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례률

검색결과 382건 처리시간 0.034초

전송률 편중을 완화시키기 위한 TCP 비례 증가 혼잡 제어 (A Proportionally Increasing TCP Congestion Control for Enhancing Throughput Bias)

  • 이종민;차호정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3)
    • /
    • pp.181-183
    • /
    • 2004
  • 본 논문은 TCP에서 사용되는 혼잡 제어 방식의 문제점인 전송 시간에 대한 전송률 편중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비례 증가 혼잡 제어 방식을 제안한다. TCP는 네트워크의 혼잡 상황을 제어하기 위하여 ACK 기반의 혼잡 윈도우 조정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기존 TCP에서 사용되는 혼잡 제어 방식은 그 자체적으로 네트워크의 혼잡 상황을 유도하며, 전송 시간이 다른 두 개의 TCP 연결이 하나의 병목 지점을 공유할 경우, 전송 시간의 차이에 따라 전송률의 편중 현상이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네트워크 혼잡 상황 유발과 전송 시간의 차이에 따른 전송률 편중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송신자 기반의 네트워크 대역폭 측정 방법 및 비례 증가 혼잡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며, 구현 및 실험을 통해 기존 TCP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층별 응답률을 사용한 멱배정 방법의 확장 (Expansion of power allocation using response rate per stratum)

  • 박현아
    • 응용통계연구
    • /
    • 제34권5호
    • /
    • pp.671-683
    • /
    • 2021
  • 멱배정의 전체 효율은 최적배정보다 감소하지만, 층별 표본을 골고루 배정하는 기법이며 조사 현장에서는 제곱근 비례배정으로 많이 사용된다. 그리고 실제조사에서는 무응답을 고려하여 이론적 공식에서 나오는 것보다 더 많은 표본크기를 추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층별 표본크기를 결정함에 있어서 멱배정 방법에 층별 응답률의 정보를 추가하여 배정하는 기법을 연구한다. 제안된 배정기법들을 비례,최적,제곱근 비례 배정과 비교하며 응답률이 추가된 비례, 최적배정과도 비교하는 것을 모의실험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배정방법들의 장단점을 살펴본다.

로지스틱함수모형과 비례이동평균모형에 의한 학생 수 추계와 분석 (Projection of the student number by logistic function and proportional moving average model)

  • 송필준;김종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3호
    • /
    • pp.503-51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진급률 혹은 학년진급률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비례법을 사용한 이동평균법에 의한 알고리즘을 제시하는데 있다. 학년진급률에 따른 학생 수 추계방법으로, 이동평균법과 비례이동평균법에 의한 추정방법을 제시하고, 2027년까지의 서울시의 고3학생 수를 추정하여, 한국교육개발원의 2005년, 2006년, 2007년의 로지스틱함수 추정에 의한 고3학생 수 예측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출생아수의 분포와 비교하여 볼 때, 본 연구에서 제시된 비례이동평균법과 이동평균법의 예측결과가 한국교육개발원의 2005년, 2006년, 2007년의 고3학생 수의 예측결과보다 더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대구·경북지역의 고등학교 3학년 학생수 추계 (Projections of the high-school graduate in Daegu·Gyoungbook)

  • 김종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4호
    • /
    • pp.907-914
    • /
    • 2015
  • 저출산으로 인한 학생수의 감소는 교육 행정 정책에 있어서 매우 많은 변화들을 예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32년까지 정확한 학생 (인구) 수를 예측하기 위하여 연령 진급률 혹은 학년 진급률을 이용한 학생 (인구) 수를 추계하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비례법을 이용한 이동평균비례법과 가중비례이동평균법이 인구추계의 방법으로 제시되었다. 제시된 방법들의 측정오차들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들을 모의실험을 통하여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가중비례이동평균법과 이동평균비례법의 예측결과들은 낮게 추정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 보완하여 대구 경북 지역의 고등학교 3학년 학생수를 추계하였다.

초등학생들의 비례 추론 전략 분석 -6학년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Proportional Reaso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ed on Sixth Graders -)

  • 정유경;정영옥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57-48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다양한 비례 추론 과제를 해결할 때 사용하는 비례 추론 전략과 정답률을 분석하여 비례 추론 능력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례식을 학습한 6학년 173명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비례 추론 과제는 대수 기하, 양적 질적 추론, 미지값 비교 과제로 구분하고, 선행 연구에서 사용된 비례 추론 문항을 참조하여 다양한 과제 유형을 고려한 문항으로 검사지를 구성하였다. 과제 유형별로 정답률을 살펴보면, 기하 과제보다는 대수 과제, 질적 추론 과제보다는 양적 추론 과제, 비교 과제보다는 미지값 과제의 정답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이 사용한 비례 추론 전략을 살펴보면 비례식을 학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형식적 전략보다는 인수 전략, 단위 비율 전략과 같은 비형식적 전략을 사용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비례 추론 능력 지도를 위한 시사점으로 형식적 전략의 약화와 비형식적 전략의 명시적 지도, 질적 추론의 강화 및 질적 양적 추론의 결합, 다양한 과제 유형의 균형있는 취급 등을 제안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교과서 비례 문제 해결과 비례 추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lving Proportion Problems of Mathematics Textbooks and Proportional Reasoning in 6th Graders)

  • 권미숙;김남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11-22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7차 교육과정에서 6학년 때 도입되는 교과서의 비례 문제들이 학생들의 비례 추론 능력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교과서의 비례 문제 해결 실태를 파악하고, 수준별 비례 추론 능력을 하위영역으로 나누어 교과서 비례 문제 해결 능력에 따라 하위영역별로 비례추론 능력이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과서의 비례 문제에서 정답률이 높은 문제들은 설명에서 비례식을 이용해서 풀 수 있도록 제시되어 있었으며, 비례식을 세웠을 때 두 비 사이의 관계가 정수비로 계산이 간단하였다. 비례 추론 하위 영역 중 비감각 영역의 문제 해결을 잘하였고, 양과 변화 영역에 대한 부분의 능력은 가장 뒤떨어졌다. 교과서의 비례 문제 해결 능력과 비례 추론의 관계에 대해서는 교과서의 비례 문제 해결이 우수한 학생일수록 비례 추론 능력이 우수였다. 교과서 비례문제의 해결 결과가 비례추론 능력을 예언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교과서 비례문제 수준에 따라서 비례 추론 문제 해결의 수준차를 알아본 결과, 차이가 많이 나지 않는 문제는 꼭 비와 비율 관련 단원이 아니라도 수학 교과서에서 다양하게 접할 수 있는 문제였고, 수준별 차이가 많이 나는 문제는 그동안 교과서에서 쉽게 접해보지 못한 유형으로 단순히 비례식을 이용해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이었다. 따라서, 비례추론 하위 영역별로 모든 영역에 대하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과서에 비례식 외에 다양한 상황과 내용의 비례문제를 포함하여 지도하여야 할 것이다.

  • PDF

Zircaloy-4의 크립거동

  • 김영석;정연호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3)
    • /
    • pp.277-283
    • /
    • 1996
  • 최종 pilgering 단계에서의 가공량이 서로 다른 Zircaloy-4 피복관을 대상으로 350-50$0^{\circ}C$, 원주응력 80-150 N/$\textrm{mm}^2$의 이축응력 조건에서 크립시험이 수행되었다. Zircaloy-4 피복관의 크립변형률 및 크립변형량은 최종 pilgering 단계에서의 가공량에 비례하여 커졌다. 이를 토대로 크립모델 제시되었으며 제시된 모델은 Zircaloy-4 피복관의 크립거동을 매우 잘 모사하였다. Zircaloy-4 피복관의 크립활성화 에너지는 $\alpha$-zirconium에서의 자기확산의 활성화에너지 값과 거의 동일한 60 Lcal/mole 이므로, 크립지배기구는 전위상승이다. 따라서 가공량에 따라 크립변형률 및 크립변형률의 증대는 가공량에 따른 기지상내의 점결함의 증가 때문으로 사료된다.

  • PDF

선로 궤도틀림에 따른 레일 변형률과 진동 변화 동역학 시뮬레이션 (Dynamic Simulation of Rail Strain and Vibration Changes According to Track Irregularity)

  • 김주원;김용환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127-137
    • /
    • 2021
  • 철도시설물 안전 확보를 위한 동하중 관리 및 철도차량 유지보수 효율화를 위한 차륜 상태진단을 위해 레일의 변형률과 진동 값을 이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동하중은 레일의 변형률과 철도차량 하중이 비례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측정이 이루어지며 차륜 상태는 결함의 크기와 레일 접촉진동의 크기가 비례한다는 가정을 통해 진단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차량 속도, 차륜 하중, 기후, 선로 상태와 같이 레일의 변형률과 진동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소를 반영하지 않으면 측정 조건에 따라 많은 편차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레일의 변형률과 진동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소 중 선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 지표인 궤도틀림이 레일의 변형률과 진동에 미치는 영향을 동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살펴보고 측정 편차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측정지점 추가 확보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였다.

작업자 및 회사의 이익이 최대가 되는 생산속도 분석 (Analysis of Production speed of workers with maximum profit of workers and cooperators)

  • 이상복;이재현;성락근;이승호;이형규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0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35
    • /
    • 2000
  • 이 논문에선 작업자와 회사 모두 이익이 최대가 되게 작업자의 생산속도를 정하는 문제를 연구하였다. 작업자의 이익은 생산량에 비례하고, 불량률에 반비례한다. 회사의 이익은 작업자의 생산량에 비례하고 작업자의 불량품만큼 감소한다. 또한 회사에서는 검사 등에 비용이 들어간다. 이 논문에서는 작업자의 이익을 나타내는 함수를 수식으로 모델링하였다. 또한 회사의 이익을 수식으로 표현하였다. 작업자와 회사 모두가 최대 이익을 갖는 경우의 생산속도를 해석적으로 여러 경우로 나누어 해를 구하였다.

  • PDF

경쟁 위험 회귀 모형의 이해와 추정 방법 (Estimation methods and interpretation of competing risk regression models)

  • 김미정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7호
    • /
    • pp.1231-1246
    • /
    • 2016
  • 경쟁위험에 대한 연구 중 주로 쓰이는 방법은 Cause-specific 위험 모형과 subdistribution을 이용한 비례 위험 모형 방법이다. 그 이후에도 많은 모형이 제시되었지만, 추정 방법 면에서 설명력이 부족하거나 알고리즘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어서 잘 활용되고 있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Cause-specific 위험 모형, subdistribution을 이용한 비례 위험 모형과 비교적 최근에 제시된 이항 회귀 모형(direct binomial model), 절대 위험 회귀 모형(absolute risk regression model), Eriksson 등 (2015)의 비례 오즈 모형(proportional odds model)을 소개하고 추정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고자 한다. 각 모형에 대하여 SAS와 R을 이용한 활용 방법을 제시하고, 두 가지 경쟁위험이 존재하는 데이터를 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