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닐온실

Search Result 8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Modelling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Analysis of A Special Sweet-Melon' House in SUNGJU (성주지역 참외전용 온실의 모델개발 및 환경분석)

  • 구건효;송재관;박규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8.10a
    • /
    • pp.28-31
    • /
    • 1998
  • 경북 성주지역은 전국적으로 유명한 참외의 주산지이다. 시설참외 재배 단지 중 성주지역이 차지하는 면적이 약 47%('89)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군내 참외 재배 면적은 고소득 작목으로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인근 선산, 김천, 구미지역에까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용하고 있는 온실은 단동비닐 온실이 85%, 연동비닐 온실은 15%로 거의 대부분이 단동 비닐 온실이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an automatic covering system of thermal tunnels in non-heating plastic film greenhouse (무가온 비닐온실의 터널보온덮개 자동개폐장치 개발)

  • 이기명;박규식;최원환;남상헌;안상화;양희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1999.07a
    • /
    • pp.326-331
    • /
    • 1999
  • 1997년말 현재 우리나라의 시설재배면적은 47,264㏊이며 이 중 85%인 40,000㏊ 정도가 무가온 단동비닐온실이다. 이런 단동온실은 난방을 하지 않고 그림 1과 같이 보온덮개를 사용하는 무가온 재배를 하고 있으며, 온실내에 보온덮개를 덮기 위한 터널을 설치하고 있는데 이 터널의 설치에 사용되는 골조는 강선 또는 FRP재로 길이는 1.8-2.4m이고, 터널폭은 0.9-l.2m 정도로 하고 있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an automatic covering system of thermal tunnels in non-heating plastic film greenhouse

  • 이기명;박규식;남상헌;최원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9.11a
    • /
    • pp.104-108
    • /
    • 1999
  • 1998년말 현재 우리나라의 시설원예 면적은 48,612ha이고 전체의 90.2%인 43,852ha가 단동비닐온실을 비롯한 관행온실이고, 9.8%인 4,760ha만이 자동화 온실이다. 관행의 단동비닐온실은 태양광에 의존하여 무가온으로 재배하고 있으며, 대부분 2중 하우스로 하거나 내부에 터널을 설치하여 보온덮개를 개폐하는 방식의 보온을 위주로 하여 온실의 온도를 관리한다. (중략)

  • PDF

Design for the arch-type plastic panel greenhouse (아치형 경질판 온실 설계도 개발)

  • Kim, Hyun-Hwan;Lee, Si-Young;Jeon, Hee;Nam, Yoon-Il;Kwon, Young-S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8.05a
    • /
    • pp.178-183
    • /
    • 1998
  • 우리나라 원예시설은 환경이 열악한 비닐하우스에서 정부의 원예시설에 대한 지원사업으로 자동화 비닐하우스가 설계되면서 농촌의 풍경을 바꾸어 놓게 되었다. '91년 이후 정부의 지원사업에 힘입어 '96년에 유리온실 면적이 250㏊, 자동화비닐하우스가 3,515㏊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나 경질판온실은 60㏊로 유리온실이나 자동화 비닐하우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급면적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Study on the palstic green houses depending on regional weather conditions (지역기후특성을 고려한 비닐온실에 관한연구)

  • Woo, Byung Kwan;Lee, Sung;Kim, Se Hwan;Kim, Sam Yeol
    • KIEAE Journal
    • /
    • v.9 no.5
    • /
    • pp.39-46
    • /
    • 2009
  • Most Plastic Green Houses in Korea are made according the European weather condition, which lead to have very low solar energy efficiency. Moreover, the function of green houses, as well as the structure of them, has not changed for Korean weather condition. Therefore,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m should adopt the regional weather con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urrent plastic green housesin Korea, and presents an alternative for improving the energy efficiency. The elements of green houses were investigated. When using a partial opaque insulation with a thermal storage body, the difference of indoor air temperature became 20C during daytime, and 5C during night, which will save massive fossil fuels.

Structure and Experimental Results of Automatic Insulation Greenhouse (자동단열온실의 구조 및 운전특성)

  • 이종원;이석건;이현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4.05a
    • /
    • pp.88-91
    • /
    • 1994
  • 최근 국내에서도 시설원예가 급격하게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시설원예가 에너지 소비형의 농경방식이라 지적되고 있는바 에너지절약형 온실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어, 본 실험실에서는 본 연구와 관련하여 비닐하우스의 벽체를 이중으로 하여 이중벽사이에 단열입자를 송풍기의 케이싱내로 직접 통하게하는 직송방식으로 충전ㆍ회수하는 실험을 실시한 바가 있으며, 그 결과 외기온의 평균이 -4.9$^{\circ}C$인 겨울철 야간에 입자를 충전한 이중비닐 하우스의 내부온도는 평균 9.8$^{\circ}C$로 단열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중략)

  • PDF

Development of a Temporary Pole Supporting System to Protect the Plastic Houses from Heavy Snow Damage (비닐하우스 폭설피해 방지용 가지주 장치의 개발)

  • 남상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1.11a
    • /
    • pp.65-70
    • /
    • 2001
  • 우리 나라의 온실 설치 면적은 1999년말 현재 51,200ha에 이르고 있으며 그 중 유리온실이 363ha로 0.7%, 철골 경질판 온실이 125ha로 0.2%이고, 아연도강관을 사용한 비닐하우스가 50,712ha로 99.1%를 차지하고 있다. 파이프 골조의 비닐하우스는 대부분 아치형의 지붕 모양을 하고 있으며, 바람에는 비교적 강하나 적설에 약한 구조이다. 전국적으로 가장 널리 분포하고 있는 직경 25.4mm, 두께 1.5mm의 파이프를 사용한 폭 6m의 단동 온실의 경우 서까래 간격 60~80cm일 때 안전 적설심은 10~14cm 정도에 불과하다(남 등, 2000). (중략)

  • PDF

Analysis on Heat Loss of Single-span Greenhouse Using Small-scaled Wind Tunnel (소형풍동을 이용한 단동 비닐온실의 열손실 분석)

  • Kim, Young Hwa;Kim, Hyung kow;Lee, Tae suk;Oh, Sung sik;Ryou, Young sun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9 no.1
    • /
    • pp.73-79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eat transfer loss of covering materials in a single-span plastic greenhouse under the steady-state wind environment.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following were conducted: (1) design of a small-scaled wind tunnel (SCWT) to analyze heat losses of the greenhouse and its performance; (2) determination of the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OHTC) for the covering materials using a small-scaled greenhouse model. The SCWT consists of the blowing, dispersion, steady flow, reduction and testing areas. Each part of the SCWT was customized and designed to maintain air flow at steady state and to minimize the variances in the SCWT test. In this study, the OHTCs of the covering materials were calculated by separating each with the roof, side wall, front and back of the small-scaled greenhouse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OHTC of the roof increases as wind speed increases but the zones in which the increase rate of the OHTC decreased, were distinguished by wind tunnel wing speed of 2 ms-1. For the side wall, the increase rate of the OHTC was particularly higher in the 0-1 ms-1 zone.

Development of a Control Algorithm for Automatic Ventilation (환기창 자동제어용 제어 알고리즘 개발)

  • 박규식;이기명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6 no.4
    • /
    • pp.242-249
    • /
    • 1997
  • Environmental control operations have been considerably contributed to the reduction of labor cost in both plastic film and glass greenhouses since government supported projects were begun. However, some problems are still remaining on the optimal environmental control and excessive operation due to an inflexible software regulating ventilation gear - reducers. The unadjustable software caused the damage of ventilation system, resulting in heat stresses of crop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ventilation software controlling the vent opening level, opening sequence, based on the wind direction, and control interval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ambient and set- up temperatures. The software included a beeper system alarming urgent cases, while a manager was remote from the greenhouse. A compatible hardware with the software was also developed by using a low-cost diffused DSP controll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