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밀번호

Search Result 24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Vulnerability Analysis of Secure USB: Based on the Password Authentication of Product B (보안 USB 취약점 분석: B 제품 비밀번호 인증을 기반으로)

  • Lee, Kyungroul;Jang, Wonyoung;Lee, Sun-Young;Yim, Kangb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155-157
    • /
    • 2018
  •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기업의 기밀정보와 같인 데이터의 안전한 이동 및 저장을 위하여 저장장치 보안 기술이 등장하였으며, 보안 USB와 보안 디스크 제품이 대표적으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제품은 저장되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증 기술 및 데이터 암호 기술, 접근 제어 기술 등의 보안 기술을 적용한다. 특히, 사용자 인증 기술은 비밀번호 인증 기술이 대표적으로 활용되며, 인증을 강화하기 위하여 지문 인증 및 홍체 인증이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보안 USB 제품, 특히 B 제품을 기반으로 적용된 사용자 인증 기술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발생 가능한 보안 취약점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제품 B에 적용된 비밀번호 인증에서 발생 가능한 취약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우회하여 저장장치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탈취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OpenCV-based Digital Doorlock (OpenCV기반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Park, Sang-Young;Kang, Hwa-Young;Lee, K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321-324
    • /
    • 2019
  • 최근 국내에는 실업률 상승, 혼인률 하락 등 청년층 생애주기 변화, 단독거주, 고령층의 증가에 따라 1인 가구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어 1인 가구를 겨냥한 맞춤형 보안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 인터넷 기술을 적극적으로 접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디지털 도어락의 구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물 인터넷 기술은 5G 시대의 도래에 따라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반 기술로 주요 IT 기업들이 상용화 기술 확보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디지털 도어락은 열쇠가 필요하지 않으며 위급상황이나 안전상황에 클릭 한번으로 출동 요원의 출동을 곧바로 요청할 수 있어 고객에게 편의성과 보안성을 제공한다. 하지만 비밀번호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은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교체해주지 않는 이상 지속적으로 같은 자리의 버튼만을 누르게 된다. 이렇게 되면 해당 위치에 지문이 남아서 비밀번호가 노출될 위험이 있다. 그러나 사물 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을 사용하게 된다면 안전한 도어락 사용으로 주거 보안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1인 가구를 노리는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라즈베리 파이와 아두이노의 UART 통신, 머신러닝 CV를 이용하여 얼굴 인식으로 동일인임을 판단하는 디지털 도어락을 구현했다.

  • PDF

Remotely Controllable Smart Door Lock (원격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도어락)

  • Choi, Duk-Kyu;Lee, Sang-Bin;Park, Jin-Sol;Kwon, Yong-Min;Kim, Jun-Bin;Kwon, Min-Ji;Jang, Jae-Min;Jeong, woo-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261-262
    • /
    • 2020
  • 현대에 흔히 쓰이는 도어락은 안전과 보안등의 목적과 편리함을 목적에 두고 있다. 실제로 그전에 쓰던 열쇠보다 더 편리하고 분실염려도 없고 복제키 등으로 인한 사건, 사고로 인한 범죄율이 줄어들었다. 도어락은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방식이고 이 과정에서 도어락에 지문이나 표시가 남으며 비밀번호가 주위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두이노로 라즈베리파이와 앱을 무선 통신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도어락'을 고안했다. 아두이노 와이파이 모듈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도어락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라즈베리파이 카메라 모듈과 초음파 센서를 통해 도어락에 접근하는 사람을 감지하고 확인할 수 있다. 이 기능으로 범죄를 예방할 수 있으며 자녀들의 귀가 여부도 확인할 수 있고 문을 열어줘야 할 상황에 비밀번호 노출없이 문을 열어줄 수 있다.

  • PDF

The Proposal and Implementation of New Private Parcel Locker with Automatic Transmission Function of Short Message Service by Smartphone Application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자동 발송 기능을 가진 새로운 무인 택배함 제안 및 구현)

  • Seo, Jong-Beom;Kim, Dong-Hoi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8 no.1
    • /
    • pp.101-108
    • /
    • 2017
  • In existing public parcel locker, if there is not an empty storage box, it is not used. In existing private parcel locker, because it is a lock-based locker, there is strong weak point in security. To prevent these drawbacks, the proposed private parcel locker has a menu-driven remote control application which is operated on smartphone. The lock release and the security number change by the security number which is stored in the Electrically erasable read-only memory, are possible. As a result, the proposed method has better advantages than the existing methods in terms of unnecessariness of empty storage box check and security by the security number accumulation function and the automatic SMS transmission representing parcel locker operation result.

A Study on Domestic Password Reuse Reasoning by Analysing Four-digit Passcodes in the Second Survey (네 자리 숫자 비밀번호 2차 조사 자료에 의한 국내 패스워드 재사용 추론 연구)

  • Moon, Suk Kyung
    • Smart Media Journal
    • /
    • v.9 no.4
    • /
    • pp.52-59
    • /
    • 2020
  • This second survey, which collected 2392 disclosing grades data for 2012~ 2017, nearly twice the first survey, was conducted to supplement the result of the first survey on the reuse of 4-digit passcodes(PCs) data. In addition of second survey, we found that the more number of used PCs, the higher reuse rate, up to 4 numbers of PCs were used for reusing and there may be personal differences even on the single site. The results of this paper that were not available in the first survey were close to the those of foreign research on the reuse of passwords using a mixture of numbers, letters and special characters. This second survey provided an inference that an opportunity to indirectly approach the domestic situation of re-using password, where data collection is impossible and that domestic regulation such as periodic change of password may increase the re-using password.

Exploit Tool Implementation for Secure USB Drive: Based on the Password Authentication of Product F (보안 USB 취약점 익스플로잇 도구 개발: F 제품 비밀번호 인증을 기반으로)

  • Suwan Go;Seunghee Kwak;Junkwon Lee;Jaehyuk Lee;Kyungroul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176-177
    • /
    • 2023
  • 최근 USB 저장장치의 데이터 노출 및 탈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안 USB 저장장치가 등장하였으나,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보안기술을 적용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인증 우회나 비밀번호 노출과 같은 취약점으로 인하여, 보안 USB에 저장된 중요한 자료나 민감한 정보가 노출되는 문제점이 지속해서 발견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보안 USB의 취약점 연구도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지만, 보안 USB 취약점을 분석하는 것은 수동적이고,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취약점을 자동으로 진단하고 분석하는 도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동화된 취약점진단 및 분석 도구를 제작하기 위하여, F 제품을 대상으로, 해당 제품에서 제공하는 비밀번호인증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분석하고 실증하며, 그 결과를 기반으로 최종적으로는 보안 USB 취약점 익스플로잇 도구 프로토타입을 개발한다.

A Digital Door Lock System Using Time- Synchronous One Time Password (시간 동기 방식의 OTP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 Hwang, Hyung-Jin;Kim, Kweon-Yang;Ha, Il-Ky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5
    • /
    • pp.1027-1034
    • /
    • 2017
  • Recently, OTP (One-time-Password) log-in methods have been used in many areas to prevent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enhance security. The OTP method is primarily used for security of bank personal account, this is one of the sophisticated security ways in which one time password is generated and checked to enhance security. Digital door locks frequently used in everyday life require convenience and safety simultaneously. Meanwhile, related technologies for digital door locks are evolving, but methods for enhancement of security are still unsatisfactory. Generally, the digital door lock using password input type has been most commonly used and especially it provides more convenience, but it has some problems such as password exposure and password obliv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and implement the OTP-based digital door lock system with enhanced security and convenience features but without the risk of password exposure and oblivion.

일본의 영업비밀제도 고찰 (5)

  • 황의창
    • 발명특허
    • /
    • v.24 no.4 s.277
    • /
    • pp.34-36
    • /
    • 1999
  • 지난호에 이어 이번호에서는 일본의 영업비밀 침해행위의 유형 마지막편 '부정공개자로부터의 전득유형'과 '부정공개행위에 관계되는 사후적 악의자의 유형'에 대해서 설명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