수특성 분석 (Analysis of Flood Characteristics at Confluence by Lateral Inflow)

  • 최흥식;조민석;박용섭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59-68
    • /
    • 2006
  • 합류부는 유량의 변화, 흐름방향의 전환으로 순환흐름의 분리구역의 발생에 의한 통수단면의 축소에 의한 통수능의 저하와 이에 따른 배수의 영향이 야기된다. 지류와 본류와의 유량비와 합류각을 달리하면서 실험한 결과를 이용하여 분리구역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분리구역의 정의는 유함수를 이용하여 그 값이 0(영)인 유선을 분리구역으로 정의하여 그 길이와 폭을 본류 하천폭으로 나눈 무차원 길이비와 무차원 폭비로 하였고, 유선에 의한 분리구역의 연구결과가 기존의 실험들과 비교적 잘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은 유량비와 합류각 30도에서는 분리구역이 나타나지 않아서 유량비와 합류각에 의한 분리구역의 출현경계식을 만들었다. 분리구역에 대한 고찰로 합류각, 유량비, 그리고 본류 하류에서의 Froude수에 의한 분리구역의 무차원 길이비와 폭비에 대한 기존의 실험식을 수정하였고, 수굴계수와 형상지수의 수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유량비와 합류각이 커질수록 분리구역이 크게 나타났다. 합류부를 전후한 상하류 구간에서 수면의 추적에서 유량비와 합류각이 커질수록 배수위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고, 합류부가 접하는 내측보다 외측의 배수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하류부 유량에 의해 등류수심을 산정하여 합류가 시작되는 점에서부터 하류의 등류수심에 이르는 곳까지의 거리를 $X_l$로 보고 합류각과 유량비와 단면폭 및 수축계수간의 상관관계식을 산출하였다. 유량비와 합류각에 따른 수로내의 배수위에 의한 최대수위와 분리구역에서의 최소수심과의 비를 분석하였다.

인공위성용 비폭발식 분리장치 기술동향 (Non-Explosive Actuator Technology for Satellite Applications)

  • 임재혁;김경원;김선원;이창호;이주훈;황도순
    •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 /
    • 제7권1호
    • /
    • pp.97-104
    • /
    • 2009
  • 위성이 궤도에서 성공적인 임무수행을 하기 위해서는 위성시스템에 손상이 없도록 발사체로부터 분리되어야 하며 태양전지판과 안테나와 같은 부속장치의 전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분리장치가 사용되며, 특히 분리 시의 충격(500g이하) 및 오염이 적은 비폭발식 분리장치가 널리 쓰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주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비폭발식 분리장치의 종류 및 기술현황에 대해 정리하였으며, 국내연구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 PDF

지진에 대비한 기초분리 교량의 설계법에 관한 연구(I) (A Study of Seismic Resistant Design for Base-Isolated Bridges(I))

  • 이상수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통권33호
    • /
    • pp.625-635
    • /
    • 1997
  • 기초 분리 기법과 분리 장치의 지진 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에너지 전달력의 감소 효과에 대한 인식은 증가되어 왔으나, 기초 분리 교량의 지진 응답을 예측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비선형 동적 해석 방법은 소요되는 경비 및 장비의 제한으로 설계용으로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기초 분리 교량의 설계에 있어서 시간 이력 해석법에 의하지 않고, 탄성 해석법의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지진 발생시 구조물의 비선형 응답의 해석의 탄성 해석법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기초 분리 교량의 하중-변위를 항복전과 항복후 상태로 분리하여, 주기 이전과 유효 주기, 모드 기여율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또한, 교각 높이별 P.C교에 인공 지진파를 이용한 시간 이력 해석을 수행하여 분리 장치의 상태 변화를 고려한 모드 해석법과 비교하였다. 해석 결과, 분리 장치의 상태 변화는 주로 제1 모드 주기에 영향을 미치며, 지진 응답은 분리 장치의 상태 변화에 따라 지배되나 일정 범위로 수렴하였다. 이에 bilinear 분리 장치에 의한 비선형 지진 응답의 유효 강성에 의한 모드 해석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bilinear 장치로 기초 분리된 교량에 대해 교각 높이 변화를 고려한 선형 탄성 해석과 비선형 시간 이력 해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

합류부 하상고 불일치에 의한 분리구역 특성분석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Separation Zone Due to a Bed Discordance at Confluence)

  • 최흥식;모선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8호
    • /
    • pp.625-634
    • /
    • 2015
  • 합류부에서의 지류의 합류각, 지류와 본류의 유량비에 추가하여, 본류 준설에 의한 하상고 불일치에 따른 다양한 양상의 분리구역의 특성을 CCHE2D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리구역은 지류가 합류되어진 직후 단면에서의 유속이 0(영)인 경계로 정의하였다. 합류각 $30^{\circ}$ 이하에서는 분리구역이 형성되지 않았다. 유량비와 합류각 증가에 따른 분리구역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준설 깊이비 증가에 따른 분리구역의 크기는 합류부 수용체의 증가에 기인한 지류에서의 상대적인 운동량의 감소로 인하여 감소되었다. 유량비와 합류각의 변화에 따른 분리구역의 수축지수를 규명하였고, 통수기능의 저하에 따른 배수영향을 확인하였다. 합류각, 유량비, 준설 깊이비에 따른 분리구역의 형상지수의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빔공간-영역 다채널 비음수 행렬 분해 알고리즘을 이용한 음원 분리 기법 Part I: 빔공간-영역 다채널 비음수 행렬 분해 시스템 (Audio Source Separation Method Based on Beamspace-domain Multichannel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Part I: Beamspace-domain Multichannel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system)

  • 이석진;박상하;성굉모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17-33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다채널 음향 신호의 음원 분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빔공간-영역에서 다채널 비음수 행렬 분해 기법을 이용하는 음원 분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비음수 행렬 분해(NMF) 기법은 음원 분리에서 최근 널리 쓰이는 알고리즘이며, 특히 최근에는 다채널 비음수 행렬 분해(MC-NMF) 기법으로 발전하여 다채널 음향 신호에 대해서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다채널 비음수 행렬 분해 기법은 빔공간-영역에서 수행되어, 기존의 다채널 비음수 행렬 분해 기법에 비해 좋은 성능을 가진다. 제안되는 비음수 행렬 분해 기법은 SiSEC 2010의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검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