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블록 공중합체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초

나일론 6-SBR-나일론 6 불록 공중합체의 합성 (Synthesis of Nylon 6-SBR-Nylon 6 Block Copolymers)

  • 조의환;이경우
    • 대한화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24-430
    • /
    • 1976
  •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말단기로 가진 SBR 프리폴리마를 금속 나트륨을 촉매로 사용하여 ${\varepsilon}$-카프로락탐과 함께 음이온 중합시켜 나일론 6-SBR-나일론 6 블록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촉매 농도의 변화는 반응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개시제인 SBR 프리폴리마의 농도는 0.5몰%일 때 가장 좋은 결과를 얻었다. 반응온도는 $150^{\circ}C$일 때에 비하여 $185^{\circ}C$일 때가 수득률과 분자량의 증가를 보였다. 합성된 중합체의 적외선 스펙트럼에서 $1,730 cm^{-1}$의 우레탄 카르보닐 흡수띠로부터 블록 공중합체임을 확인하였고 프리폴리마와 나일론의 특성 흡수띠에서의 흡광도비로부터 공중합체의 조성을 추정하였다.

  • PDF

전기장 하에서의 블록 공중합체와 고분자 블렌드의 미세 구조 변화 거동 비교 (Comparing Microscale Behaviors of Block Copolymer with Polymer Blend Thin Films under Electric Fields)

  • 배준원
    • 공업화학
    • /
    • 제29권4호
    • /
    • pp.395-398
    • /
    • 2018
  • 전기장 하에서 유기물은 전기장에 의해 부여된 여러 가지 힘의 영향을 받아서 특이한 거동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개별적으로 고찰되어 왔던 전기장 하에서의 블록 공중합체와 고분자 블렌드의 미세 거동을 비교 분석하여 특징적인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두 가지 고분자가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블록 공중합체와 약한 상호작용으로 혼합된 고분자 블렌드 시스템을 비교대상으로 하였다. 이때, 구성 고분자로는 비슷한 유전상수를 갖는 폴리아크릴로 나이트릴과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도입하였다. 유사한 분자량, 같은 농도, 같은 전기장 세기하에서 고분자 블렌드가 전기장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공유결합이 분자의 운동성을 제약하여 전기장에 덜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거동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고분자 물질의 전기장 하에서의 거동을 이해하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이산화탄소 분리를 위한 PEBA공중합체 기반 분리막 (Poly(ether block amide) (PEBA) Based Membranes for Carbon Dioxide Separation)

  • 이재훈;라즈쿠마 파텔
    • 멤브레인
    • /
    • 제29권1호
    • /
    • pp.1-10
    • /
    • 2019
  • Poly(ether block amide) (PEBA)는 이산화탄소 분리에 매우 적합한 상용 블록 공중합체 중 하나이다. 기체분리막의 경우 높은 투과도 뿐 아니라 강한 기계적 강도 또한 필요로 한다. PEBA공중합체의 결정성 폴리아마이드(polyamide) 블록은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며 동시에 rubbery한 폴리에테르(polyether) 부분은 이산화탄소와의 친화도를 부여하여 이산화탄소 촉진 수송에 기여한다. PEBA공중합체에서 결정성 상과 rubber한 상의 조성은 기체분리막에 적합하게 조절될 수 있다. PEBA 공중합체를 기반으로 한 분리막은 좋은 투과도를 갖지만 추가적으로 분자체 효과를 이용하여 큰 기체 투과도 손실 없이 분리막의 선택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혼합 매질 분리막은 혼합막의 한 종류로서 고분자 매트릭스와 유기 첨가제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고분자 매트릭스와 유기 첨가제간의 양립성(compatibility)에 따른 문제점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본 총설에서는 PEBA 공중합체를 기반으로 한 혼합막의 장점과 한계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PEN의 점도차에 따른 PEN/PET 용융 블렌드 필라멘트의 특성 및 상호에스테르 교환반응 (Characteristics and Transesterification of PEN/PET Melt Blend Filaments by Viscosity Difference of PEN)

  • 손준식;이태균;지동선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5-258
    • /
    • 2002
  •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를 용융온도 이상에서 가공하면 두 고분자간의 화학적인 상호교환반응이 일어나고, 이러한 상호에스테르 교환반응은 이들의 공중합체를 생성시켜 블렌드계의 상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구조와 물리적 성질을 상당한 수준까지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융가공시 중요한 인자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호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의해 공중합체가 형성될 때 반응초기에는 블록 공중합체가 형성되며, 반응이 진행될수록 랜덤 공중합체가 형성 [1] 되며, 블렌딩 시간, 온도 그리고 조성비에 따라 상호교환방응 정도가 달라지게 된다[2-3]. (중략)

  • PDF

지속 가능한 블록 공중합체 기반 열가소성 탄성체 (Sustainable Block Copolymer-based Thermoplastic Elastomers)

  • 신지훈;김영운;김건중
    • 공업화학
    • /
    • 제25권2호
    • /
    • pp.121-133
    • /
    • 2014
  • ABA형태의 삼중블록공중합체는 고무상과 유리상의 상대적 성분에 좌우되는 열가소성 탄성체와 강화 플라스틱으로써 유용하다. 이러한 물질은 다른 고분자와 혼합하여 첨가제, 강화제, 상용화제로써 기능성을 줄 수 있다. 상업적으로 유용한 대부분의 블록 공중합체는 석유로부터 유래된다. 지구상의 유한한 화석자원 공급과 석유 사용 및 채굴에 관련된 경제, 환경적 비용을 고려하면 그 대안은 매력적이다. 이러한 흐름에 더하여 미래 지속 가능한 물질의 최종 용도를 위한 설계 및 그 실행이 요구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재생 가능한 ABA 형태의 삼중블록 공중합체 합성과 특성을 살펴보고, 특히 공중합체의 경성부분을 위한 높은 유리 전이온도 혹은 녹는점을 지닌 식물 유래 폴리올레핀과 다당류 유래 폴리락타이드와 공중합체의 연성부분을 위한 바이오 기반, 낮은 유리 전이온도, 무결정의 탄화수소계 고분자에 대해 논의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서 다양하게 제어된 고분자 중합법은 강력한 도구임이 증명되고 있다. 이러한 혼성 고분자의 정교한 합성에 관한 연구는 재생가능성, 생분해성, 고성능을 지닌 새로운 탄성체와 강화 플라스틱의 발전을 이끌고 있다.

Poly(DL-lactic acid)/Poly(ethylene oxide)을 포함한 블록공중합체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Block Copolymer Comprising of Poly(DL-lactic acid) and Poly(ethylene oxide))

  • 이찬우;배기서
    • 폴리머
    • /
    • 제26권5호
    • /
    • pp.582-588
    • /
    • 2002
  • DL-lactide의 단점을 개선할 목적으로 개환중합법으로 촉매로서 diethylzinc (ZnEt$_2$)를 사용하여, poly(ethylene oxide) (PEO)를 세그먼트로서 도입한 블록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그 결과 DL-lactide에 대한 PEO세그먼트의 첨가비가 30% 이상에서는 조성비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이들 공중합체를 캐스트법에 의해 필름으로 제작하여 6$0^{\circ}C$에서 2.5배 연신하여 인장실험을 실시하였다. 모든 공중합체 필름은 PDLLA에 대한 PEO에스테르 첨가비의 증대에 따라 탄성율이 저하되는 것이 관찰되어 세그먼트 도입에 의한 유연성의 증대를 확인하였으며 유연성이 요구되는 의용재료로서의 기대를 높였다.

Poly (lactide)-b-Poly (glycerol) 블록 공중합체의 중합 (Synthesis of Poly (lactide)-b-Poly (glycerol) (PLA-b-PG) Block Copolymer)

  • 이존환;오성근;김용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65-174
    • /
    • 2017
  • 이 연구는 소수성 폴리락타이드(PLA) 블록과 친수성 하이퍼브랜치드 폴리글리세롤(hbPG) 블록으로 구성된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PLA-b-hbPG)의 합성방법에 대한 것이다. 또한, hbPG 블록을 4-hydroxyl cinnamic acid (CA)로 에스터 반응화하여, 광가교가 가능한 블록 공중합체인 PLA-b-hbPG-CA에 대한 접근법에 대해서도 보고하였다. 연구된 양친성 고분자는 친수기에 많은 양으로 존재하는 폴리글리세롤에 의해 화장품용 약물 전달체로 사용이 가능한 작은 크기(100 nm)의 마이셀을 형성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hbPG으로 구성된 마이셀의 corona 부분은 우수한 친수성을 나타내어 생체 내 독성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소수성 활성성분이 담지된 PLA-b-hbPG-CA 마이셀은 생체적합성 및 자기조립구조에 의해 화장품용 약물 전달체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varepsilon$-카프로락톤) 공중합체의 온도감응성 솔-젤 전이 거동 (Thermosensitive Sol-gel Phase Transition Behavior of Methoxy poly(ethylene glycol)-b-poly($\varepsilon$-caprolactone) Diblock Copolymers)

  • 서광수;박종수;김문석;조선행;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28권4호
    • /
    • pp.344-351
    • /
    • 2004
  • 온도에 반응하는 고분자로서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기본으로 다이블록 및 트리블록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들은 비독성과 생체적합성 그러고 생분해성 특징 때문에 주사제형의 약물전달체로서 많은 응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이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한 새로운 솔-젤 전이 현상을 갖는 고분자를 준비하고자, 평균분자량 750g/mole의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카프로락톤을 실온에서 HCI $.$ Et$_2$O 존재 하에서 개환중합을 실시하였다. 합성된 고분자는 시차주사열량계와 X-선 회절기를 이용하여 특성을 분석하였고, 수용액상에서의 고분자 용액은 실온에서 신체온도로 온도를 상승시키면 졸에서 겔 상으로의 상변화를 보였다. 신체온도 부근에서의 겔 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20 W% 졸 상태의 고분자용액을 쥐의 피하에 주입한 결과 분산 없이 겔이 잘 형성되었고 2개월 간 겔이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새로운 솔-젤 상전이 현상을 보이는 다이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하였고, 주사형 이식 재료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Poly((R)-3-hydroxybutyric acid)/Poly(ethylene glycol)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한 약물전달체용 고분자 미셀 (Polymeric Micelle Using Poly((R)-3-hydroxybutyric acid)/Poly(ethylene glycol) Amphiphilic Block Copolymer for Drug Delivery System)

  • 정관호;김영진
    • 폴리머
    • /
    • 제30권6호
    • /
    • pp.512-518
    • /
    • 2006
  • 양친성 블록공중합체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R)-3-hydroxybutyrie acid), PHB와 친수성 고분자인 poly(ethylene glycol), PEG를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미생물에 의해 생산된 분자량이 수십만인 PHB는 약물전달용 재료로 적합하지 않으므로 산 촉매 가수분해를 통해 분자량이 $3000{\sim}30000$을 가지도록 조절되었다. 공중합체를 수용액에 넣으면, 고분자들은 자기 조립에 의해 친수성인 PEG가 소수성인 PHB를 감싸는 형태의 고분자 미셀을 형성한다. 형성된 고분자 미셀은 생분해성과 생체적합성을 가지면서 생체 내에서 낮은 독성과 환자 친화적인 특성을 가지므로 약물 전달체로의 이용이 가능하다.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는 PHB에 PEG를 도입한 것으로 에스테르교환(transesterification) 반응을 통해 유도되었다. PEG는 친수성 블록의 형성과 반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말단의 작용기를 개질한 후 사용되었다.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 형성에 대한 열적 특성과 화학적 구조 분석은 DSC, FTIR, $^1H-NMR$을 사용하여 알아보았다. 임계 미셀 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는 고분자 미셀이 형성되는 시점으로 형광 분광기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5{\times}10^{-5}g/L$ 부근에서 측정되었다. 수용액 상의 고분자 미셀은 냉동 건조 후, 분말형태의 나노입자를 얻었다. 고분자 미셀의 크기는 dynamic light scattering으로 측정한 결과 약 130 nm 정도로 나타났다. 또한 atomic force microscopy 측정을 통해 크기가 약 130 nm 정도인 구형 입자를 확인하였다. 나노입자가 형성된 고분자 미셀은 소수성 약물을 담지하여 수동적 표적지향형 약물 전달용 수송체로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합성 방법에 따른 PET-PEG 블록 공중합체의 생성효율

  • 박영효;최경림;조창기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8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0-84
    • /
    • 1998
  •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는 물리적,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고결정성 고분자의 하나로 섬유, 필름 및 여러 가지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흡습성, 난연성 및 염색성 등이 좋지 않은 결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PET 자체의 성질을 개선하거나 다른 고분자와의 공중합 또는 블렌딩하는 방법, 첨가제의 도입, 그래프팅 등 PET의 개질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으나 대표적인 방법으로 합성반응시 공단량체를 사용하여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