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만증

검색결과 374건 처리시간 0.025초

흑생강(Kaempferia parviflora)의 항응고 및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Anti-coagulation and Anti-platelet Aggregation Activities of Black Ginger (Kaempferia parviflora))

  • 이만효;성화정;권정숙;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9호
    • /
    • pp.1068-1075
    • /
    • 2018
  • 흑생강은 생강과 초본과 뿌리식물로 태국 및 라오스에서는 크라차이담으로 불리며, 뿌리는 향신료와 차로 이용되어 왔다. 말린 뿌리는 위장장애, 통풍, 이질, 알러지 치료 및 강장용으로 전통적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항비만, 항산화, 항염증, 혈전 용해 활성 등의 다양한 유용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흑생강의 혈액순환 개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흑생강 지하부의 ethanol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을 조제하고 각각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인 hexane 분획물, ethylacetate (EA) 분획물, butanol 분획물 및 물 잔류물을 조제하여 각각의 성분을 분석하였고, 혈전 생성과 관련된 항응고 활성,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및 적혈구 용혈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ethanol 추출물의 EA 분획물 5 mg/ml 농도에서 TT, PT, aPTT를 각각 1.22, 1.49 및 15배 이상 연장시켜 강력한 항응고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ethanol 및 열수 추출물의 EA 분획물 모두에서 동량의 아스피린보다 강력한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EA 분획물들은 0.5 mg/ml 농도까지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흑생강의 혈전 생성 억제 활성에 대한 최초의 보고이며, 흑생강의 EA 분획물이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 없이 강력한 항응고 및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신규의 항혈전제로 이용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비쑥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 분화 및 MAPK 신호 전달 경로에 미치는 영향 (Artemisia scoparia Inhibits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by Downregulating the MAPK Pathway)

  • 오정환;파티 카라데니즈;서영완;공창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9호
    • /
    • pp.999-1006
    • /
    • 2018
  • 비쑥(Atermisia scoparia)은 국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풀로서 유라시아 지역 분포하며, 염생습지에 자생하는 염생식물의 일종이다. 비쑥은 민간요법에서 이뇨제, 소염제, 간염치료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비쑥에서 분리한 플라보노이드, 쿠마린 화합물의 항산화, 항염증 등의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쑥 추출물이 3T3-L1 지방전구세포 모델에서 지방세포 내에서의 중성지방 생성 및 지방세포 분화조절 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지방전구세포 3T3-L1을 지방세포로 분화하여 Oil Red O 염색법으로 지방세포 분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 비쑥 추출물 처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세포 형성이 억제되었다. 또한 지방세포 분화 관련 인자인 $PPAR{\gamma}$, $C/EBP{\alpha}$, SREBP-1c의 발현을 mRNA 및 단백질 수준에서 확인한 결과, 비쑥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지방세포분화 인자 발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세포 분화 및 증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MAPK 신호전달 경로를 확인한 결과 비쑥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p38, ERK, JNK의 인산화가 억제되었다. 이를 통해 비쑥 추출물은 MAPK 신호전달 경로를 통한 지방세포 분화 인자 조절을 통해 지방 생성과 합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부터 비쑥 추출물의 MAPK 신호전달 경로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건강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기대된다.

적소두증유약침(赤小豆蒸溜藥鍼)이 비만(肥滿)쥐의 지질구성(脂質構成), 간장기능(肝臟機能), 항산화효과(抗酸化效果) 및 분자생물학적(分子生物學的) 특성(特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distilled Phaseoli Semen rubra Herbal-Acupuncture on lipid composition, liver function, antioxidant capacity and molecular biological aspects in obese rats induced high fat diet)

  • 이준무;지준환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7-82
    • /
    • 2005
  • Effects of Phaseoli Semen rubra Herbal-acupuncture at zusanli(ST-36), Quchi(LI-11) and Sanyinjiao(Sp-6) on lipid composition, liver function, oxidative capacity and molecular biological aspects were investigate in high fat diet induced obese rats. Forty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about 400g were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body weight and raised four weeks with control, zusanli(ST-36), Quchi(LI-11) and Sanyinjiao(Sp-6) Herbal-acupuncture groups. 1. Plasma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showed a low values in the (ST-36) and (LI-11) Herbal-acupuncture groups and HDL-cholesterol showed a high values in the (ST-36) Herbal-acupuncture groups. 2. Plasma triglyceride and glucose showed a low values in the (ST-36) and (LI-11) Herbal-acupuncture groups. 3. The contents of plasma free fatty acids showed a tendence to decrease in the Herbal-acupuncture groups, however in the Herbal-acupuncture groups, the values showed no significantly different. 4. The activities of AST and ALT showed no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treatment groups. 5. The contents of plasma ${\beta}-lipoprotein$ and free fatty acid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the Herbal-acupuncture group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group. In the Herbal-acupuncture groups, the values of (ST-36) and (LI-11) Herbal-acupuncture groups showed a low in the acupuncture groups. 6. Liver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showed a low values in the (ST-36) and (LI-11) Herbal-acupuncture groups. 7. Contents of plasma TBARS showed a low values in the (ST-36) and (LI-11) Herbal-acupuncture groups, however contents of liver TBARS showed no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 groups. 8. Values of liver glutathione peroxidase and catalase activity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the (ST-36) and (LI-11) Herbal­acupuncture groups. Values of liver super oxide dismutase activity showed a high in the (ST-36) Herbal-acupuncture groups compared to those of other groups. 9. Expression of apo-B mRNA in liver cell showed a low in (ST-36) Herbal-acupuncture groups, however expression of apo-E mRNA showed a high in Herbal-acupuncture groups and $TNF-{\alpha}$ mRNA in adipose cell showed no different among all the treatment groups. Expression of Leptin mRNA showed a tendance to decrease in (ST-36) Herbal-acupuncture group. 10. Histological character of liver, those of (ST-36) Herbal-acupuncture group showed a good, however other treatment groups showed slight vasodilation and slight fat accumula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haseoli Semen rubra Herbal-acupuncture at (ST-36) and (LI-22) suppressed adipose tissue mass and lipid peroxidation and increased antioxidant system.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 사료원으로써 대두박의 이용 효과 I. 심장 (Effects of Dietary Soybean Meal in Rainbow Trout(Oncorhynchus mykiss) I. Growth)

  • 김병기;전중균;허형택;조재윤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65-278
    • /
    • 1996
  • 사료 단백질원으로써 대두박의 이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무지개송어를 대상으로 160일 동안 장기간 사육하면서 성장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 사료로는 단백질원으로 어분을 $64.5\%$ 사용한 대조구(사료 1번) 및 제품 탈지 대두박을 $10\~70\%$까지 등간격으로 늘린 사료(사료 $2\~7$번)를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제조 사료의 단백질과 지질 함량은 $44\%$$8\~9\%$ 정도였고, 총 에너지 함량은 $4.66\~4.78$ kcal/g의 수준이었다. 초기 60일간은 대두박 $46\%$ 첨가구까지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중량, 사료효율, 단백질효율 및 일일성장율 등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그 이후에는 성장율이 감소하여 실험 종료시 대두박 함량 $22\%$ 이상의 공급구는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성장이 낮았다(p<0.05). 한편. 비만도(fatness)도 성장 결과와 비슷하여 대두박 함량과 사육 기간이 늘어나면서 점차 감소하였고, 간중량비(HSI)는 대두박 함량 $34\%$ 이상의 공급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아 대두박의 탄수화물 이용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무지개송어를 장기간(160일간) 사육시 대두박을 $22\%$ 까지 사용하더라도 성장에는 상품 사료에 비해 아무런 문제가 없었고, 더욱이 $34\%$ 첨가하면 $0\~22\%$ 공급구에 비해서 성장은 약 $80.2\~91.1\%$ 정도로 떨어지지만 특별한 역효과는 없었다.

  • PDF

고욤(Diospyros lotus)잎 유래 Ethyl Acetate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가려움 활성 (Antioxidant and Antipruritic Activities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Diospyros lotus Leaves)

  • 전인화;강현주;김상준;정승일;이현서;장선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635-1641
    • /
    • 2014
  • 본 연구는 고욤잎 유래 EA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가려움 활성을 조사하였다. EA 분획물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수용성 및 MeOH 추출물보다 매우 우수하였을 뿐만 아니라 합성 항산화제인 BHT보다 현저히 높았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 활성도 수용성과 MeOH 추출물뿐만 아니라 Trolox보다 현저히 높았다. 본 연구에 사용된 EA 분획물과 수용성 및 MeOH 추출물은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었다. 또한 EA 분획물은 농도에 의존적으로 활성화된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방출 억제와 TNF-${\alpha}$ 생성 억제 효과가 있었으며, 같은 농도에서 수용성 및 MeOH 추출물보다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더욱이 EA 분획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compound 48/80으로 유도된 가려움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활성이 있었고, 같은 농도에서 항가려움 약제로 알려진 azelastine보다는 그 효과가 낮았지만 수용성 및 MeOH 추출물뿐만 아니라 methysergide보다 우수한 항가려움 효과를 발휘하였다. 앞으로 이러한 항가려움 효과에 대한 EA분획물의 분자적 작용기전을 규명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고욤잎 유래 EA 분획물은 강력한 항산화 및 항가려움 활성을 지닌 우수한 소재라 사료된다.

3T3-L1 전지방세포에서 발효 삼정환의 지방 분화 억제 효과 (Effect of Probiotics-Fermented Samjunghwan on Differentiation in 3T3-L1 Preadipocytes)

  • 송미영;;김호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3T3-L1 전지방세포를 이용하여 발효 삼정환의 지방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삼정환을 5가지 주요 유산균으로 각각 발효시킨 후, Oil Red O 염색법으로 지방세포 분화 억제 여부를 알아보고, 이의 기전을 알기 위해서 지방생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transcription factor 및 지질 조절 효소의 유전자 발현량을 비교하여 보았다. Oil Red O 염색 분석에서는 Lactobacillus plantarum, Enterococcus faecium으로 발효한 삼정환에서 지방구 수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ranscription factor로 $C/EPB{\alpha}$, $PPAR{\gamma}$, UCP-2 및 콜레스테롤 조절과 관련된 효소인 HMG-CoA reductase의 4가지 유전자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는데, 발효시키지 않은 삼정환의 경우 농도가 $100{\mu}L/mL$ 이상일 때 네 가지 항목에서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발효시켰을 때는 유산균의 종류에 따라 효과 억제효과가 있었는데,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한 삼정환이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한 삼정환은 동일 농도의 발효하지 않은 삼정환과 비교했을 때, Oil Red O 실험에서 염색된 지방구 수가 더욱 감소하였으며, $PPAR{\gamma}$, UCP-2, HMG-CoA reductase의 경우 농도가 $200{\mu}L/mL$일 때 각각 35%, 57%, 54%로 5가지 발효 삼정환 중 가장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이에 지방분화 억제 효과를 가진 삼정환을 발효시키면 그 효과가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한 삼정환은 $PPAR{\gamma}$, UCP-2, HMG-CoA reductase의 유전자 발현조절을 통해 지방 분화를 억제시키는 것으로 밝혀져 발효 삼정환은 항비만 혹은 항고지혈증 약물로 개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렛트 복강 비만세포와 화학항원 유도 알레르기 마우스에서 황금과 금은화 추출물의 항가려움 및 항염증 상승효과 (Synergic Anti-Pruri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cutellariae Radix plus Flos Loncerae Extracts in Rat Peritoneal Mast Cell and Chemical Antigen-Induced Mice)

  • 목지예;전인화;김현수;신준호;박용균;장선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3-91
    • /
    • 2013
  • Pruritus is a unpleasant symptom in the skin that provokes the act of or desire to scratch. Mast cells are important effector cells in allergic reactions such as pruritus and inflam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synergic anti-pruri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cutellariae Radix (SB) plus Flos Loncerae (FL) extracts in rat peritoneal mast cells (RPMCs), pruritogen-induced scratching mice and 2,4-dinitrofluorobenzene (DNFB)-induced allergic mic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B, FL and SB plus FL extracts on the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beta}$, and histamine in RPMCs, on the scratching behavior in ICR mice, and skin clinical serverity and inflammatory mediators in DNFB-induced allergic hairless mice. RPMCs stimulated with PMA plus A23187 or compound 48/80 significantly increased TNF-${\alpha}$, IL-$1{\beta}$ or histamine production compared with media control. However, TNF-${\alpha}$ IL-$1{\beta}$ or histamine levels increased by PMA plus A23187 or compound 48/80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SB, FL in a dose-dependent manner. Especially, SB plus FL pretreatment had a synergic inhibitory effects on stimulator-induced cytokines (TNF-${\alpha}$ and IL-$1{\beta}$) and histamine production. Moreover, SB plus FL administration had a synergic inhibitory effects on the scratching behavior induced by pruritogen (compound 48/80, histamine, serotonin, substance P) in ICR mice. Furthermore, SB plus FL administration had a synergic inhibitory effects on skin damage, inflammatory mediators, leukocyte and mast cell infiltration induced by DNFB in hairless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B plus FL administration has a potential use as a medicinal plant for treatment against itching and inflammation-related skin disease.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에서 난소화성전분의 섭취형태가 체중, 혈액지방과 면역능력에 미치는 영향

  • 강남이;김우경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1년도 동계 학술심포지움
    • /
    • pp.124-124
    • /
    • 2001
  • 난소화성전분(resistant starch, RS)는 건강한 사람의 소장에서 흡수되지 않는 전분과 분해된 전분의 산물을 총칭하는데. 대장에서 발효와 미생물성장, 식후 혈당, 변부피, 장통과시간, 식품의 열량가 등에 영향을 미치므로 생리적인 이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와 콜레스테롤을 섭취란 흰쥐에서 제조과정이 다른 RS의 섭취가 저 열량원으로서 체중감소나 혈액내 지방성분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실험동물은 생후 4주된 Sprague-Dawl ey계 수컷 흰쥐로, 지방을 식이 무게의 20%, 콜레스테롤이 식이 무게의 1%로 첨가 된 고지방식이로 6주를 사육시켜 비만과 고콜레스테롤증을 유발시켰다. 고콜레스테롤이 유발된 실험동물은 섭취하는 전분의 형태가 다른 실험식이로 4주간을 더 사육하였고 사육기간이 끝난 실험동물들은 희생하여 생화학적인 실험- 혈액과 간의 총지방양, 중성지방양, 콜레스테롤양을 측정하였고, 면역능력으로 비장세포 증식, 혈장내 IgG, $C_3$양을 측정하였고. 혈장내 leptin 양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체중과 체내 저장지방무게가 난소화성전분 혼합군(RSNE)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장내 지방성분을 보면, 총 지방의 경우 고지방대조군(HC)이 저지방 대조군(LC)에 비래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RS를 섭취하면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저지방을 섭취한 LC군에 비해서 낮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혈장 중성지방은 저지방 즉 고 탄수화물식이를 섭취하는 LC군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고지방을 섭취하는 경우는 실험군에 차이가 없었다. 혈장 총 콜레스테롤은 LC군에 비해 고지방과 콜레스테롤을 섭취하는 HC군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RSNE군에서는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HDL-콜레스테롤에서는 실험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간내 총지방과 콜레스테롤량, 중성지방량은 LC군이 다른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적었으며 고지방섭취군들은 섭취하는 전분의 종류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면역능력을담당하는 체내 기관인 비장세포의 중식능력은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혈장의 Ig G 양은 RSNE군이 유의적으로 높고, $C_3$ 양은 난소화성 전분 추출군(RSEX)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혈장에서의 leptin 농도는 고지방 대조군인 HC군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RSNE군이 LC군과 같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결론으로 난소화성 전분(RS)를 식이무게의 10%로 첨가하는 수준에서 순수한 RS보다는 RS제조과정 중 순수한 RS를 분리하기 전 단계인 RS를 포함한 전분이 체중감소, 체내 저장지방감소, 혈액 내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RS의 섭취는 섭취형태에 따라 저 열량원으로, 혈액 내 지방성분을 낮추는 효과를 가진 기능성 식품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슈퍼자미(SuperC3GHi) 미강 발효물의 생리활성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Rice Bran from Novel Black Colored Rice Cultivar SuperC3GHi)

  • 김동주;최수민;김화영;김중학;류수노;한상준;홍성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20-426
    • /
    • 2011
  • 슈퍼자미(SuperC3GHi) 쌀 품종은 색소 성분인 cyanidine-3-glucoside(C3G)의 함량을 크게 증대시킨 품종이다. 슈퍼자미 벼품종을 활용한 새로운 기능성 소재 및 제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슈퍼자미 벼품종의 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이용하여 항염증, 항알러지, 항암 기능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1. 슈퍼자미 미강 발효물의 항염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ear-edema test를 수행한결과 약 35.6%의 염증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2. 슈퍼자미 미강 발효물의 항알러지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만세포인 RBL-2H3 세포의 hexoamidase 및 histamine 유리 활성을 조사한 결과 슈퍼자미 미강 발효물을 처리하였을 때 각각 약 40% 및 57%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항알러지 활성을 확인하였다. 3. 슈퍼자미 미강 발효물의 항암 활성을 조사한 결과 복수암 모델 및 고형암 모델에서 모두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었고, 혈액중 백혈구의 수치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슈퍼자미 미강 발효물이 항암 활성을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 이상의 결과에서 슈퍼자미 품종의 미강을 버섯 균사체 발효를 통해 얻어진 기능성 소재는 항염, 항알러지, 항암 활성을 통해서 우수한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

노인들의 건강문제와 컴퓨터 게임 요구도의 상관성 분석 (Analysis for the Correlations between health Problems and Computer Game Needs in the Elderly)

  • 임경춘;이윤정;안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475-486
    • /
    • 2009
  • 만성질환 및 비만 관리와 낙상예방 등을 위한 간호중재의 하나로 규칙적인 신체활동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데, 운동게임 등의 기능성 게임을 질병예방 교육과 치료보조, 재활 등에 응용하는 방안은 점차 중요영역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건강문제와 컴퓨터 게임요구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한 횡단적 조사 연구이다. 훈련된 연구보조원들의 면접조사와 전문조사기관의 온라인조사 결과 778명(평균 연령: $61.4\;{\pm}\;5.6$)의 대상자가 참여하였는데, 그 중 68.6%가 남자였다. 분석결과 남성(55.4%), 고졸이하(66.2%), 2명 이하의 가족수(32.5%), 월평균 35만원 이상(40.1%), 경증 우울증(51.7%), 온라인 응답자(68%) 그룹에서 게임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게임을 통해 신체적 제약을 극복하고 싶어했다. 상관성 분석에서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컴퓨터 이용 경험이 있을수록, 컴퓨터/인터넷 활용이 능숙할수록 운동게임이나 기능성 게임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노인그룹을 위한 여가활용 차원에서의 즐거움과 건강증진의 효과를 모두 가져올 수 있는 노인용 기능성 게임이 개발된다면 노인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