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브랜드 충성도

검색결과 343건 처리시간 0.029초

카페의 브랜드 이미지와 충성도에 대한 사회문화성서비스 영향 (Influence of Sociocultural Services on Brand Image and Loyalty of Cafe)

  • 김연종;설병문;문희정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5호
    • /
    • pp.163-175
    • /
    • 2017
  •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의 서비스 품질 요인 중 사회문화성이 새로운 커피 비즈니스의 주요 특성으로 대두됨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카페의 브랜드 이미지와 충성도의 향상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함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분석대상은 전문브랜드 카페와 지역브랜드 및 개인카페를 분류한다. 분석 결과, 첫째, 커피전문점의 서비스 품질 중 신뢰성, 확신성, 전문성, 접근성, 사회문화성이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시키며, 확신성, 전문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향상요인으로 작용하며,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품질 중 사회문화성은 브랜드 이미지에는 강한 영향요인이 되지만 브랜드 충성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커피서비스 품질의 브랜드 충성도간의 관계에서 브랜드 이미지는 신뢰성에는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며, 확신성, 전문성, 접근성, 사회문화성에 대해서는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내며, 대응성과 공감성에 대해서는 전혀 매개효과로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커피전문점의 서비스 품질과 브랜드 이미지간의 관계에 대한 커피전문점 유형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국 프랜차이즈는 신뢰성, 확신성, 접근성이 긍정적 향상요인으로 작용하며, 사회문화성은 도리어 브랜드 이미지는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개인카페는 전문성과 사회문화성이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주요요인으로 작용하며, 지역 프랜차이즈의 경우는 전국 프랜차이즈와 유사하지만 대응성, 전문성에 대한 서비스 품질 향상이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긍정적인 향상효과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전국 프랜차이즈 카페는 서비스 품질 중 접근성과 확신성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 전략이 우선적이다. 반면, 지역 프랜차이즈 카페의 경우는 서비스 품질 중 확신성이 강화되고, 서비스 전문성과 접근성을 통해서 더욱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지역기반의 개인카페들은 전국단위의 프랜차이즈나 지역프랜차이즈 카페들보다도 전문성 강화가 중요하며, 사회문화성을 강조하는 서비스 전략을 통해 고객들로 하여금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 PDF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 의복관심 및 브랜드와 구매에 대한 태도 연구 - 한국과 미국 소비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Clothing Interest, and Attitudes toward Brand and Purchase - Cross-cultural Study between Korean and United States Consumers -)

  • 김지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1-192
    • /
    • 2009
  • 본 연구는 소비자가 다른 사람과 차별되며 특별하게 지각되고자 하는 성향을 나타내는 소비자의독특성 욕구와 의복에 대한 관심이 브랜드 인식, 브랜드 충성, 및 구매의도와의 어떠한 관계를 지니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이러한 관계에 있어 문화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과 미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자특성이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과정의 모형을 검증한 후, 두 모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한국과 미국대학생을 중심으로 수집되었으며, 응답이 부정확하거나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485부-한국 271부와 미국 214부-만이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방법으로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SPSS 11.0을 이용하여 신뢰도 계수를 구하였으며, Prelis 2와 Lisrel 8.53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및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한국과 미국소비자의 선택친 모형을 비교한 결과, 전반적인 모형의 구조에도 차이를 보였을 뿐 아니라 각 변수간의 영향력에도 차이가 있음을 나타냈다.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의 하위차원인 '독창적 선택'과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는 두 그룹간의 반대의 성향을 보였으며, '비대증적 선택'과 '브랜드 인식'도 또한 한국 소비자는 정의 관계를 보인 반면, 미국소비자는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와 더불어 유사성을 회피하려는 한국소비자들은 브랜드에 충성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미국소비자들은 브랜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두 문화간의 차이가 있음을 뒷받침하였다. '브랜드 충성도'는 두 집단 모두 '구매의도'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항공 산업에서의 브랜드 동일시 연구 (Research on Brand Identification in the Airline Industry)

  • 고선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19-226
    • /
    • 2020
  • 본 연구는 K항공사를 이용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고객가치가 브랜드 동일시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론연구의 고찰을 통해 변수를 추출하였으며 각 변수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고객가치 중 기능적 가치와 감성적 가치가 브랜드 동일시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채택되었다. 둘째, 현재의 소비자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선택에 있어 감성적인 면을 더 추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자아 이미지와 동일하거나 자신의 가치관 혹은 라이프 스타일에 일치한다고 생각하는 항공사 브랜드를 이용함으로써 항공사와의 브랜드 동일시를 추구하고 있다. 셋째, 고객 가치 중 기능적 가치와 감성적 가치 모두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고객가치는 브랜드 동일시를 통해 충성도가 강화됨을 알 수 있다. K항공은 소비자들의 브랜드 충성도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매개변수의 역할도 고려되어야 하겠지만 고객의 브랜드 동일시 제고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성과관련 변수들의 역할 및 관계 (The Roles and Relationships of Consumer Brand Relationship and Brand Performance-Related Variables)

  • 김문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4호
    • /
    • pp.121-139
    • /
    • 2015
  • 본 연구는 연구문제 1로 소비자-브랜드 상호의존성, 소비자-브랜드 동일시, 브랜드향수, 브랜드 사랑의 4개 항목으로 크게 나누어 브랜드 신뢰 및 충성도와 항목의 중복성을 검토하였다. 고유값(eigen-value) 1이상을 기준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상했던 것과 달리 요인은 6개가 아니라 4개로 분류되었다. 이는 이전 연구에서 제시되었던 브랜드 체험, 소비자-브랜드 관계, 브랜드 사랑 등 매우 정교화된 항목으로 나누어진 변수들이 여러 논문에서 검증되는 과정을 거치다보니 타당성 평가결과 상당히 중복되거나 기존 논문의 결과와 다른 항목들이 수렴되는 경우가 많이 존재했듯이 본 연구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브랜드 사랑은 브랜드 충성도 보다 더 달성하기 힘든 개념이라는 것을 결론적으로 제시하였다. 단순한 관계, 즉 브랜드 신뢰${\rightarrow}$소비자-브랜드 관계를 검증하였던 모형 1은 적합도가 매우 낮게 나타나 새로운 모형을 만들어 검증하였는데 대체로 본 연구는 브랜드 동일시${\rightarrow}$브랜드 신뢰${\rightarrow}$브랜드 충성도${\rightarrow}$브랜드 사랑의 과정으로 구성된 모형이 가장 적합한 모형임을 밝혔다. 무생물인 브랜드를 인간과 같이 사랑한다는 것은 반복적 구매의지를 나타내는 기존의 행동적 충성도 보다 더욱 달성하기 어려운 개념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 PDF

브랜드 체험이 지속적인 브랜드 앱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rand Experience on Use Intention of Continuous Brand App)

  • 이성호;정경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455-463
    • /
    • 2015
  •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모바일을 통한 브랜드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브랜드 앱은 기업의 제품 및 서비스 콘텐츠를 마케팅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많은 소비자들이 이러한 콘텐츠들을 브랜드 앱을 통해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앱의 특성상 쉽게 다운받고 또한 삭제할 수 있기에 지속적인 사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앱의 다양한 체험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았다. 분석결과 브랜드 체험의 감각, 감성, 행동, 인지적 체험은 브랜드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브랜드 몰입은 브랜드 충성도와 지속적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브랜드 충성도는 지속적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브랜드 앱의 다양한 체험을 경험한 소비자는 브랜드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지고 이렇게 형성된 몰입은 브랜드에 대한 충성심을 갖게 하며, 결국 지속적으로 브랜드 앱을 사용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에서는 브랜드 앱을 통해 소비자들이 다양한 체험을 경험할 수 있게 콘텐츠를 개발한다면 좋은 마케팅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고객이 인지하는 마케팅 믹스 7P활동이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소상공인(종업원 5인이하)커피전문점의 중심으로

  • 박채연;하규수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9-133
    • /
    • 2023
  • 소상공업은 서민 경제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부분으로서, 일반 대중과 가까이에 있으며 경제 환경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다. 또한 수적인 측면과 고용창출의 측면에서 대기업 혹은 중소기업만큼 우리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소상공인의 창업과 폐업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창업률은 2.1%, 폐업률은 2.5%, 음식점 업종의 창업률은 2.8% 페업률은 3.1%로 조사되었다. 음식점 업종은 소상고인 폐업률이 가장 높은 업종이며, 음식점 중에서도 커피전문점은 창업률 3.2% 폐업률 4.5%로 창업과 페업이 빈번하게 반복되는 취약한 구조를 보인다. 이는 진입장벽이 낮은 업종은 대규모 소비시장이 아닌 특정 지역이나 계층에 대한 소규모의 무한한 시장을 형성하고 많은 자본이나 대규모 고용의 필요성이 낮다. 따라서 구체적인 사업계획서 없이도 창업하게 되어 운영을 위한 전문성이나 자금이 부족한 경우가 빈번하다. 소상공인으로 창업을 할 경우 창업프로세스가 전문성의 유무에 문제가 없기 때문에 용이하다. 그로인해 전문성이 없는 비전문가로 창업을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이다. 대기업이다. 프랜차이즈에 비해 마케팅 믹스활동이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고객이 인지하는 마케팅 믹스활동이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소상공인커피전문점의 마케팅 믹스활동을 중심으로 조사할 예정이다. 그리하여 비자발적 창업을 준비하는 커피전문점 소상공인에 시사점을 제공하여 창업 시 유의할 점을 파악하도록 할 것 이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한다. 대상은 소상공인을 이용하는 고객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마케팅믹스 7P's가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 PDF

통합적 마케팅커뮤니케이션 도구로써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역할 (A Study on the role of Online Brand Community as an IMC Tool)

  • 강용수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9권4호
    • /
    • pp.123-142
    • /
    • 2010
  • 온라인 브랜드커뮤니티는 그 내부에 광고, PR, 판매촉진, 판매촉진, 구전, 다이렉트마케팅을 다 담을 수 있는 중요한 마케팅 수단이다. 온라인 브랜드커뮤니티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가 어떻게 브랜드 충성도를 가져오는지를 직접적으로 연구한 것은 많지 않은데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다양한 촉진도구로써의 특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메카니즘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몇 가지 중요한 실무적,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첫째, 온라인 커뮤니티 내에서 광고 유용성은 소비자의 긍정적인 감정(체험)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하고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 내에서 소비자 간의 구전에 대한 신뢰는 커뮤니티에 대한 충성도 및 브랜드 신뢰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었다. 특히 구전에 대한 신뢰는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체험지각과 거의 비슷한 강도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커뮤니티 게시판에서 브랜드에 대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다른 소비자의 구전을 유도하고 보상하는 제도를 통해서 커뮤니티 충성도를 높이고 나아가 브랜드에 대한 신뢰를 심을 수 있는 온라인 촉진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결국,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는 소비자의 긍정적인 체험지각을 통해 그리고 신뢰있는 구전을 통해 브랜드 신뢰 및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IMC 도구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확장된 외식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태도가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iveness of Image and Attitude on Extension Brand Loyalty in the Foodservice Industry)

  • 권금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8권2호
    • /
    • pp.1-19
    • /
    • 2009
  • 많은 외식기업들은 시장에서 이미 성공한 브랜드를 무형의 자산으로 취급하고, 이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 브랜드확장을 이용하고 있다. 브랜드확장전략은 브랜드이미지를 강화하고 마케팅비용을 감소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가설 (H-1)에 해당하는 확장브랜드에 대한 이미지와 확장브랜드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계수 값이 0.43, t값이 4.21로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확장된 브랜드 이미지는 확장된 브랜드 태도에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 미친다. 둘째, 확장브랜드에 대한 태도와 확장브랜드의 충성도간의 관계(H-2)에 있어서도 계수의 값이 0.29, t값이 3.08로 나타나 확장브랜드에 대한 태도가 확장브랜드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 외식브랜드는 고객과 외식기업간의 단순한 거래의 수단이 아닌 지속적인 관계의 개념의 확장으로써 적용되는 상호작용적 수단으로 인식해야 한다. 특히 이미지와 태도, 그리고 재방문의도, 추천의도와 같은 충성도와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 조명한 부분은 이와 유사한 선행연구들의 이론적 한계를 극복할 하나의 이론적 실마리를 제공한다.

  • PDF

브랜드의 개인화된 마케팅이 MZ세대의 광고 회피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rand Personalized Marketing on Advertising Avoidance and Brand Loyalty of the MZ Generation)

  • 김익수;현병환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4호
    • /
    • pp.1-15
    • /
    • 2023
  • 본 연구는 MZ세대를 대상으로 브랜드의 맞춤형 광고의 광고 짜증, 개인정보 우려, 개인화 마케팅, 사회적 영향 등이 광고 회피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자 2023년 5월 10일부터 30일까지 20일간 전국의 MZ세대를 대상으로 한 400명에 대한 유효설문을 SPSS 28.0과 Smart PLS 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검증하 였다. 첫째, 광고 짜증은 광고 회피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브랜드 충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개인화 마케팅은 광고 회피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브랜드 충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개인정보에 대한 우려는 광고 회피와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적 영향은 광고 회피와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광고 회피는 광고 짜증과 브랜드 회피에 유의미한 매개 역할을 하였으며, 개인화 마케팅과 사회적 영향에는 유의미한 매개 역할을 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광고 회피와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와 브랜드의 마케팅 활동에 필요한 전략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의미가 있다.

소매 서비스 기업에서 브랜드만족과 점포충성도 관계: 점포만족, 브랜드신뢰 및 점포신뢰의 인과적 역할 (Relationships between Brand Satisfaction and Store Loyalty in Retail Service Firm: The Causal Role among Store Satisfaction, Brand Trust and Store Trust)

  • 박승환;최철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286-295
    • /
    • 2008
  • 본 연구는 점포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만족, 브랜드신뢰, 점포만족, 점포신뢰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점포충성도는 단순하게 브랜드나 점포 각각에 대한 만족과 신뢰 형성보다는 브랜드와 점포가 결합된 만족과 신뢰를 제공함으로써 강력한 점포충성도를 형성할 수 있었다. 또한 점포충성도 형성 과정으로는 관계지향적 고객의 경우 브랜드만족이 브랜드신뢰에 영향을 주고, 브랜드신뢰는 점포신뢰에 영향을 주어 점포충성도를 형성하였고, 거래지향적 고객의 경우 브랜드만족이 점포만족에 영향을 주어 직접적으로 점포충성도를 형성하는 두 가지 경로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관계지향적 고객에게는 소비자가 점포브랜드에 신뢰할 수 있도록 차별화할 수 있는 파워브랜드를 제공하여야 하고, 거래지향적 고객에게는 점포에 만족할 수 있도록 점포환경을 개선하고 서비스를 강화하여야 하는 마케팅시사점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