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붉은 대게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초

게향 소재 개발을 위한 붉은 대게 자숙액 및 내장의 정미 성분 특성 (Characteristics of Taste Compounds of Red Snow Crab Cooker Effluent and Hepatopancreas for Developing a Crab-like Flavorant)

  • 차용준;조우진;정은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66-472
    • /
    • 2006
  • 붉은 대게 가공공정 중에 얻어지는 자숙액 및 내장의 천연 게향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정미성분을 포함한 신품학적인 특성을 분석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붉은 대게 자숙액을 $40\;^{\circ}Brix$까지 농축시키면서 관능 검사 및 냄새 특성 강도를 수행한 결과 $30\;^{\circ}Brix$가 가장 양호하였다. 그리고 붉은 대게 농축 자숙액$(30^{\circ}Brix)$과 내장의 불휘발성 유기산에서는 lactic acid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succinic acid이었다. 핵산 관련 물질은 IMP, Hx 및 GMP가 내장에서 대부분이었고, AMP, HxR, IMP 및 GMP 등이 자숙액에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내장의 유리 아미노산 총량은 농축 자숙액에 비해 5.6배나 많았다. 조성면에서는 methionine, lysine, arginine, valine, histidine, alanine, hydroxy proline 및 glycine 등 8종이 자숙액 전체 아미노산의 72%를 차지하였고, 내장에서는 methyl histidine, leucine, alanine, glutamic acid, glycine, valine, threonine, taurine, isoleucine 및 serine 등 10종이 전체의 74%를 차지하였다. 결론적으로 천연 게향 제조를 위한 소재로서는 $30\;^{\circ}Brix$ 농도의 붉은 대게 농축 자숙액에 0.5%(w/w)의 붉은 대게 내장을 첨가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효소분해의 의한 붉은 대게 자숙액의 품질 및 기능성 개선 (Improvement on the Quality and Functionality of Red Tanner Crab Cooking Drip Using Commercial Enzymes)

  • 강경태;허민수;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1022-1030
    • /
    • 2007
  • 붉은 대게 가공부산물로 이용도가 낮은 자숙액을 이용하여 효소 가수분해물의 제조를 시도하였고, 아울러 이의 맛, 영양 및 건강기능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붉은 대게 자숙액은 일반성분 및 안전성면에서 식품가공소재로 이용하여도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1단 가수분해물의 경우 TCA soluble index(TSI), ACE 저해능 및 항산화능을 고려하는 경우 Alcalase로 2.0시간 반응시켜 제조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였다. 붉은 대게 자숙액 유래 Alcalase 1단 가수분해물을 기질로 하여 Flavourzyme, Neutrase 및 Protamex로 각각 2시간씩 연속적으로 가수분해시킨 2단 가수분해물의 ACE 저해능 및 항산화능은 1단 가수분해물에 비하여 유사하거나 약간 우수하여 2단 가수분해의 필요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붉은 대게 자숙액에 비하여 이를 Alcalase 처리한 가수분해물의 경우 일반성분 및 색조는 차이가 없었으나,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와 같은 맛에 관여하는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증가하였다. 붉은 대게 유래 Alcalase 처리 가수분해물의 아미노산 함량은 11,859.6 mg/100 mL이었고,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10.2%), proline(10.1%) 및 glycine (10.7%) 등이었다.

게 페이스트 첨가 연제품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urimi Gel with Red-tanner Crab (Chionoecetes japonicus ) Paste)

  • 김혜숙;최승걸;박찬호;한병욱;양수경;강경태;오현석;허민수;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103-1108
    • /
    • 2005
  • 붉은 대게는 소비자의 기호도가 높으나 생산량이 적고, 감소 추세에 있으며 수율이 낮아 이의 완전 이용이 절실하다 이러한 일면에서 붉은 대게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붉은 대게 페이스트(paste)를 이용한 천연 게살 함유 게 연제품의 제조를 시도하였다. 게 페이스트 첨가비율에 따른 연제품의 일반성분, 색조(명도 및 적색도), 조직감 및 관능검사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붉은 대게 페이스트를 이용한 연제품의 제조시 게 페이스트의 최적 첨가비율은 $10\%$정도로 판단되었다. 붉은 대게 페이스트를 $10\%$ 첨가하여 제조한 게 연제품은 무첨가 연제품에 비하여 구성아미노산의 경우 총 함량 및 주요 아미노산의 종류는 차이가 없었으나, 함황 아미노산의 함량은 높아 게 특유의 향을 인지할 수 있으리라 판단되었다. 또한 붉은 대게 첨가 연제품은 무첨가 연제품에 비하여 무기질의 경우 칼슘이 훨씬 강화됨과 동시에 인과의 비율이 개선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붉은 대게 페이스트로 연제품을 제조하는 경우 기존의 인공향 및 색소첨가 게맛살과는 판이하게 다르면서 칼슘 강화 건강 기능성 천연 게 가공품을 제조할 수 있으리라 판단되었다.

식품가공소재로서 게 페이스트의 식품성분 특성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Red-tanner Crab (Chionoecetes japonicus) Paste as Food Processing Source)

  • 김혜숙;박찬호;최승걸;한병욱;강경태;심남혁;오현석;김진수;허민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077-1081
    • /
    • 2005
  • 붉은 대게는 소비자의 기호도가 높으나 생산량이 적고, 감소 추세에 있으며 수율이 낮아 이의 완전 이용이 절실하다. 이러한 일면에서 붉은 대게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붉은 대게 페이스트(paste)의 식품성분 특성 및 게 연제품의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붉은 대게 페이스트는 육에 비하여 단백질 함량은 낮았고, 칼슘과 같은 기능성 성분이 다량 함유된 회분 및 조지방은 높았으며,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은 8.4mg/100g으로 가공 원료로 이용 가능한 범위이었다. 또한, 붉은 대게 페이스트의 경우 육에 비하여 구성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은 크게 차이가 없었고, 칼슘함량은 휠씬 많았다. 붉은 대게 페이스트를 surimi에 대하여 $15\%$ 첨가하여 연제품을 제조한 다음, 이를 무첨가 제품에 대하여 색조, 조직감 및 향을 비교한 결과 색조 및 향의 경우 첨가 제품이 우수하였고, 조직감의 경우 두 제품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게 페이스트는 게 연제품의 기호성 증대 이외에 영양 및 기능성 강화 소재로 사용 가능하리라 판단되었다.

고압 가열 추출 방식을 이용한 생선 육수, 붉은 대게 육수, 대게 육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ish, Crab and Red-Crab Stock Prepared by High Pressure Extract Method)

  • 배금광;변광인;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93-304
    • /
    • 2007
  • Using the high-pressure heating extraction process suitable for mass-production, crab stock(CS), red crab stock(RCS) and fish stock(FS) were manufactured and their quality and organic features were compa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mineral content, the content of essential amino acids, the content of delicious amino acids and preference, CS and RCS were rated higher than FS, and especially RCS had the most abundant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and had the highest rating in organic evaluation. Also, in terms of cost, RCS was more economical than regular CS, which is relatively expensive.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replacing fish bones with RCS in making stock will be more cost-saving and have higher preference.

  • PDF

남·북·일 붉은 대게 산업협력 (South·North Korea, Japan Red Snow Crab Industry Cooperation)

  • 엄경호
    • 수산경영론집
    • /
    • 제49권3호
    • /
    • pp.1-14
    • /
    • 2018
  • This study focuses on red snow crabs for fisheries cooperation in South Korea, North Korea, and Japan. South Korea, North Korea, and Japan have had experience in promoting red snow crab fisheries cooperation. However, this cooperation is now discontinued. South Korea, North Korea, and Japan are required to play a role in mediating South Korea in order to promote red snow crabs fisheries cooperation. South Korea has the capacity to carry out economic intervention in North Korea and Japan. This is even more so in the red snow crabs. On the other, South Korea, North Korea and Japan's red snow crabs fisheries cooperation can develop into Northeast Asian fisheries cooperation including Russia and China. This can be done through the major fisheries of the East Sea, the squid and the alaska pollocks. The role of the Korean peninsula is important in Northeast Asian fisheries cooperation.

붉은 대게 가공부산물 농축중의 휘발성 향기성분 변화 (Changes in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Red Snow Crab Chionoecetes japonicus Cooker Effluent during Concentration)

  • 안준석;조우진;정은정;차용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37-440
    • /
    • 2006
  • To develop natural crab-like flavorants from red snow crab Chionoecetes japonicus cooker effluent (RSCCE), the flavor was analyzed during the concentration of RSCCE up to $40^{\circ}Brix$. Using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gas chromatography (GC)/mass selective detection (MSD), 30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detected in four RSCCE samples (10, 20, 30, and $40^{\circ}Brix$). These comprised 12 aromatic compounds, 5 N-containing compounds, 2 5-containing compounds, 2 alcohols, 2 aldehydes, and 7 miscellaneous compounds. The amounts of all volatiles except alcohols and aldehyde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concentration (p<0.05). Of the volatiles detected, the most abundant was a dimethyl trisulfide with an odor like onion/cooked cabbage. Of the N-containing compounds (nutty, roasted peanut-like odor), 2-ethyl-5-methylpyrazine was the most abundant, followed by 2,5-dimethylpyrazine and 2-methyl-5-isopropylpyrazine in that order (p<0.05). The N- and S-containing compounds with characteristic odors detected in this experiment are thought to play a positive role in RSCCE during concentration.

천연 게 향료 제조를 위한 농축 붉은 대게 가공 자숙액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ed Red Snow Crab Chionoecetes japonicus Cooker Effluent for Making a Natural Crab-like Flavorant)

  • 안준석;김훈;조우진;정은정;이희영;차용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31-436
    • /
    • 2006
  • This study was red snow crab Chionoecetes japonicus cooker effluent (RSCCE) for making a natural crab-like flavorant. The RSCCE ($1\;^{\circ}Brix$ in the initial state) was concentrated up to $40^{\circ}Brix$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for making a natural flavorant. During concentration, the amino-N content and total acidity increased with the concentration time, while the pH was maintained in range 7.94-8.78. In the acceptance test and quantitative description analysis (QDA), $20^{\circ}Brix$ RSCCE had the best quality in terms of taste (5.87), odor (6.00), and overall acceptance (5.80). Of the taste compounds analyzed in $20^{\circ}Brix$ RSCCE, lactic acid was an abundant non-volatile organic acid, and the nucleotide 5'-inosine monophosphate (IMP) was present, as were four free amino acids: tyrosine, glutamic acid, alanine and glycine. The taste and odor of boiled crabmeat were retained in $20^{\circ}Brix$ RSCCE based on the QDA.

붉은 대게 껍질을 이용한 소스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Sauce by using Red Crab Shell)

  • 성태종;최수근;변광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67-680
    • /
    • 2008
  • The moisture contained in conventionally extracted red crab shell samples was lower than than in samples extracted using high pressure. In contrast, ash content increased as the extraction time increased and displayed no significant variation in high pressure extraction. Extraction time was influential, with lower lightness (L-value) being obtained in samples extracted at high pressure as compared to traditional extraction. However, large variation in a- and b-values resulted from traditional extraction. For both traditional and high pressure extraction increases in pH, salinity and saccharide content were noted with increasing extraction time, but these parameters did not vary substantially in red crab shell extracted at high pressure. The mineral content in samples extracted by high pressure was higher than in traditionally extracted samples. The mineral content increased with time, with marginally higher contents of essential amino acids and flavor enhancing amino acids noted following high pressure extraction. The contents of the flavor enhancing amino acids increased from 30?60 min, thereafter decreasing. Assessment of consumer acceptance revealed that, while traditionally manufactured red crab sauce was popular, sauce manufactured using a 60 min high pressure extraction was preferred. Extending the high pressure extraction time to 75 min produced a less sensory acceptable product, due to higher mineral and protein levels.

갑각류부산물을 이용한 키틴의 제조 및 이용에 관한 연구 1. 키틴, 키토산 및 미세결정화 키틴의 기능특성 (Utilization of Chitin Prepared from the Shellfish Crust 1. Functional Properties of Chitin, Chitosan, and Microcrystalline Chitin)

  • 안창범;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5-50
    • /
    • 1992
  • 폐기되고 있는 수산부산물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식품산업의 학술적 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6종의 갑각류의 갑각을 회수하여 키틴, 키토산 및 미세결정화키틴을 제조하여 이들 성간의 기능특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제조된 키틴, 키토산 및 미세결정화키틴들의 겉보기체적, 수중침정체적, 보수력 및 지방흡수력은 각각 $3.1\pm0.1-27.0\pm0.2ml/g,\;5.1\pm0.1-45.0\pm0.2ml/g,\;318\pm40-2,382\pm12g/100g$$235\pm20-2,169\pm20g/100g$의 범위였고 크릴껍질로 만든 키틴과 키토산의 겉보기체적, 수중침정체적, 보수력 및 지방흡수력이 가장 컸다 키틴과 키토산은 유화성이 없었고 미세결정화키틴만이 유화성이 있었다. 5종의 미세결정화키틴의 유화성은 $18.2\pm4.0-50.1\pm2.5\%$, 유화 안정성은 $15.2\pm3.5-31.1\pm1.0\%$의 범위였다. 색소흡착능은 붉은대게의 각피로 제조된 미세결정화키틴이 가장 좋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