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the Kieserite Application on the Seedling Vigour and Yield of Grass/Clover Mixed Swards on Newly Reclaimed Hilly Soil

신개간 산지토양에서 Kieserite 시용이 혼파목초의 초기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효과

  • 정연규 (순천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Published : 2003.03.01

Abstract

This pot experiment was conducted te find out the effects of kieserite application ($T_1$; control, $T_2$; standard amount of $N-P_2$$O_{5}$ $-K_2$0, $T_3$; $T_2$+ kieserite) on the seedling vigour and yield of pass/clover mixed swards on newly reclaimed hilly soil.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At the $T_1$ treatment the seedling vigour and yield of mixed forages were very poor, whereas they were remarkedly enhanced by the treatments of $T_2$ and $T_3$. Comparing with the $T_2$ treatment the forage yields were increased 3.1% in orchardgrass, 27.5% in ladino clover, and 12.8% in mixed forages by the application of kieserite($T_3$). In the grass-clover mixed swards, the application of kieserite more remarkedly influenced the seedling vigour, botanical composition, and yield of clover than those of grass.

신개간 산지토양 배지에서 초지조성비 소석회(125 kg/10a)와 3요소 표준시비를 한 조건에서 초지조성시 수음성 고토비료인 Kieserite의 시비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처리수준은 1) $T_1$ ; 대조구, 2)$ T_2$; 3요소 표준시비구 3) T$_3$; 3요소 표준시비구+kieserite 시비구 이였다. 1 신개간 산지토양의 낮은 비옥도 때문에 3요소 시비가 불충분한 대조구($T_1$)의 초기생육상 및 수량은 매우 불량하였다. 대조구($T_1$)에 비해서 3요소 표준시비가 된 $T_2$ 처리구에서는 초기생육상은 크게 양호하여 졌으며 kieserite 고토비료가 추가로 시용된 $T_3$ 처리구에서는 더욱 양호하였다. 2. Kieserite 시비구($_T3$)는 3요소 표준시비구($T_2$)에 비해서 orchardgrass 수량은 3.1%, ladino clover 수량은 27.5% 혼파목초의 총 수량은 12.8%의 수량증가를 보였다. kieserite 시비($T_3$)는 orchardgrass 보다 ladino clover의 정착, 초기생육상, 식생구성 비율 및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orchardgrass 목초에 대해서는 그 효과가 경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Grunes, D.L. 1979. Grass tetany. ASA, CSSA, SSSA, Madison, Wisconsin, Preface
  2. Klapp, E. 1971. Wiesen und Weiden. Verlag Paul Parley. Berlin und Hamburg. 188-189
  3. Scheffer, F. und P. Schachtachabel. 1973. Lehrbuch der Bodenkunde. Ferdinand Enke Verlag, Stuttgart, 143-166, 253-268
  4. Shin, Y.H. 1972. The description and classification of Korean soils. ASPAC Technical Bulletin No. 10
  5. Toth. 1964. Redted from soil & soil related problems, In: Hansen, Turfgrass Sciences. ASA. 101
  6. Weinberger, P. 1979. 한국에 있어서 산지의 초지개량기술. 한초지, 1(2):7-13
  7. Weinberger, P. 1982. 산지초지조성을 위한 임야지의 제특성. 한초지, 3(1)-.10-11
  8. 晨技會. 1967. 草地土壤生産力に 關する 硏究. 農林氷産技術會, 硏究成果, 31:16-22
  9. 原田勇. 1979. 牧草の 營養と 施肥. 養賢堂, 東京. 4-6
  10. 농진청. 1974. 신개간지 영농기술. 농촌진흥청, 11-55
  11. 농진청. 1982. 산지초지조성과 이용. 농촌진흥청.35-46, 126-127, 196-209
  12. 농진청. 1983. 농사시험연구 조사기준. 농촌진흥청, 개정 제1판. 식물환경 및 사료 작물편
  13. 유인수. 1978. 산지토양의 특성 및 개량. 한토비지, 11(4):247-262
  14. 이종기. 1970. 지역별 목초의 영양진단. 식환연구보고서, 4-695-714
  15. 정연규. 1984. 초지토양관리와 비료. 한국가리연구회
  16. 정연규, 박병훈. 이종열 외. 1982. 석회 및 3요소 시용수준이 겉뿌림 산지초지에 미치는 영향(I-IV보), 한축지, 24(6):493-516
  17. 정연규, 이종열. 1986. 산지경사도 및 3요소 시용 수준이 초지토양 및 목초 중 무기 양분의 상호균형과 grass tetany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9(3):231-238
  18. 허봉구, 조인상, 민경범, 엄기태. 1984. 우리나라 토양의 대표적인 물리화학적 특성. 한토비지, 17(4):330-336

Cited by

  1. Mapping Herbage Biomass on a Hill Pasture using a Digital Camera with a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vol.35, pp.3, 2015, https://doi.org/10.5333/KGFS.2015.35.3.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