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맥락 문제

Search Result 10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trategic Action Plan for Construction Knowledge Management (건설 지식의 전략적 계획과 활용)

  • Jung, Young-Soo;Kang, Seung-Hee;Lee, Kyoo-Hy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6 no.5 s.27
    • /
    • pp.166-17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framework for construction knowledge management. Three variables of proposed framework includes knowledge class, strategic business function, and engineering data form. Several different techniques for evaluating the variables are developed in order to develop a strategic action plan for engineering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The proposed framework for an action plan will contribute to develop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related to strategic engineering functions for construction companies.

Proposing a Korean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 tool using paraphrasing in learning (의역학습법을 사용한 한국어 교수법 및 평가도구 제안)

  • Kwon, Yonghae;Choi, Jungyoon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
    • v.28 no.2
    • /
    • pp.265-289
    • /
    • 2017
  • 외국어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 해당 외국어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평가한다는 것은 상당히 큰 중요성을 가진다. 교실에서 학습자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능력을 통해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함양하고 평가하기 위해 어떠한 연습문제나 시험 혹은 평가방법을 사용하느냐 하는 것은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왜냐하면, 보통 학습자들은 교수자가 무엇을 가르치고 기대하며 평가하느냐에 따라 자신들의 학습방법을 맞춰 나가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보다 적극적인 학습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유연성 있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법을 고양시키며 다양한 언어능력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효과적인 외국어 학습법의 하나로 알려진 paraphrasing을 학습에 활용하고자 한다. 특히 paraphrasing은 일상생활 속에서도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글 바꿔 쓰기 혹은 말 바꿔 말하기로 활용되기도 하나, 본 소논문에서는 paraphrasing이 학습을 목적으로 하는 학습현장에서 활용되었다는 것을 감안하여 의역을 통한 학습 혹은 의역학습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실제로 paraphrasing은 언어 및 외국어 학습자들에게 상당히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에 비해 실제로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사용한 연구들은 거의 찾아 볼 수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의역학습법을 학습현장에서 도입했을 때 경험한 여러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실질적으로 교실에서 사용된 예시들을 소개하고,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수자들과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paraphrasing을 사용한 새로운 한국어 교수방법과 평가 도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paraphrasing이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수자들과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언어학습 도구로서 실질적으로 교육현장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A Study on Dilemma in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and Solution Policy for Adolescent (청소년 인터넷중독 예방 및 해소 정책의 딜레마 연구)

  • Kim, Ju-K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6
    • /
    • pp.23-34
    • /
    • 2014
  • The objective for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origin of the outbreak of a policy dilemma in the government's pursuance of policy aimed at tackling internet addiction among teenagers, as well as analyzing responsive strategy. Therefore, within this research and as the model of the dilemma being the analytical frame, the aspect of the dilemma has been analyzed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contexts, conditions, policy values, alternatives, policy actors and policy decision makers. The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ch and every dilemma of 'transformation of context and condition', 'policy value and alternatives', 'policy actors' and 'policy decision makers' in processes of policy in preventing and resolving adolescent internet addiction, it acted as a decisive cause in forming the general dilemma of the policy. Second, the government's strategy in policy response within the policy dilemma conditions turned out to be a duplication of policy, occurrence of contradictions, typical response strategy and cyclical choices. Given these factor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have shown up as a result. First, as the problems in duplication of policy and contradictions occurred within a single policy, the government responded to this dilemma in a typical way, which brought about an even more serious dilemma. Second, the government put in effort to re-regulate two values (protection of adolescents and promotion of the video game industry), which are included in the response policy of adolescent Internet addiction. As a result, the policy dilemma has weakened with respect to the past. However, it has not solved the fundamental problems. This research, taking the results as a background, strive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self-consistent groundwork, which combines policy values and vision for the government to pursue effective responsive policy on adolescent internet addiction, which is becoming more and more severe in the information society in which we live.

The Effect of Imagined Contact on Attraction to Unattractive Women (상상 접촉이 이성에 대한 호감 및 매력 지각에 미치는 영향)

  • Yong Hoe Heo;Sean S. Kim;Sun W. Park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22 no.2
    • /
    • pp.203-222
    • /
    • 2016
  • Previous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imagined contact is useful to reducing prejudice against minorities (e.g. Turner & Crisp, 2010).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whether imagined contact increases attraction to physically unattractive women, and whether this effect is moderated by perceiver's physical attractiveness and appearance orientat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Single male participants (n = 98) responded to items assessing their physical attractiveness and appearance orientation, and then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conditions. In the imagined contact condition, participants were told to imagine communicating with a physically unattractive woman and come up with some interesting things about her. In the control condition, participants were told to simply imagine a physically unattractive woman. Next, participants saw a picture of a physically unattractive woman and rated her likeability, perceived attractiveness, and willingness to ask her out, which were averaged to form the composite measure of attraction. We found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imagined contact, as expected. This main effect was moderated by appearance orientation, but not by perceivers' physical attractiveness. The effect of imagined contact was significant among those low in appearance orientation, but not among those high in appearance orientation.

  • PDF

상품에 대한 공급자 검색 문제 해결하기 위한 지능형 상품 에이전트 개발

  • Chae, Sang-Yong;Kim, Gyeong-Pil;Kim, U-Ju;Kim, Cha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475-480
    • /
    • 2005
  •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수 많은 웹 페이지들에는 정형화되지 않은 각종 정보들이 이종의 형태로 산재되어 있다. 현재의 검색 기술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는 것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비효율적인 방법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 및 추출해내어 정형화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전자상거래의 폭발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전자상거래 표준 활용 및 적용이 미비하여 e- Procurement, e-Marketplace, on-Line Shopping Mall 등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 정보를 손쉽게 획득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공급자에게는 보다 많은 매출의 기회를 구매자에게는 보다 좋은 자재 및 상품을 저렴한 가격에 소싱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지능형 상품 에이전트는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특정 상품에 대한 공급자 검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스템 내부 정보의 확장 및 지식화 뿐만 아니라 웹 상의 다양한 상품 정보를 자동적으로 수집 및 가공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 사용한 기술은 우선 database 의 schema 를 읽어 들일 수 있는 DB schema reader, 인터넷 웹 페이지(웹문서)를 방문해서 다양한 정보들의 URL을 수집하는 일을 하는 Meta Search Engine 과 Focused Crawler, 그리고 다른 형태의 데이터 구조를 특정 목적에 따라 표준화된 형태로 바꾸는 Wrapper가 있다. 이러한 기술들을 연동하여 필요한 정보들을 추출 공급자 검색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정보추출은 사용자의 관심사에 적합한 문서들로부터 어떤 구체적인 사실이나 관계를 정확히 추출하는 작업을 가리킨다.앞으로 e-메일, 매신저, 전자결재, 지식관리시스템,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기반 구조 역할을 할 수 있다. 현재 오픈웨어에 적용하기 위한 P2P 기반의 지능형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에 관한 연구와 X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RIA (Rich Internet Application) 기반 웹인터페이스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간에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 유아의 아버지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간의 상관에서는 아버지 양육태도의 성취-비성취 요인에서와 창의성제목의 추상성요인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의성이 높은 아동의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일반 유아의 아버지와 보다 더 애정적이며 자율성이 높지만 창의성이 높은 아동의 집단내에서 창의성에 특별한 영향을 더 미치는 아버지의 양육방식은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 일반 유아의 경우 아버지의 성취지향성이 낮을 때 자녀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자녀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양육차원은 애정성이나 비성취지향성으로 나타나고 있어 정서적인 측면의 지원인 것으로 밝혀졌다.징에서 나타나는 AD-SR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자주 나타났다. 반성적 탐구 척도 두 그룹을 비교 했을 때 CON 상호작용의 특징이 낮게 나타나는 N그룹이 양적으로 그리고 내용적으로 더 의미 있는 반성적 탐구를 했다용을 지원하는 홈페이지를 만들어 자료 제공 사이트에 대한 메타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원하는 실시간 자료를 검색하여 찾을 수 있고 홈페이지를 방분했을 때 이해하기 어려운 그래프나 각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자료들에 대한 처리 방법을 도움말로 제공받을 수 있게 했다. 실시간 자료들을 이용한 학습은 학생들의 학습 의욕과 탐구 능력을 향상시켰으

  • PDF

A Relational Geography of Consumption and Ethical Geography Education (소비의 관계적 지리와 윤리적 지리교육)

  • Kim, Byungye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0 no.2
    • /
    • pp.239-25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thical geography education, based on the 'relational turn' of understanding of human/non-humans and place in the context of the student's daily consumption. To do this, first and foremost, due to the de-localization of product networks that students consume, it has been discussed the situation that the ethics of responsibility and care is reduced. Then, this paper suggests an understanding of place and human/non-humans in a relational view, as a basis for the student's ability to look at matters of consumption and ethics through the viewpoint of relational ethics of responsibility and care. Finally, this research examined relation of commodity consumption, relational geographies and ethics of responsibility and care through 'mobile phone connection'. It is argued in the paper that the role of ethical geography education lies also in allowing students to feel connected to various humans/non-humans as a absent presence in his own life and to acquire cognitive and practical skills to provide more responsibility and care for their socio-ecological environment, thus making a better world.

  • PDF

The way to achieve Universal Health Coverage: Focusing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of Health Care Sector in Vietnam (보편적 건강보장을 향한 노정 : 베트남 보건의료 부문의 역사·문화적 맥락을 중심으로)

  • BEAK, Yong Hun
    • The Southeast Asian review
    • /
    • v.28 no.1
    • /
    • pp.173-218
    • /
    • 2018
  • This study focuses on the healthcare sector in Vietnam which is promoting universal health insurance for the achievement of Universal Health Coverage (UHC) under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form process of the health care system and the law on health insurance through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and its impli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ment. Based on the three dimensions of UHC - extension of protection for population, provision of various medical services, and financial protection, the current status of the Vietnam healthcare sector is summarized respectively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vised Health Insurance law which came into effect in 2015, the mandatory health insurance premiums are calculated based on household units. Second, there is a medical network that can provide preventive and healthcare services centered on primary health care facilities, for example commune health stations (trạm y $t{\hat{e}}$ $X{\tilde{a}}$). Third, out-of-pocket expenditure is still a large proportion although public spending has increased and private spending has decreased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health insurance law and various schemes. Vietnam is currently striving towards a universal health care system. The development of institutions and systems should be designed in a way that is appropriate for the members of the society rather than efficiency. This article findings shed light on the role of social values, family culture, and informal institutions.

우리나라 해외직접투자(海外直接投資)의 구조변화(構造變化)와 요인분석(要因分析)

  • Kim, Seung-Jeo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9 no.1
    • /
    • pp.151-194
    • /
    • 1997
  • 본고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제기한다. 해외직접투자와 관련한 우려 중의 하나가 수출이 잘되고 있는 부문에서 해외투자가 증가하여 국내의 수출기반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것인데, 이를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 것인가? 이 문제에 대한 접근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수출입(輸出入) 및 해외직접투자(海外直接投資)의 구조변화(構造變化)에 관한 분석을 시도하고 해외직접투자의 요인(要因)을 추론하였다. 근년에 해외직접투자가 급증하면서 해외직접투자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산업공동화를 우려하는 견해도 대두되고 있다. 특히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을 진출(進出)이 아닌 탈출(脫出)로 인식하기도 한다. 고임금, 고금리, 고지가, 고물류비 등 국내의 고비용 구조가 우리 기업을 해외로 몰아내고 있다는 것이다. 본고는 해외투자에 관한 이러한 시각이 우리 기업의 해외투자가 기업고유(企業固有)의 자산(資産) 또는 경쟁우위(競爭優位)를 활용 강화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측면을 간과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본고는 다음과 같은 점을 강조한다. 우선 해외투자는 경쟁우위가 증가하는 부문(본고에서는 수출비중이 커지는 부문)에서 오히려 더 자주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는 절충적 패러다임에서의 소유권우위적 요소가 해외투자의 요인 및 양상을 설명하는 데 중요함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업종인 조립금속 기계장비부문에서의 해외투자 증가도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아주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립금속 기계장비부문의 해외투자 내용을 살펴보면 주로 보급률이 높은 중저급 성숙기제품 중심으로 해외투자가 이루어지고 고급제품은 주로 국내에서 생산되거나 선진기술습득을 위해 선진국에서 생산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주요수출업종(主要輸出業種)에서의 해외투자(海外投資)는 오히려 당연하고 내용면에서도 국내경제(國內經濟)의 구조고도화(構造高度化)를 저해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고는 향후 정책이 해외직접투자가 국내산업구조(國內産業構造)의 질적(質的) 고도화(高度化)에 효과적(效果的)으로 기여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이를 위해 국내(國內) 기술기반(技術基盤)의 강화(强化), 고급인력(高級人力) 개발(開發) 등을 제안한다. 해외직접투자의 증가가 국내 고부가 직종의 증가로 이어지고 이것이 저부가 직종의 감소를 상회하도록 해야 하고, 이러한 정책이 실패하면 국내의 고용감소는 불가피하며 고용감소를 우려하여 해외직접투자를 인위적으로 규제하는 것은 고용사정을 더욱 악화시킬 뿐임을 강조한다.

  • PDF

(CyOz)-SiHx 전구체로 중착된 저유전상수 유동박막의 산소 분압에 따른 특성 연구

  • Lee, Chae-Min;O, Hyo-Jin;Kim, Hun-Bae;Park, Ji-Su;Park, Dae-Won;Jeong, Dong-Geun;Kim, Dae-Gyeong;Chae, Hui-Y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344-344
    • /
    • 2013
  • 칩의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RC (Resistance, Capacitance) 지연, 전력소비증가 및 신호잡음 등이 문제가 되어왔다. RC지연 문제는 배선에 알루미늄 보다 비저항이 낮은 구리를 사용하고 절연막으로 유전상수가 낮은 물질을 사용하여 개선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점차 저유전상수 박막의 필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저 유전상수 값을 가지는 물질을 개발 혹은, UV나 플라즈마 그리고 열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 저유전박막은 HDP-CVD (High Densit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시스템에서 (CyOz)-SiHx와 O2의 비율을 각각 변화시키면서 증착 되었다. (CyOz)-SiHx와 O2의 비율은 60/150, 60/180, 60/210, 60/240로 증가하면서 증착하였다. 그리고 surface profilometer을 이용하여 박막의 증착율을 측정하고 LCR meter를 이용하여 정전용량을 측정하여 유전상수 값을 얻었다. 박막의 화학적 조성과 구조는 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로 측정하였다. 박막의 유동 특성은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이미지로 살펴보았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dia Information Literacy Concept and Educational Contents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개념과 교육내용 개발)

  • Park, Juhyeon;Kang, Bong-suk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1 no.3
    • /
    • pp.223-25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media information literacy and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literature analysis, interviews with field experts, and surveys with teacher librarians were conducted. The field experts recognized the media as a tool to use information and recognized information problem-solving skill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media functions, case activities, and affective domain as the areas of media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The teacher-librarians thought that information and media literacy which include its competency and educational content are more important than the digital literac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cept of media information literacy was defined a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ncluding the concepts of literacy, media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In addition, educational contents of media information literacy were developed so that 'participation in democratic society', 'classification of media tools and contents', 'basic human rights', 'skills', 'digital tool manipulation' and 'information problem solving process' can be combined and applied in con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