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니어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4초

비니어 세라믹과 지르코니아 세라믹의 Push-Shear 결합강도 (Push-Shear Bond Strength of Veneering Ceramics and Zirconia Ceramic)

  • 안재석;노형록;이정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384-39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원통형 지르코니아 코어에 다섯 종류의 지르코니아 비니어 세라믹을 축성하여 push-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비니어 세라믹의 이축굽힘강도와 지르코니아 글라스 라이너 처리에 따른 전단결합강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르코니아 비니어 세라믹은 piston-on-three-ball test로 이축굽힘강도를 측정하였고, 지르코니아 실린더 코어와 비니어 세라믹은 push-shear test로 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결과값은 이원분산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축굽힘강도는 Cercon ceram kiss (CE)군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전단결합강도는 글라스 처리군과 Triceram(TR)군이 높게 측정 되었으며 Creation ZI(CR)군에서 가장 낮은 값이 측정 되었다. 실험군에서 지르코니아 라이너 처리군이 라이너 처리하지 않는 군보다 전단결합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따라서 지르코니아 라이너 처리는 지르코니아와 비니어 세라믹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Bilayered all Ceramics에서 Core와 Veneer 계면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hear Bond Strength of Core-veneer Interface for Bilayered all Ceramics)

  • 정용수;이진한;이재인;동진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3호
    • /
    • pp.231-242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부 도재관 시스템에서 코어-비니어 결합계면에서의 결합 강도를 평가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어진 전부 도재관 시스템은 IPS Empress2 with IPS Eris, IPS e.max Press with IPS e.max Ceram과 IPS e.max ZirCAD with IPS e.max Ceram이다.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코어(N=36, N=12/system, 직경: 10mm, 두께: 3mm)를 제작하였고 초음파 세척을 시행하였다. 특별히 제작된 스테인리스 스틸 몰드를 이용하여 코어 상부에 비니어(직경: 3mm, 두께: 2mm)를 축성한 후 소성하였다. 소성 후, 초음파 세척을 시행하고 아크릴릭 레진에 매몰하였다. 제작된 시편은 $37^{\circ}C$의 증류수에 1주일간 보관하였다. 만능시험기(Z020, Zwick, Germany)로 시편의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고, 하중이 코어-비니어 계면에 가능한 가깝게 가해지도록 시편을 위치시키고, 파절이 일어날 때까지 1.00mm/min의 crosshead speed로 하중을 가하였다. 측정된 각 군의 평균전단결합강도($MPa{\pm}SD$)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일원 분산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사후검정은 Tukey test를 이용하였다(p=0.05). 또한 파절된 시편을 주사전자현미경(JSM-6360,JEOL, Japan)으로 파절양상을 관찰하였다. 파절양상은 코어 내에서의 응집성 파절, 비니어 내에서의 응집성 파절, 혼합형 파절 혹은 접착성 파절로 분류하였다. 코어와 비니어 계면에서의 평균전단결합강도($MPa{\pm}SD$)는 IPS-e.max Press가 $32.85{\pm}6.75MPa$, IPS Empress 2가 $29.30{\pm}6.51MPa$, IPS e.max ZirCAD가 $28.10{\pm}4.28MPa$로 나타났다. 통계적 분석 결과 각 시스템 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어떠한 시스템에서도 접착성 파절은 관찰되지 않았다. IPS Empress 2와 IPS e.max Press에서는 코어와 비니어 내에서의 응집성 파절이 관찰되었으며, IPS e.max ZirCAD에서는 혼합형 파절과 비니어 내에서의 응집성 파절이 관찰되었다.

과개교합 환자에서 도재 라미네이트 비니어와 전부도재관을 이용한 심미수복 증례 (Esthetic improvement in patient with deep bite using porcelain laminate veneers and a full veneer crown)

  • 윤종상;신수연;이종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2호
    • /
    • pp.192-198
    • /
    • 2014
  • 본 증례는 심미적인 개선을 위해 내원한 30대 여성에서 도재 라미네이트 비니어(porcelain laminate veneer: PLV)와 전 부도재관을 이용하여 치료를 시행한 증례로서, 환자는 앞니가 튀어나오고 고르지 않다는 주소로 내원하였고 최소의 치아 삭제를 원하였다. 환자는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이었으며, 진단 납형 제작 시 이를 고려하기 위해 체크 바이트법을 이용하여 교합기에 마운팅 하였고, 진단 납형 제작한 상태의 mock-up을 이용하여 치아 삭제를 시행한 후 삭제량을 인덱스로 확인하였다. 보철물의 전체적인 색조의 조화를 위해 도재 라미네이트 비니어를 먼저 수복하였고, 전부도재관의 지대치 색상을 고려한 뒤 수복하여 만족스러운 심미성의 개선을 얻을 수 있었다.

교정치료 중 광범위한 치경부 탈회를 보이는 치아의 직접 레진 비니어 수복에 관한 증례 (Direct resin veneer restoration for cervical decalcification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 허유경;장훈상;황윤찬;황인남;오원만;이빈나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8권1호
    • /
    • pp.52-59
    • /
    • 2022
  • 고정성 교정치료 중 치아의 협면의 치경부 탈회가 종종 발생한다. 이번 증례보고에서는 교정치료 중 발생한 치아의 치경부 탈회를 직접 레진 비니어 수복을 통해 치료한 2가지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우식이 없는 초기 병변은 주기적인 불소도포, 식이조절, 구강위생 개선을 통해 재광화될 수 있으나 점차 진행됨에 따라 적절한 수복치료가 필요하며 병소 발생 후의 치료보다 예방에 중점을 두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세라믹 비니어의 글레이징에 따른 반투명도 변화 (Translucency of ceramic veneers on glazing effect)

  • 김성준;감세훈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38-143
    • /
    • 2015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두 종의 라미네이트 세라믹 비니어의 글레이징 여부에 따른 반투명도 변화를 비교하는데 있다. 재료 및 방법: IPS e.maxPress (IEM)와 Styleveneers (STV)를 대상으로 하여 각각 0.3 mm와 0.6 mm 두께의 한 변이 10 mm인 정사각형 형태의 시편을 글레이징을 시행한 군과 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제작하였다(n=80). 각 시편은 측색기를 이용하여 색좌표(CIE $L^*a^*b^*$)를 측정하였다. Translucency Parameter (TP)는 측정한 색차를 계산하여 얻었다. 각 제조사별 차이와, 글레이징 여부에 관한 통계 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시행하였다(P=.05). 결과: IEM의 0.3 mm 두께에서 TP값(평균${\pm}$표준편차)은 글레이징을 시행하지 않은 군에서 $45.99{\pm}3.00$, 글레이징을 시행한 군에서 $49.53{\pm}2.28$이었으며, 0.6 mm 두께에서는 각각 $32.82{\pm}2.59$$43.02{\pm}0.98$이었다. 마찬가지로, STV의 0.3 mm 두께에서 TP값은 글레이징을 시행하지 않은 군에서 $47.03{\pm}3.65$, 글레이징을 시행한 군에서 $50.95{\pm}3.05$이었으며, 0.6 mm 두께에서는 각각 $34.48{\pm}1.28$$43.39{\pm}1.20$이었다. 세라믹 비니어의 글레이징 여부에 따라, 세라믹 비니어의 TP값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제조사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한계는 있지만, 본 연구에서, 라미네이트 세라믹 비니어는 글레이징 과정을 거치면 반투명도가 변화되며, 제조사간의 차이는 없다는 결론을 얻었다.

Resin-Bonded Splint와 직접 복합레진 비니어를 이용한 전치의 심미적 수복

  • 김현경;조영곤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18-319
    • /
    • 2002
  • 심미적으로 고안된 resin-bonded splint와 직접 복합레진 비니어 수복의 병행은 심한 치주질환으로 인한 심미적인 불편감과 기능적인 문제를 호소하는 증례에서 적절히 사용된다면, 치아의 심미성과 기능성을 다소 해결재 줄 수 있는 방법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Porcelain laminate veneer의 수복 (Porcelain Laminate Veneer Restoration)

  • 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2호
    • /
    • pp.191-200
    • /
    • 2012
  • 도재 라미네이트 비니어(Porcelain laminate veneer, PLV)는 아주 얇은 도재를 치면에 직접 적용시키는 술식으로 전치부 심미 개선을 목적으로 전부피개관 대신에 보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PLV의 성공을 높이기 위해 치질 삭제량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각 치아마다 법랑질 두께가 다양하고 증령에 따라 치관구조 역시 변화하기 때문에 치아 삭제시 주의가 필요하다. 즉 치아 순면을 따라 일관되게 삭제하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할 경우 법랑질이 얇아진 부위에서는 상아질이 노출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치아 삭제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는데 진단 납형제작을 통한 실리콘 인덱스와 아크릴릭 레진 mock-up을 이용한 방법은 최종적인 수복물의 형태에 기초하여 치아를 삭제할 수 있어 불필요한 법랑질 삭제를 줄이고 상아질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비정상적으로 배열된 치아 삭제시에도 적절한 삭제량 결정이 어려워 삭제량이 과도해지거나 부족해지기 쉬운데, 최종 보철물의 형태를 기준으로 실리콘 인덱스를 제작하면 이를 방지할 수 있다.

교정치료 후 비심미적인 상악 전치부 비율을 가진 환자에서 체계적인 진단 및 치료과정을 통해 심미성이 개선된 보철 수복 증례 (Esthetic improvements through systematic diagnosis and treatment procedures in patients with unesthetic maxillary anterior teeth proportion after orthodontic treatment: Case report)

  • 이성민;최유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62-275
    • /
    • 2015
  • 상악 전치부와 같은 심미성이 요구되는 부위의 치료 시에는 건강하고, 주위조직과 조화를 이루며 매력적인 미소선의 형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에 관하여 미소선, 연조직 및 경조직의 형태뿐 아니라 치아의 해부학적 형태와 비율 또한 고려하여야 한다. 상악 측절치의 왜소치(peg lateralis)로 인한 치간이개 및 부적절한 치은 형태로 인해 비심미적인 상악 전치부 비율을 가진 환자에서는 교정치료만으로 심미적 수복이 이루어지기 힘들 수 있다. 이런 경우, 교정치료가 끝난 이후 치아-치은-안면 구도에서의 진단 및 분석을 통한 치은절제술 및 보철적 수복을 통해 치아간의 근/원심, 폭/길이 비율을 개선시켜야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또한, 상악 측절치의 왜소치(peg lateralis) 치아 비율 개선을 위한 보철물 제작 시 치질삭제가 적으며 인접치와 유사한 색조가 재현 가능하고 투명도가 높은 도재 라미네이트 비니어(Porcelain laminate veneer, PLV)가 선호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두 명의 20세 여자 환자로 교정치료 후 상악 측절치의 왜소치로 인한 치간이개 및 부적절한 치은 형태로 인해 비심미적인 상악 전치부 비율을 가진 환자에서의 체계적인 진단 및 치료과정을 통해 심미성이 개선된 보철 수복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심미수복을 위한 글라스-세라믹 재료의 치과 응용 (Dental application of glass-ceramic materials for aesthetic restoration)

  • 배태성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8권7호
    • /
    • pp.435-442
    • /
    • 2020
  • 치과의사가 수복재료를 선택하고 환자에게 추천할 때는 수복할 치아 위치, 결손 정도, 환자의 심미적 요구도, 저작력, 나이, 경제적 여건 등 여러 가지의 요인을 고려한다. 그렇지만, 수복재료를 선택할 때의 일차적인 기준은 구강 내에서 기능 시 작용하는 교합력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 미국 국립보건원(NIH) 지원으로 조사된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전치부 수복재료로서는 리튬 디실리케이트계 글라스-세라믹이 54%, layered zirconia가 17%, 루사이트 강화 글라스-세라믹이 13% 순을 보여, 전치부 수복재료로서 리튬 디실리케이트계 글라스-세라믹이 가장 많이 사용었다. 또한 구치부 수복재료로서는 단일구조 지르코니아가 32%, 금속-세라믹이 31%, 리튬 디실리케이트계 글라스-세라믹이 21% 순을 나타냈다. 세라믹 수복 재료의 특성을 살펴보면, 단일구조 지르코니아는 강도는 높지만 명도가 높고 저온열화로 인한 강도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layered zirconia는 심미성은 우수하지만 강도가 낮은 비니어 세라믹의 칩핑과 박리가 문제가 되고 있다. 리튬 디실리케이트계 글라스-세라믹은 심미성은 우수하지만 지르코니아에 비해 강도가 낮으므로 구치부에 적용 시 파절이 일어날 위험성이 있다. 루사이트계 글라스-세라믹은 심미성은 우수하지만 기본적으로 강도가 낮기 때문에 전치부에 한정하여 적용한다. 세라믹 크라운이 구치부 교합력에 저항하기 위해서는 350 MPa 이상의 굴곡강도를 가져야 한다. 리튬 디실리케이트계 글라스-세라믹은 광투과성이 양호한 심미성이 있는 재료이므로 비니어 없이 전치부에 적용할 수 있고, 굴곡강도가 400 MPa 이상이므로 구치부 교합력에 저항할 수 있고, HF에 의한 산부식과 실란(silane) 처리가 가능하므로 레진과 강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고, 또한 포세린에 비해 대합치의 마모가 적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면 리튬 디실리케이트계 글라스-세라믹 재료는 전구치부의 단일치 수복에 적합한 성질을 갖고 있음을 알수 있다. 그렇지만 그의 임상 응용이 더욱 증가하기 위해서는 이들 재료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와 이해가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 PDF

지르코니아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지지 단일 크라운과 연결 크라운의 보철적 합병증 (Technical complications of cement-retained implant-supported single crowns and splinted crowns with zirconia frameworks)

  • 유상춘;배정윤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26-31
    • /
    • 2017
  • 목적: 지르코니아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지지 단일 크라운과 연결 크라운의 성공률과 보철적 합병증을 임상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67명의 환자에서 75개 수복물(단일 51개, 연결 24개)을 지르코니아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지지 단일 크라운 혹은 연결 크라운으로 수복했다. 모든 수복물은 임시 시멘트로 합착했다. 보철적 합병증과 성공률을 조사하고, 나이, 성별, 보철물의 위치, 대합치, 보철물의 유형이 보철적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결과:평균 22.2개월의 관찰 결과, 최종 누적 성공률은 66.9 (73.2 - 60.6)%였다. 유지 상실이 16개 보철물(단일 14개, 연결 2개)에서 나타났고, 지대주 나사 풀림과 비니어 도재 파절은 단일 크라운에서만 각각 2개의 보철물에서 나타났다. 단일 크라운과 연결 크라운에 대한 Kaplan-Meier 생존분석 결과, 최종 누적 성공률은 각각 58.9 (66.6 - 51.2)%, 87.5 (96.1 - 78.9)%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다른 고려 요인들은 보철적 합병증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보철적 합병증은 유지 상실이 가장 많았고, 지대주 나사 풀림 및 비니어 도재 파절은 단일 크라운에서만 비교적 적게 관찰되었다. 나이, 성별, 보철물의 위치, 대합치에 따른 보철적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상부 보철물을 연결 크라운으로 제작했을 때, 단일 크라운으로 제작한 경우보다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