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블록체인 DID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3초

자기주권신원기술의 국내 서비스 사례 및 연구 과제 분석을 통한 개인정보 주권 강화 방안연구 (A Study on Strengthening Personal Information Sovereignty through Analysis of Domestic Service Cases and Research Projects of Self-Sovereign Identity Technology)

  • 이정현;김지원;김철수;양진홍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575-589
    • /
    • 2020
  •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가 폭발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데이터 3법이 시행됨에 따라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활용 시의 규제 개선 및 명문화를 통해 기업들이 개인정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비스 이용에 따른 실명 인증 및 개인정보 제공과 관련해 개인정보 제공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기주권신원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최근 개인정보 이용에 따른 기록의 명확성 및 증명을 위해 자기주권신원 기능 이용 시 블록체인을 활용한 서비스 및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자기주권신원 서비스의 특징 및 블록체인 기반 자기주권신원기술과 관련된 연구 현황 및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데이터 3법 시대의 개인정보 주권을 강화하기 위한 자기주권신원기술 기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영지식증명 블록체인 개인정보 인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Zero Knowledge Proof Blockchain Personal Information Authentication Using Smartphone)

  • 이광규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7-44
    • /
    • 2023
  • In the future society, a means to verify the identity of the information owner is required at the beginning of most services that the information owner encounters, and the emergence and gradual spread of digital identification that proves the identity of the information owner is essential. In addition, as the utilization value of personal information increases, discussions on how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are activ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necessary for building a hyper-connected society that is safe from various hacking, forgery, alteration, and theft by allowing the owner to directly manage and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In this study, a decentralized identity information management model that overcomes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centralized identity management method of personal information and manages and selectively provides personal information by the information owner himself and implemented a smart personal information provision system(SPIPS: Smart Personal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using a smartphone.

블록체인 기반 자기주권 신원 시스템의 영지식 증명 기술 연구 (A Study on Zero-Knowledge Proof Technology in Blockchain-based SSI System)

  • 황진주;김근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55-358
    • /
    • 2021
  • 개인의 신원정보 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개인이 직접 자신의 신원정보를 관리하고 데이터의 주권을 신원정보 소유자에게 부여하는 자기주권 신원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자기주권 신원 시스템 내에서 개인은 스스로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분산 식별자(DID: decentralized identifier)를 생성하고 분산 식별자 별 개인의 자격을 증명해주는 자격증명(VC: verifiable credentials) 정보를 발급받아 개인이 보유하며 자격증명의 검증을 요구하는 검증자에게 선택적으로 자격증명 정보를 제시한다.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의 자격증명을 제시할 때 신원정보의 실제 데이터는 감추고 자격증명의 유효성은 입증시키는 영지식 증명의 개념을 적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지식 증명 기술을 살펴보고 하이퍼레저 인디(Hyperledger Indy) 기반 자기주권 신원 시스템에서 영지식 증명 기술 도입 예를 보인다.

자기주권 신원 생태계를 위한 신뢰할 수 있는 통신 방법 (The Reliable Communication Method for Self-Sovereign Identity Ecosystems)

  • 최규현;김근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1권3호
    • /
    • pp.91-98
    • /
    • 2022
  • 최근 가상공간과 물리공간이 디지털 융합된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물리공간에서의 많은 활동이 웹 기반의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질 전망이다. 따라서 분산 식별자 기반 가상공간 환경에서 사생활과 상호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자기주권 신원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 식별자 기반 자기주권 신원시스템을 위해 Hyperledger Indy와 DIDComm 오픈 소스를 기반으로 분산 식별자, 비대칭 키, DID 문서를 생성하여 블록체인과 지갑에 등록하는 절차, DIDComm 메시지로 구성된 신뢰할 수 있는 통신 방법을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이는 통신 참여자 간의 신뢰를 위한 추가적인 정보 교환 및 검증 가능한 자격증명을 교환하여 서로를 검증하는데 활용이 가능하다

저작권자의 주권 강화를 위한 DID 기반 검증 프로토콜 설계 (Design of DID-based Verification Protocol for Strengthening Copyright Holders' Sovereignty)

  • 김호윤;신승수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9호
    • /
    • pp.47-58
    • /
    • 2022
  • 디지털 콘텐츠는 그 특성상 원본과 복제본의 구분이 어렵다. 이 때문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NFT 기술은 디지털 콘텐츠 원본에 대한 증빙과 희소성을 보장할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NFT 구매자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을 가지는 것이 아닌 소유권을 가지는 것이다. 특히 NFT를 발행하는 민팅(Minting) 과정은 누구나 가능하기 때문에 저작권자에 대한 저작권 위협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작권자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를 위해 NFT를 발행하고 거래하는 과정을 DID에 기반 한 검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연구 사례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안전성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NFT 발행은 DID를 통해 신원인증이 완료된 저작권자만이 발행할 수 있고 사용자 또한 인증이 완료된 자만 거래에 참여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무분별한 도용, 이용을 방지하고 안전하고 투명한 거래 시장을 형성할 수 있다.

Hyperledger Indy의 가용성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monitoring system for availability of Hyperledger Indy)

  • 최규현;김근형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3호
    • /
    • pp.60-67
    • /
    • 2023
  • Hyperledger Indy는 탈중앙화 신원 증명 기술인 DID를 구현한 오픈소스다. Hyperledger Indy는 RBFT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풀에 일정 수 이상의 문제 노드로 합의 부족이 발생하면 데이터 추가가 되질 않는다. 이는 노드를 추가하는 것으로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동작시키기 위해 노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노드 모니터링 시스템은 풀의 상태를 지속해서 확인하며 특정수 이상의 문제 노드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노드를 추가해 합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Hyperledger Indy의 가용성을 높여 줄 수 있으며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다양한 블록체인 서비스에서 참고할 수 있는 연구이다.

DID 기술에 기반 한 분산 신원 인증 시스템 (Distributed Identity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DID Technology)

  • 시정;신승수;한성화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7-22
    • /
    • 2023
  • 전통적인 인증 시스템은 중앙 집중식 신원 관리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인증한다. 이러한 인증 방식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분산신원기술을 사용하여 탈중앙화신원증명(DID : Decentralized Identifier)에 기반 한 분산신원인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QR 코드 스캔 방식으로 로그인하는 방식으로 분산 신원인증 시스템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신원의 고유성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어 로그인 과정에서 보안성이 향상된다. 제안한 시스템은 DID를 사용하고 InterPlanetary File System(IPFS)를 통합하여 조직 구성원의 신원 정보를 안전하게 비공개로 관리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분산 신원 인증 시스템을 사용하면, 조직 구성원의 보안 및 개인 신원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해 솔루션으로 확장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메타버스 환경에서 Data Preprocessing 기능을 개선한 Trust-based Decentralized User Authentication 시스템 설계 및 개발 연구 (Design and Development Study of a Trust-based Decentralized User Authentication System with Enhanced Data Preprocessing Functionality in a Metaverse Environment)

  • 박수완;이상민;김경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3-15
    • /
    • 2023
  • 비대면 서비스의 확산과 원격근무 등의 생활이 일상화되면서 메타버스의 이용자가 급증하였으며, 세컨드 라이프를 위한 금융, 부동산 등 자산 실거래로써 사람들의 생활반경이 자연스럽게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실세계에서와 같이 경제 활동을 자유롭게 하기에는 전혀 다른 쟁점의 보안 이슈들이 발생할 수 있으며, 기존의 사이버 공간과 비교해도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문제들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증 및 프라이버시를 중점으로 방안을 제안한다. 메타버스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의 특수성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처리 기능을 개선하고, W3C의 DID의 표준 방식을 준수하는 가운데 NFT를 활용한 메타버스 내 새로운 인증 서비스를 정의하며, 이에 대한 시스템 설계 및 개발 방안을 제시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하이퍼레저 인디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구현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본 연구의 적용 가능성 및 우수성을 검증한다.

탈중앙화 신원증명에 기반한 본인 인증 모델 (A Model for Self-Authentication Based on Decentralized Identifier)

  • 김호윤;한군희;신승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66-74
    • /
    • 2021
  •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온라인에서 나를 증명하는 사용자 인증기술은 고도화되고 있다. 기존 ID 방식은 서비스 제공자가 개인정보를 관리하며 보안이 취약할 경우 개인정보 유출의 위협이 있고, 정보 주체가 서비스 제공자에게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신분 확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중앙집중 형식에서 오는 개인정보 유출 위협을 낮추고 사용자 주권 강화를 위한 DID 기반 본인 인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발행기관으로부터 발급받은 VC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개인정보를 관리하고 정보 주제가 사용자에게 있어 주권을 강화할 수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분산원장 기술을 기반으로 한 탈중앙화 신원증명 방법을 이용하여 보안성과 무결성을 보장하는 본인 인증 모델을 제시하고, 공격방식에 대한 보안성을 분석한다.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DID Auth를 통해 인증하여 스니핑, 중간자공격 등으로부터 안전하며 제안 모델은 실물 신분증을 대체할 수 있다.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블록체인 이슈 분석 : 한국과 미국 (A Text Mining Approach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lockchain Issues :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손새아;전병진;김희웅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5-61
    • /
    • 2019
  • Blockchain technology, which enables transparent transactions among individuals without central control, opens up diverse business possibilities. It is also expected that blockchain will have a ripple effect on the entire area of society including finance, manufacturing, distribution, and the public sector.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blockchain also deals with its functional features and application to industrial and public fields. In the new technology such as blockchain, it is necessary to know what social perception is in order to create technological development environment,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i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for industrial and policy direction by analyzing issues related to the blockchain in South Korea and the US through text mining. From these two countries, we collected text data related to blockchain in online communities and internet articles. Then, we did co-occurrence analysis and topic modeling on them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have found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in keywords and topics extracted from social media in the two countries. Based on them, we can offer helpful suggestions for building a sound blockchain ecosystem,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