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공간

Search Result 7,01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patial Data Cubes with Concept Hierarchy on Spatial Data Warehouse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개념 계층을 지원하는 공간 데이터 큐브)

  • Ok Geun-Hyoung;Lee Dong-Wook;You Byeong-Seob;Bae H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35-38
    • /
    • 2006
  •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는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 연산을 제공하기 위해 다차원 데이터를 큐브의 형태로 관리한다. 특히, 공간 차원과 같이 데이터 큐브의 차원에 개념 계층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특정 계층에 대한 집계 결과를 요구한다. 기조의 데이터 큐브의 구조들은 차원의 개념 계층을 지원하지 못하거나 지원하더라도 시간이나 공간적 비용에 대해 비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공간 개념 계층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계층별 영역 집계연산을 지원하는 공간 데이터 큐브를 제안한다. 이는 개념 계층을 DAG(Directed Acyclic Graph) 형태로 표현하여 구성된 여러 개의 차원들을 공간차원의 지역성을 기준으로 연결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큐브를 이용하면, 데이터 검색 시 상위 계층부터 아래 방향으로 탐색하기 때문에 각 차원에 대한 효율적인 검색이 가능하다. 특히, 공간 개념 계층에 대한 DAG를 이용하면, 공간적 지역성에 따른 영역 검색을 지원할 수 있다. 성능평가에서 개념 계층이 적용된 질의에 대한 실험을 통해 제안 기법이 기존 기법들에 비해 저장 공간 효율성 및 질의 응답 성능이 우수함을 증명한다.

  • PDF

Information flow control using spatial view with multilevel security (다단계 보안을 갖는 공간 뷰를 이용한 정보 흐름 제어)

  • Jun, Young-Sub;Oh, Young-Hwan;Lee, Soon-Jo;Rim, Ki-Wook;Bae, H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93-96
    • /
    • 2001
  •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는 공간 객체에 대해 객체마다 서로 다른 보안 등급을 설정함으로써 공간 객체에 대한 보안을 유지하고 있다. 다단계 보안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보안 등급에 따라 공간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어할 경우 인접 객체와의 위상관계를 통해서 공간 정보뿐만 아니라 비공간 정보의 노출(information flow)이라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부분집합만을 추출하여 사용자의 권한에 맞는 질의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공간 뷰를 정의함으로써 사용자 등급에 맞는 결과 집합(result set)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연산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세계의 지리 객체들에 대한 다양한 사용자 관점과 다단계 보안 등급을 가진 뷰를 지원하기 위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뷰 개념을 확장한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공간 뷰를 제안하고, 공간 연산 시 발생하는 정보 흐름 제어를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 PDF

The Analysis of Nonlinear Hydrologic Phenomenon with Uncertainty (불확실성을 고려한 비선형 수문현상의 해석)

  • Jang, Su Hyung;Kim, Sangdan;Yoon, Yong 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660-66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적인 메커니즘을 갖는 수문현상의 불확실성을 해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새로운 개념의 지배방정식이 유도된다. 제안된 모형의 불확실성은 토양 특성치의 공간적 변동성에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유도된 방정식은 Fokker-Planckl 방정식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실제 유역단위에서 토양 내 수분 흐름의 연직방향 흐름을 모의하기 위해 미소단위에서 유도된 Richards 방정식은 토양의 공간적 변동성으로 말미암아 불확실한 매개변수를 갖는 비선형 추계학적 편미분방정식의 형태를 갖게 된다. 이는 먼지 수직 방향적분을 통하여 단순화된 비선형 추계학적 상미분방정식으로 전환되고, 이렇게 전환된 비선형 추계학적 상미분방정식은 다시 추계학적 Liouville 방정식을 이용하여 선형 추계학적 편미분방정식으로 전환되어진다. 최종적으로 cumulant 급수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방정식을 선형 결정론적 편미분방정식으로 전환시킴으로써, 강우 시 토양 내 수분 침투현상을 모형화할 경우 유역단위에서 토양의 공간적 변동성을 설명할 수 있는 지배방정식을 유도할 수 있다.

  • PDF

Parallel R-tree Using Multiple Disks (복수의 Disk를 사용하는 병렬형 R-tree)

  • 방갑산;김일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114-116
    • /
    • 1998
  • 1차원 이상의 공간 데이터의 효율적인 처리는 현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공간데이터를 관리하는 공간 index structure는 대부분 serial processing을 위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많은 application에서 방대한 양의 공간 데이터는 보조기억장치(예: disk)에 저장이 되어 사용이 되고 공간 index structure의 query반응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여러개의 disk를 사용하는 병렬처리는 방대한 양의 공간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적당하다. 본 논문에서는 PML-tree라는 병렬형 공간 index structure를 제안한다. PML-tree는 MXR-tree에 비해 높은 공간활용도와 빠른 처리시간을 보임으로써 공간 database를 위한 효율적인 index structure로 사용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Classification of Motor Imagery EEG Signals Based on Non-homogeneous Spatial Filter Optimization (비 동질 공간 필터 최적화 기반의 동작 상상 EEG 신호 분류)

  • Kam, Tae-Eui;Lee, Seo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a
    • /
    • pp.469-472
    • /
    • 2011
  • 신체 부위를 움직이는 상상을 할 때, 일반적으로 뇌의 감각 및 운동 피질 영역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EEG(Electroencephalography)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ERD(Event-Related Desynchronization)/ERS(Event-Related Synchronization) 현상이 발생한다. 하지만 ERD/ERS는 현상은 피험자에 의존적이고 매시도마다 큰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각 시간-주파수 공간에 대하여 서로 다른 공간 필터를 구성하는 비 동질(non-homogeneous) 공간 필터 최적화 방법을 제안한다. EEG 신호는 시간에 대하여 비정상적(non-stationary)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제안하는 방법과 같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ERD/ERS 특징을 반영하여 공간적 특징을 추출하는 방법은 시간에 대한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기존의 방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International BCI Competition IV에서 제공하는 4가지 동작 상상(왼손, 오른손, 발, 혀)에 대한 EEG 신호 데이터를 사용하여 동작 상상 분류 실험을 하고 이 결과를 기존의 타 방법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피험자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주파수 특징이 추출됨을 확인하였고, 최적화된 공간 필터들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분류를 수행하였을 때, 더욱 우수한 분류 결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Application of Spatial Interpolation to Rainfall Data (강우자료에 대한 공간보간 기법의 적용)

  • Cho Hong-Lae;Jeong Jong-Chul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4 no.1 s.36
    • /
    • pp.29-41
    • /
    • 2006
  • Geostatistical data are obtained only at selected sites even though they are potentially available at any location In a continuous surf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unknown values at unsampled locations based on observation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accuracy of 5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local trend surface, IDW, RBF, ordinary kriging, universal kriging. These interpolation methods were applied to annual rainfall data. As the results of validation tests, universal kriging with gaussian variogram model showed the best accuracy in comparison with other interpolation methods. In the case of kriging, the predicted values were more accurate and within a more narrow range than other methods. In contrast with kriging, local trend surface analysis, IDW and RBF showed the wide range of predicted values and abrupt changes between neighbors.

  • PDF

Study on the reverse commuting phenomena considering spatial mismatch: In the non-Seoul metropolitan area (공간 미스매치를 고려한 역통근 현상에 관한 연구 - 비수도권 광역대도시권을 대상으로 -)

  • Shin, Hak Cheol;Woo, Myungje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6 no.2
    • /
    • pp.3-12
    • /
    • 2020
  • Recently, metropolitanization and suburbization have been occurring mainly in large cities, and spatial miss-match between residential and employment areas has increased. Spatial miss-match is different in the metropolitan cities and other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Seoul and other metropolitan cities have grown to become centers of business functions, while other metropolitan cities have been transformed into residential function centers. Accordingly, The reverse commuting phenomenon is occurring in the rural metropolitan. The reverse commuting phenomenon limits the employment opportunities of specific classes among urban residents, and cause various problem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raffic congestion. Therefore, many studies on spatial mismatch and reverse commuting have been conducted, but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research on other metropolitan areas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 of the commuting phenomenon in the metropolitan area of the non-metropolitan area by considering spatial mismatch and understanding the reverse commutation situation in the local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is analyzed by a multi-level model and suggests the need for management of industrial location and expansion of residence in suburban.

The Analysis of 3-Dimensional Shape Using Non-Metric Cameras (비측량용 카메라를 이용한 3차원 형상 해석)

  • Jeong, 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7 no.2
    • /
    • pp.91-99
    • /
    • 2009
  • In the field of geospatial information, 3D shape information has been considered as a frame data for GIS. Many kind of physical shape information is, especially, required for the works related with space, such as planning, maintenance, management, etc. Conventional photogrammetry was implemented under the conditions with expensive metric cameras and analytical plotters operated by experts. Nowadays, however, the metric cameras and analytical plotters are replaced by low price non-metric digital cameras and personal computers by virtue of the progress in digital photogrammetr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echnology to easily and promptly produce 3D shape information required in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using close-range photogrammetry with non-metric digital camera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3D shape of an experimental object was made out with a common compact digital camera and only a known length of a line component in the object and the accuracy of the dimension of 3D shape was analyzed to be less than one pixel.

  • PDF

Characteristics of Fuzzy Inference Systems by Means of Partition of Input Spaces in Nonlinear Process (비선형 공정에서의 입력 공간 분할에 의한 퍼지 추론 시스템의 특성 분석)

  • Park, Keon-Jun;Lee, Dong-Y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3
    • /
    • pp.48-55
    • /
    • 2011
  •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input-output characteristics of fuzzy inference systems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entire input spaces and the fuzzy reasoning methods to identify the fuzzy model for nonlinear process. And fuzzy model is expressed by identifying the structure and parameters of the system by means of input variables, fuzzy partition of input spaces, and consequence polynomial functions. In the premise part of the rules Min-Max method using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input data set and C-Means clustering algorithm forming input data into the hard clusters are used for identification of fuzzy model and membership function is used as a series of triangular membership function. In the consequence part of the rules fuzzy reasoning is conducted by two types of inferences. The identification of the consequence parameters, namely polynomial coefficients, of the rules are carried out by the standard least square method. And lastly, we use gas furnace process which is widely used in nonlinear process and we evaluate the performance for this nonlinear process.

Economic Valuation of Green Spaces for Residents in non-Capital Areas (비수도권 주민들의 녹지공간 경제가치 추정)

  • Choi, Andy Sungnok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30 no.1
    • /
    • pp.1-26
    • /
    • 2021
  • This paper aims to examine economic values of green spaces for non-Capital areas that have been rarely studied. Choice experiments were applied to two dissimilar but adjoining areas: The City of Jeonju and Wanju County. Split-sample surveys allowed to compare between apartment dwellers and single- or multi-family house dwellers, and across differing types of green spaces. According to the results, significant and substantial preferences might prevail not only for large cities, but also for agricultural areas. The mean willingness-to-pay (WTP) values of apartment dwellers for the view of a river/lake or mountain were generally smaller than those of Seoul, while the overall access values showed the opposite relationships. House dwellers in Jeonju showed substantially larger economic values for green spaces than those of the counterparts in Seoul, except for the access value of a river/lake. The findings grant follow-up studies investigating the reasons for the anomalous preferences particularly in Jeonju and identifying new management policies for non-Capital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