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구

검색결과 1,286건 처리시간 0.031초

토양질소(土壤窒素)의 유효도(有效度) 검정방법(檢定方法)에 의한 황색종연초(黃色種煙草)의 적정시비량(適正施肥量) 추정(推定) (Prediction of Optimum Fertilizer Rate for Flue-Cured Tobacco by Nitrogen Availability in Soils)

  • 정훈채;조성진;홍순달;이윤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9-176
    • /
    • 1985
  • 토양질소(土壤窒素)의 공급능력(供給能力)(유효도(有效度)) 검정방법(檢定方法)에 의한 밭토양의 비옥도(肥沃度) 평가(評價) 및 황색종연초(黃色種煙草)의 정적시비량(定適施肥量)을 추정(推定)하기 위하여 1982~1983년(年)에 23개소(個所)의 재배전(栽培前) 공시토양(供試土壤) 시료(試料)를 재료(材料)로 몇가지 토양검정치(土壤檢定値)에 의한 실내실험(室內實驗)과 이미 얻어진 무비구(無肥區) 건엽중(乾葉重)과의 상호관계(相互關係)를 검토(檢討)하였다. 토양(土壤)의 유효태질소(有效態窒素) 검정방법(檢定方法)으로서 본연구(本硏究)에서 사용(使用)된 a) 2주(週), b) 4주(週)동안의 항온(恒溫) 항습처리(恒濕處理)로 무기화(無機化)된 $NO_3-N$값, c) 0.01M-$NaHCO_3$ 침출물(浸出物)의 자외선(紫外線)(260nm) 흡광도(吸光度)값과 d) 동침출액(同浸出液)의 산분해(酸分解) 질소(窒素)값, e) 0.01M-$CaCl_2$ 용액(溶液)으로 자비(煮沸)하여 침출(浸出)한 질소(窒素)값과 f) 동용액(同溶液)으로 고온가압(高溫加壓) 침출(浸出)한 질소(窒素)값등의 모든 검정방법(檢定方法)이 무비구(無肥區)에서의 건엽중(乾葉中) 및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과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었다. 따라서 유효태질소(有效態窒素) 토양검정결과(土壤檢定結果)로서 황색종연초(黃色種煙草)의 무비구(無肥區) 건엽중(乾葉中)의 추정(推定)은 물론, 토양비옥도(土壤肥沃度) 등급구분(等級區分) 및 적정시비량(適正施肥量) 추천범위(推薦範圍)의 산출(算出)도 가능(可能)하였다.

  • PDF

비종(肥種)에 따른 목란(牧丹)의 수량(收量) 및 Paeonol 함량(含量) 비교(比較) (Effect of Fertilizers on Yield and Paeonol Content of Paeonia moutan Sims)

  • 박부규;박재호;김민자;박성규;정인명;김금숙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6-101
    • /
    • 1998
  • 목란재배시(牧丹栽培時) 비종(肥種)에 따른 재배년수별 생육, 수량 구성요소, 수량 및 paeonol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코자 공시품종은 재래종을 공시하였고, 비종(肥種)은 무비구, 퇴비 3,000kg/10a, 3요소, 계분비료 100kg/10a, 유기질비료 200kg/10a등 5처리를 두어 6년간 재배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무비구에 비하여 경장(莖長)은 정식 후 5년차에, 경수(莖數)는 4년차에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이후는 경장(莖長), 경수(莖數) 모두 증가가 완만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비종간차(肥種間差)는 크지 않았다. 2. 통목란(通牧丹) 수량은 시비를 함으로서 주근장(主根長), 근수(根數)가 증가되어 무비구에 비하여 3요소구 12%. 퇴비구 18% 계분비료 22%, 유기질비료 20%가 각각 증수되었다. 3. 재배년수별 통목란(通牧丹) 수량 증가율은 3년차까지는 6년차 수확시 총수량(總收量)의 $25%{\sim}34%$, 4년차 $8{\sim}17%$, 5년차 $21{\sim}53%$, 6년차 $4{\sim}22%$로, 5년차에 수량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4. Paeonol 함량은 년중 수권시기간(收權時期間)에는 10월 수확에서 3.08%로 가장 높았으며, 비종간(肥種間)에는 계분비료 시용구에서 3.63%로 가장 높았다. 5. 재배년수가 길어질수록 paeonol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3년차 이후 년간 증가율은 높지 않았으며, 근부위별(根部位別) 함량은 하위부(下位部) 3.07%, 중위부(中位部) 2.77%, 상위부(上位部) 2.38%로 생장점 부근인 하위부(下位部)로 갈수록 높았다.

  • PDF

질소 분시 비율에 따른 도라지의 생육 및 수량 (Effect of Split Application of Nitrogen Fertilizer on Growth and Yield in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 성재덕;김금숙;김현태;박충범;김성만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437-441
    • /
    • 2004
  • 도라지 재배시 질소 분시 비율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한 도라지 수량 면에서는 2년생 생근과 건근이 50:50 2회 추비 구에서 각각 898 kg, 230 kg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30:70의 추비 구에서 가장 많았다. 1년차에서의 분시비율은 기비 50%, 추비 50%로 하되, 추비 50%를 2회 나누어 시비하고 2년차는 추비만 시비하는데 이 때 50:50로 2회 나누어 주면 수량 증대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시험결과에서 지상부 생육은 년수 간에는 1년생보다 2년생이 출현기, 개화기가 더 빠르고 경장, 경태가 더 크며 분지수, 엽수도 모두 더 많아 전체적인 생육이 양호하였다. 질소 분시 비율 차이에 따른 지상부 생육은 2년생 근에서는 50:50 2회 추비구가 다른 추비구보다 경태가 굵고, 분지수, 엽수가 많은 경향을 보였다 2년근 지하부 생육은 50:50 2회 추비 구에서 주근장도 가장 길고 지근수도 가장 많아 수량도 건근 230 kg/10a로서 70:30 추비 구 보다 30%의 수량 증대를 보였다. 조사포닌 함량에서도 50:50 추비구가 4.68%로서 가장 높았다. 따라서 도라지 질소 분시 비율은 1년차는 기비 50%와 추비 50%로 하고 2년차는 추비를 50:50 비율로서 2회로 나누어 시비하는 것이 수량과 품질면에서 모두 바람직하며, 특히 2년생 이상을 수확하는 것이 수량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보였다.

젊은 연령의 동통성 고관절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for Painful Hip in Young Patients)

  • 최남용;김용식;손종민;한석구;이성근;서상일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6-40
    • /
    • 2001
  • 목적 : 고관절 동통을 호소하는 젊은 환자에 대한 관절경적 진단, 치료 및 이의 유용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5월부터 1999년 6월까지 고관절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젊은 환자 7명 7례를 대상으로 병력, 이학적 검사, 방사선학적 검사 및 관절경 검사로 진단하고 관절경적 수술로 치료한 후 1년 이상 추시하였다. 결과 : 관절경적 진단 결과 7례 중 6례는 비구순 파열이 있었으며 1례는 만성 활액막염이었다. 관절경적 수술 후 5례는 통증이 소실되었으며, 2례는 경도의 통증을 호소하였고, 모든 예에서 일상 생활 및 체육 활동으로의 복귀가 가능하였다. 결론 : 젊은 환자의 동통성 고관절에 대한관절경적 수술은 비구순의 파열이나 활액막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비국부 이론을 이용한 입자 강화 복합재 이중후방응력 소성 구성방정식 모델 및 전단밴드 분석 (Non-Local Plasticity Constitutive Relation for Particulate Composite Material Using Combined Back-Stress Model and Shear Band Formation)

  • 윤수진;김신회;박재범;정규동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10호
    • /
    • pp.1057-1068
    • /
    • 2014
  • 2개의 상으로 구성된 입자 강화 복합재에 대한 균질화와 내부 상태 변수에 대해 2차 미분항이 포함된 비구역적 이론을 적용하여 탄소성 구성 방정식을 제안하였다. 열역학과 소성 포텐셜을 통해 내부 상태 변수에 대한 전개식 또한 본 논문에 포함되었다. 연속체 결함 모델을 이용, 결함 인자에 따른 물성 저하 현상도 감안되었으며 이중 후방응력이 조합된 전개식 또한 제시하였다. 일부 예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 비구역적 변수의 영향이 증가할수록 전단밴드는 감소하나 반면 특정 후방응력 전개가 지배적일수록 소성변형 집중이 증가함이 관찰되었다. 더욱이 두 개의 강소성 상으로 이루어진 복합재의 경우 강성이 높은 게재물의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전단밴드 형성이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제어변수들의 변화에 따른 전단밴드 형성에 대한 분석 결과는 Rice 소성 불안정성 분석결과와 잘 일치함 또한 밝혀졌다.

아마품종의 시비량 반응 (Response of Flax Varieties to Fertilizer Levels)

  • 박희진;권병선;이정일;손응룡;황종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53-357
    • /
    • 1989
  • 아마 답전작 재배에서 시비량에 따르는 주용 형질의 반응을 구명하고자 시험했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성숙기는 3품종 모두 무비구보다 시비구에서 늦었으며 품종별로는 Wiera, Stoment Goss 품종이 무비구에서 6월 15일 ~ 17일인데 비해 시비구에서는 6월 18일~20일로 3~4일 늦었고 Taijungsun#1은 부비구가 6월 13일이었는데 비해 시비구는 6월 14~15일로 1~2일 늦었다. 2. 경장과 유분함량은 시비구에서 경장이 가장 길었고 유분함량도 가장 많았으며 시비량이 더 많은 N-P$_2$O$_{5}$-K$_2$O =9-7-5kg/10a 시비구에서는 오히려 경장이 짧고 유분함량이 적었다. 3. 원경중과 종실중은 3품종 모두 N-P$_2$O$_{5}$-K$_2$O =8-6-4kg/10a의 증시구에서는 직물체의 과번무와 도복 및 모아마의 발생으로 오히려 수량이 감수되었다. 4. 분산분소에서도 품종간, 시비량간, 품종과 시비량의 교호작용에서도 모두 고도의 유의차를 나타내어서 척박지인 사양토의 답전작 아마재배는 N-P$_2$O$_{5}$-K$_2$O =8-6-4kg/10a의 시비에서 가장 좋은 반응을 보여 주었다.

  • PDF

신개간 산지토양에서 Kieserite 시용이 혼파목초의 초기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Kieserite Application on the Seedling Vigour and Yield of Grass/Clover Mixed Swards on Newly Reclaimed Hilly Soil)

  • 정연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1-36
    • /
    • 2003
  • 신개간 산지토양 배지에서 초지조성비 소석회(125 kg/10a)와 3요소 표준시비를 한 조건에서 초지조성시 수음성 고토비료인 Kieserite의 시비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처리수준은 1) $T_1$ ; 대조구, 2)$ T_2$; 3요소 표준시비구 3) T$_3$; 3요소 표준시비구+kieserite 시비구 이였다. 1 신개간 산지토양의 낮은 비옥도 때문에 3요소 시비가 불충분한 대조구($T_1$)의 초기생육상 및 수량은 매우 불량하였다. 대조구($T_1$)에 비해서 3요소 표준시비가 된 $T_2$ 처리구에서는 초기생육상은 크게 양호하여 졌으며 kieserite 고토비료가 추가로 시용된 $T_3$ 처리구에서는 더욱 양호하였다. 2. Kieserite 시비구($_T3$)는 3요소 표준시비구($T_2$)에 비해서 orchardgrass 수량은 3.1%, ladino clover 수량은 27.5% 혼파목초의 총 수량은 12.8%의 수량증가를 보였다. kieserite 시비($T_3$)는 orchardgrass 보다 ladino clover의 정착, 초기생육상, 식생구성 비율 및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orchardgrass 목초에 대해서는 그 효과가 경미하였다.

질소원(窒素源)을 달리한 비료시용(肥料施用)이 대두(大豆)의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Various Nitrogen Fertiliers on Nitrogen Fixation and Yield in Soybean)

  • 고명호;이상갑;김진호;박우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6권
    • /
    • pp.105-112
    • /
    • 1988
  • 질소원(窒素源)을 달리한 비료시용(肥料施用)이 대두(大豆)의 생육(生育), 수량(收量), 영양성분(營養成分) 및 단백질(蛋白質) 소화율(消化率) 등(等)에 미치는 비효(肥效)는 다음과 같다. 대두(大豆)의 생육상황(生育狀況)은 시비조건간(施肥條件間)에 대체로 유사(類似)하였으나 유안구(硫安區)와 무질소구(無窒素區)에 있어서 절수(節數)가 적었다. 근류수(根瘤數)와 무게는 유안구(硫安區)와 무질소구(無窒素區)가 낮았고 그 밖의 처리구(處理區)에 있어서는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근류수(根瘤數) 당(當)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생육초기(生育初期)와 개화기(開花期)에는 거의 비슷하였으나 pod 신장기(伸長期)에서는 개발복비구(開發複肥區)가 타처리구(他處理區)보다 비교적 높았다. 대두(大豆)의 100립중(粒重) 및 10a 당(當) 수량(收量)은 개발복비구(開發複肥區)가 타처리구(他處理區)보다 높았고 무질소구(無窒素區)는 질소원(窒素源) 비료(肥料)의 시용구(施用區)보다 대체로 낮았다. 또한 대두(大豆)의 조단백질(粗蛋白質) 함량은 질소원(窒素源) 비료(肥料)의 시용구(施用區)가 무질소구(無窒素區)에 비해 높았고 조지방(粗脂肪) 함량은 오히려 낮았다. 조회분(粗灰分) 함량은 시용구간(施用區間)에 대체로 비슷하였으나 조섬유(粗纖維) 함량은 기존복비구(旣存複肥區)가 타처리구(他處理區)에 비해 높았다. Ca, P, Na, K, Mg, Zn, Mn 및 Cu 함량은 시비조건간(施肥條件間)에 대체로 비슷하였으나 Fe 함량은 무질소구(無窒素區)가 질소원(窒素源) 비료(肥料)의 시용구(施用區)에 비(比)해 월등히 낮았으며, 단백질(蛋白質) 소화율(消化率)은 무질소구(無窒素區)에서 가장 높았다.

  • PDF

토양검정(土壤檢定)에 따른 배추와 시금치의 NPK 시비추천(施肥推薦) (Recommendation of NPK Fertilizers for Chinese Cabbage and Spinach Based on Soil Testing)

  • 송요성;이춘수;곽한강;박영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5-30
    • /
    • 1993
  • 인산(燐酸)과 가리(加里)가 다량(多量) 축적(蓄積)된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 토양(土壤)에서 토양검정(土壤檢定)에 의한 시비효과를 검토(檢討)하여 시비관리(施肥管理) 기술(技術)을 확립(確立)코자 토양(土壤)에서 배추와 시금치를 공시작물(供試作物)로 하여 재배(栽培) 시험(試驗)을 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추 및 시금치 모두 토양검정구(土壤檢定區)는 관행구(慣行區)에 비하여 Av. $P_2O_5$, Ex. K, EC, $NO_3-N$의 함량(含量)이 낮아지는 경향(傾向)이었다. 2. 배추수량(收量)은 관행구(慣行區)와 토양검정구간(土壤檢定區間)에 큰 차이(差異)가 없이 대등(對等)하였으나 시금치 수량(收量)은 오히려 토양검정구(土壤檢定區)에서 더 많았다. 3. 배추와 시금치 잎의 무기성분(無機成分) 함량(含量)은 무비구(無肥區)에서만 약간 낮아졌을 뿐 시비량(施肥量)의 다소(多少)에 따라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4. 배추의 부패율(腐敗率)은 상온(常溫) 저장(貯藏)의 경우 PE(Polyethylene Film) 포장(包裝)에서는 관행구(慣行區)에 비(比)해 감비구(減肥區)가 빨랐으나 무포장(無包裝)에서는 처리(處理)간에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저온저장시(低溫貯藏時)에는 PE 포장(包裝) 및 무포장(無包裝) 공히 감비구(減肥區)에서 약간 높은 경향(傾向)이었다. 5. 시설채소(施設菜蔬) 연작지(連作地)에서 토양검정(土壤檢定)에 따른 시비절감량(施肥節減量)을 보면 배추는 관행대비(慣行對比) 인산(燐酸)은 19kg, 가리(加里)는 7kg/10a, 시금치의 경우는 인산(燐酸)과 가리(加里) 공히 22kg/10a를 절감(節減)할 수 있었다.

  • PDF

무논 골뿌림에서 질소(窒素) 수비(穗肥) 시기(時期) 및 시용량(施用量)에 따른 벼의 생육(生育)과 수량성(收量性) (Effects of Time and Amounts of Top Dressed Nitrogen at the Panicle Formation Stage on Growth and Yield of Puddled-Soil Drill Seeded Rice)

  • 유철현;신복우;이상복;조국현;이경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7
    • /
    • 1996
  • 본(本) 연구(硏究)는 벼 무논골뿌림 직파재배(直播栽培)에서 수비질소(穗肥窒素)의 시용시기(施用時期)와 시용량(施用量)에 따른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 및 이용율(利用率)에 미치는 영향(影響)과 수량성(收量性) 변이(變異)를 조사(調査)기 위하여 호남평야지(湖南平野地) 대표토양(代表土壤)인 전북통(全北統)에서 요소(尿素)를 공시(供試) 비종(肥種)으로 하여 수비시용효과(穗肥施用效果)를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식물체(植物體)의 수비질소(穗肥窒素) 흡수량(吸收量)과 이용율(利用率)은 출수전(出穗前) 20일 시용구(施用區)에서 가장 높았다. 2. 수비질소(穗肥窒素)의 손실량(損失量)은 20%감비구(減肥區)에서 시용시기(施用時期)가 빠를수록 적었다. 3. 간장(稈長) 및 하위절간장(下位節間長)(4절(節)+5절(節))은 수비시용시기(穗肥施用時期)가 빠를수록 길었으며, 도복지수(倒伏指數)는 시용시기(施用時期)가 빠를수록 그리고 시비량(施肥量)이 많을수록 증가(增加)하였다. 4. 등열율(登熱率) 및 천립중(千粒重)은 수비시용시기(穗肥施用時期)가 빠를수록 저하(低下)하였고 시용량(施用量)이 적을수록 증가(增加)하였으며 $m^2$당수수(當穗數)와 입수(粒數)는 출수전(出穗前) 10일 시용구(施用區)에서 현저(顯著)히 감소(減少)하였다. 5. 쌀수량(收量)은 출수전(出穗前) 20일의 전량시비구(全量施肥區)에서 관행구(慣行區)인 출수전(出穗前) 25일 33kg/ha 시용구에 비하여 3% 증수(增收)하였고 20% 감비구(減肥區)와 출수전(出穗前) 15일의 전량시용구(全量施用區)의 수량(收量)은 관행(慣行)과 유사한 경향(傾向)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