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브랜드 선호도

검색결과 330건 처리시간 0.032초

트랜스미디어 경험이 브랜드 이미지와 선호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카스 셀프스캐너 사례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Trans Media Experience on Brand Imag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 김신엽;권승경;백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643-653
    • /
    • 2017
  • 본 연구는 트랜스미디어의 관점에서 브랜드 경험이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선호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트랜스미디어 경험이란 여러 매체를 넘나들며 자신이 필요한 콘텐츠를 향유하는 행동을 말하는데 현재 디지털 컨버전스 환경에 따라 다양한 브랜드 경험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펼쳐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표적인 트랜스미디어 사례인 박카스 셀프 스캐너 체험자 119명을 대상으로 Smart PLS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브랜드 경험은 브랜드 선호도와 브랜드 이미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브랜드 선호도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브랜드 경험이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선호도의 매개적 효과뿐만 아니라 직접 효과로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증명했다는 점에서, 향후 브랜드 경험과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한·중 소비자의 글로벌브랜드의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관한 비교연구 - 부산과 상해 지역의 대학생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n Global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s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 -Focus on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nd Shanghai Area-)

  • 진남;김창경
    • 국제지역연구
    • /
    • 제12권2호
    • /
    • pp.227-250
    • /
    • 2008
  • 본 연구는 한 중 대학생소비자의 글로벌브랜드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도를 실증분석을 통해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글로벌브랜드의 선호도, 글로벌브랜드의 구매의도, 브랜드원산지이미지, 지각된 품질, 자민족중심주의성향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였다. 설문조사는 한국 부산과 중국 상해에서 재학 중인 대학생(5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SPSS ver.15.0과 AMOS ver.7.0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설문지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한국(부산)의 경우, 브랜드원산지이미지와 지각된 품질이 글로벌브랜드의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민족중심주의성향이 글로벌브랜드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글로벌브랜드의 선호도와 구매의도 간에도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상해)의 경우, 브랜드원산지이미지와 지각된 품질이 글로벌브랜드의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민족중심주의성향이 글로벌브랜드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글로벌브랜드의 선호도와 구매의도 간에는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패션브랜드개성이 브랜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정장, 캐주얼, 스포츠 브랜드의 비교 - (Impact of Fashion Brand Personality on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 Comparison among Formal, Casual, Sports Brands -)

  • 고은주;윤선영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4권
    • /
    • pp.59-80
    • /
    • 2004
  • 본 연구는 패션 제품은 사회심리적 속성이 강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Aaker의 일반적인 제품에 적용한 브랜드 개성 차원과는 다른 차별화된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패션 브랜드 이미지에서 추출한 브랜드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어휘들을 포함하여, 패션 브랜드 개성 차원을 도출하여 전체적 패션브랜드 개성 차원을 밝혔으며, 또한 패션 제품의 세분화 기준중의 하나인 복종별 (정장, 캐주얼웨어, 스포츠웨어)에 따라 패션 브랜드 개성요인은 어떻게 다르게 도출되는 지를 알아보았다. 이는 패션 제품 카테고리에 맞는 패션브랜드개성 차원을 개발함으로써 차별적 브랜드 마케팅 전략 수립 및 활용을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소비자들에게 있어 브랜드 개성차원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의 개성 차원들이 브랜드의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패션 브랜드 개성 차원은 유행/ 혁신성, 성실성, 보편/ 안정성, 전문성의 4 가지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복종에 따라 정장에서는 혁신/활동성, 안정성, 전문성, 보편성이, 캐주얼웨어에서는 유행/ 혁신성, 활동성, 성실성, 안정성으로, 스포츠웨어에서는 혁신성, 사교성, 성실성의 개성 차원이 도출되었다. 셋째, 패션 브랜드 개성 요인에 따라 소비자의 브랜드 선호와 구매의도의 영향력은 다르게 나타났다. 패션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는 성실성, 보편성, 전문성이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정장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는 전문성, 캐주얼웨어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는 활동성, 스포츠웨어 브랜드 개성 차원 중에서는 성실성이 선호도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전반적인 패션브랜드 개성과 정장 브랜드 개성에서는 선호도와 동일한 차원들이 각각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캐주얼웨어 브랜드 개성 차원에서는 유행/ 혁신성, 진실성, 안정성이 스포츠 브랜드 개성 차원에서는 혁신성이 각각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지자체의 관광자원 브랜드 자산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지자체의 관광자원 브랜드를 대상으로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 of Brand Equity on Brand Loyalty : Focusing on the Brand of Tourism Resources in Cities and Counties Level)

  • 이민재;이연주;서원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99-509
    • /
    • 2012
  • 본 연구는 지자체가 보유한 관광자원 브랜드의 개념을 정립하고, 방문객의 관광자원 브랜드에 대한 인식이 재방문과 타인 추천의사 등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관광자원 브랜드 구축 필요성과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지자체 관광자원 브랜드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관광자원 브랜드 자산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방문객 수를 기준으로 1천만 명 이상인 4개 지역과 2백만 명 이하인 4개 지역의 대표 관광지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된 410부를 회귀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 지역의 관광자원 브랜드 인지도와 이미지는 브랜드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의 관광자원 브랜드 인지도, 이미지, 선호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의 관광자원 브랜드 인지도는 브랜드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문객 만족의 영향하에서 브랜드 자산(인지도, 이미지, 선호도)은 브랜드 충성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결과들과 이를 바탕으로 한 관광자원 브랜드 구축 필요성 및 전략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브랜드자산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스포츠화 구매자의 관여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Brand Equity)

  • 김봉관;김태우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1권
    • /
    • pp.59-78
    • /
    • 2003
  • 본 연구는 브랜드자산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마케팅 요인들과 브랜드자산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들간의 관계를 검토함으로써, 브랜드자산이 고객의 심리적 과정 속에서 어떻게 형성되어지는가를 규명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서 스포츠화 단일 브랜드(나이키)구매자를 대상으로 사전연구(김봉관 등 2003)가 이루어졌는데, 분석결과 브랜드 자산 형성이 고객의 심리적 발전단계에 구조적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에 본 연구는 사전연구의 후속적 연구로서 소비자 관여수준에 따라 브랜드자산의 형성과정에 보이는 영향관계가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판단하여, 고 저 관여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브랜드자산의 형성과정을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광고는 고 저 관여 집단에서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관여 집단보다는 저관여 집단에서 강한 영향관계를 보였다. 판매촉진은 고 관여 집단에서는 브랜드 인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브랜드 이미지에는 부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집약도는 관여집단에서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이미지에 정(=)의 관계를 보였다.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선호도,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는 저관여 집단에서는 인지도와 선호도에서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지만, 고 저관여 집단에서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선호도,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선호도, 브랜드 선호도와 브랜드 충성도간에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브랜드 구성요소들간에 관계의 정도는 저관여 집단보다는 고관여 집단에서 더 강한 영향관계를 보였다.

  • PDF

브랜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어플리케이션 특성 요인에 관한 연구: 국내 남성복 브랜드를 중심으로 (Trait Factors of Smartphone Application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a Brand preference : Focusing on Domestic Men's Wear Brand)

  • 박민수;최광웅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1-7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패션 브랜드 선호도 향상에 미치는 어플리케이션 특성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패션 브랜드 어플리케이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어플리케이션 디자인, 콘텐츠, 사용용이성, 커뮤니티의 특성이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고, 그 결과 각 특성별 세부요인에 따라 유의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패밀리 레스토랑의 브랜드 심벌이 브랜드 이미지,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Family Restaurant's Brand Symbol on Brand Image, Preference, and Purchasing Intention)

  • 김기영;이용호;최동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3-46
    • /
    • 2011
  • 본 연구는 패밀리 레스토랑의 브랜드 심벌이 브랜드 이미지와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 결과, 브랜드 심벌을 시각적 기호로서 기능적 요소, 가치적 요소, 심미적 요소의 3가지 요인이 추출되었고 이중 기능적 요소와 심미적 요소가 브랜드 이미지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브랜드 이미지와 선호도는 다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브랜드 심벌에 대하여 그림이나 기호의 마크형보다는 기업명이나 브랜드명이 들어간 로고형을 선호하였고 TV광고보다는 옥외광고가 더욱 인지도를 높인다고 응답 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근거로 향후 브랜드 런칭 시 심벌에 대한 디자인은 앞에서 언급한 로고형 심벌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광고는 어느 한곳에 편중되지 않은 옥외광고와 TV광고가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 PDF

브랜드 경험(Brand Experience)디자인 시스템 개발사례 연구 -'정가(家)네곳간' 브랜드 개발사례 중심으로- (Case Study about BX(Brand Experience) Design System Development -Focusing on JUNGGANEGOTGAN Brand-)

  • 김성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38-46
    • /
    • 2018
  • 본 연구는 브랜드 경험(BX : Brand Experience) 기반의 브랜드 디자인 시스템 개발사례에 관한 연구로, 2018년 1월 - 4월에 진행된 정가(家)네곳간 브랜드 디자인 시스템 개발 사례를 토대로 연구 하였다. 브랜드의 경험은 소비자의 주관적이며 내적인 반응이며,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포함한 브랜드 디자인의 자극을 통해 발생하는 소비자의 반응이다. BX 디자인은 브랜드의 경험을 바탕으로 브랜드와 관련된 자극으로 브랜드디자인의 자극물과 소비자가 브랜드와 접촉을 통해 일어나는 반응이 서로 상호작용 함으로써 브랜드에 대한 경험이 발생한다. BX 디자인의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브랜드의 다양한 접점에서 소비자가 특정 브랜드에 대한 브랜드이미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특정 브랜드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BX디자인을 기반으로 진행된 정가(家)네곳간 브랜드 디자인 시스템의 개발 전략과 함께 최종 완성된 브랜드 디자인 시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정가(家)네곳간 브랜드 경험 디자인의 조형성과 연상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30.961, p<.001). 브랜드 디자인 선호도는 조형성(${\beta}=.443$, p<.001), 연상성(${\beta}=.218$, p<.001)순으로 브랜드 디자인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컬푸드와 브랜드의 이미지일치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local food brand image congruence for the intention of purchase)

  • 이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389-393
    • /
    • 2020
  • 세계적으로 로컬기반의 상품, 특히 농식품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데 비해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농식품에 대해서도 소비자들이 브랜드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어 로컬푸드와 로컬푸드 브랜드의 관계에 대해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로컬푸드를 대상으로 로컬푸드상품과 로컬푸드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일치성이 브랜드선호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 로컬푸드상품과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일치성이 강할수록 브랜드선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 선호가 강할수록 고객의 재구매의도도 높게 나타났다.

지각된 브랜드 이미지 유형이 브랜드 선호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에 관한 연구 -박카스 '나를 아끼자' 광고캠페인을 중심으로- (The Different Influence of the Types of Perceived Brand Image on the Brand Preference and Behavioral Intentions)

  • 김신엽;권승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548-558
    • /
    • 2017
  • 본 연구는 기업 브랜드 자산을 형성하는 주요개념인 브랜드 이미지와 관련하여 지각된 브랜드 이미지의 유형에 따라 브랜드 효과로서의 브랜드 선호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지각된 브랜드 이미지는 기업 브랜드가 추구하는 이미지에서 실제로 소비자가 지각하는 브랜드 이미지 유형으로 설정하고, 브랜드 선호도와 함께 행동의도로는 구매의도와 추천의도로 각각 결과변인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브랜드 이미지 유형은 크게 2가지로 '요인1(도전)'과 '요인2(신뢰)'로 추출되었으며, 군집분석을 통해 3개의 각 유형 별 집단을 확인하였다. 각 집단 별로 다르게 지각된 브랜드 이미지 유형은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 추천의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지각된 브랜드 이미지 유형 별 차이는 '도전 형', '신뢰 형', '통합 형'의 순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다소 광범위한 이론으로 분류되는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개념을 실제 소비자 지각 차원으로 접근하여 실무사례에 적용한 연구로서 실증적 가치를 지니며, 무엇보다 광고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 관리의 실무적 시사점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