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붉나무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8초

붉나무 추출물과 몇가지 synergist를 첨가한 기름 튀김 식품의 저장 안정성 비교 (Stability of Some Fried Foods Prepared with Oils Containing Rhus javanica $Linn{\acute{e}}$ Ethanol Extract with Several Synergists)

  • 신동화;이연재;장영상;강우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47-551
    • /
    • 1992
  • 항산화 효과가 있는 붉나무 에탄올 추출물과 몇 가지 synergist를 팜유에 첨가, 라면 제조용 기름으로 사용하였고 같은 항산화제를 넣은 팜유 및 돈지로 감자 후레이크를 제조, $60^{\circ}C$에 저장하면서 함유된 유지의 POV, TBA 그리고 제품의 관능검사를 통하여 산화안정성을 비교, 제품을 평가하였다. 라면의 경우 저장 20일 경과 후 추출한 기름의 POV는 상업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표준구(tocopherol 200ppm+citric acid 35 ppm)보다 붉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경우가 상당히 낮았으며 특히 synergist로 ascorbic acid와 tocopherol이 우수하였고 냄새에 의한 관능검사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감자 후레이크에서도 항산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팜유를 이용한 경우 저장 9일에서 POV가 12.48이었으나 붉나무 추출물 600 ppm에 ascorbic acid 200 ppm을 첨가한 경우 5.97에 불과하였고 TBA 결과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돈지를 이용한 감자 후레이크에서는 붉나무 추출물만을 600 ppm 첨가한 경우 저장 9일에서 무첨가구에 비하여 약 6배의 산화 억제 효과가 있었고 TBA도 비슷한 경향이었다. 붉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팜유보다는 돈지에서 월등히 높았다.

  • PDF

붉나무(Rlus javanica)에서 오배자 형성과 발육에 관한 연구 (Study on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chlechtendalis chinensis Gall in Rhus javanica)

  • 이상명;이동운;박지두;김종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3-87
    • /
    • 1997
  • 붉나무에서 오배자면충의 오배자 형성 기작과 오배자면충의 발육 및 붉나무 잎 부위별 오배자 형성수를 조사한 결과, 오배자면충의 간모 출현에 의한 충영(오배자)형성 시기는 6월 중순이었으며 간모는 미성숙된 입엽의 뒷면에 정착기생한 뒤 반대방향으로 융기하여 충영을 형성하였다. 오배자는 9월 중순부터 급격히 발육하였으며 면충의 밀도가 많음에 따라 오배자의 무게도 무거웠다. 붉나무에서 오배자면충의 충영 형성 부위는 정엽에서 가까울수록 많았으며 복엽상에서는 익엽이 95.8%를 차지하였다.

  • PDF

식용유지에 대한 붉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Rhus javanica $Linn\'{e}$ on Edible Oil)

  • 최웅;신동화;장영상;신재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20-325
    • /
    • 1992
  • 천연 항산화 물질을 분리하고자 식용 또는 한약재로 이용되는 붉나무를 75% ethyl alcohol로 항산화 성분을 추출하여 chloroform, ethyl acetate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separatory funnel, column chromatography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였다. 붉나무 추출물중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은 ethyl acetate와 chloroform에 잘 용해되는 물질로, ethyl acetate로 분리한 분획물을 팜유에 600 ppm 첨가시 AI는 1.60, 돈지에서는 AI가 3.90으로 이들 용매로 분리한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는 붉나무 추출 원액보다 높은 현상을 보였다. 붉나무 추출물을 팜유, 돈지 및 대두유에 농도별로 첨가하여 $60^{\circ}C$에 저장하면서 POV, AV 및 TBA가를 측정하여 이들 유지에 대한 산화안정성을 시험한 결과 Rancimat test 결과와 비슷하여 팜유에는 항산화 효과가 뚜렷하였고, 돈지에는 탁월한 결과를 보였다.

  • PDF

붉나무 1년생 용기묘의 시비수준별 묘목품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Seedling Quality of Rhus javanica L. 1-year-old Container Seedling by Fertilization Level)

  • 김양수;김상근;엄정숙;김근식;송기선;이재선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4-74
    • /
    • 2022
  • 본 연구는 붉나무의 기능성 성분의 산업화 활용을 위한 고품질의 붉나무 1년생 용기묘 대량생산을 위해 실시되었다. 붉나무 1년생 용기묘의 묘목품질의 향상을 위해 다양한 농도의 시비처리하여 우량묘 생산에 적합한 시비수준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시비실험은 무시비구 포함하여 수용성 복합비료 (N:P:K=20:20:20, v/v)를 1,000mg·L-1, 2,000mg·L-1, 3,000mg·L-1 수준으로 실시하였다. 시비처리는 붉나무 용기묘의 간장과 근원경 생장은 1,000mg·L-1 시비처리구에서 생장이 가장 좋게 나타났으며 시비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뿌리형태 특성분석에서도 전체뿌리길이, 투영단면적, 표면적 및 뿌리부피가 간장과 근원경 생장과 동일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건물 생산량은 부위별 잎, 줄기, 뿌리 및 전체가 모두 1,000mg·L-1 시비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이상의 시비수준에서는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H/D(Hight/Root collar diameter)율은 전체가 3.82(무시비구) ~ 4.90, T/R(Top/Root)율은 전체가 0.56(1,000mg·L-1 시비처리구) ~ 0.82로 조사되었다. 시비처리 에 의한 붉나무의 LWR(Leaf dry weight ratio)은 무시비구, SWR(Shoot dry weight ratio)은 3,000mg·L-1 시비처리구, 그리고 RWR(Root dry weight ratio)은 1,000mg·L-1 시비처리구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묘목품질지수(QI)의 경우 1,000mg·L-1 시비처리구에서 12.13으로 다른 시비수준들보다 월등히 높았다. 본 실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뿌리발달이 좋은 우량한 붉나무 생산에 적절한 시비수준은 1,000mg·L-1 정도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붉나무 열매 추출물의 항균효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Rhus javanica L fruit)

  • 장덕영;양재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45-15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붉나무 열매 Ethanol extract(ET)과 Ethyl acetate fraction(EA) 및 Butanol fraction(BT)을 천연보존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항균활성을 측정 하였다. 항균활성은 Staphylococcus aureus(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E. coli), Pseudomonas aeruginosa(P. aeruginosa), Candida Albicans(Candida. A)에 대하여 Paper disc법으로 생육저해환과 최소저해농도(MIC)를 평가하였다. Paper disc법으로 생육저해환을 측정한 결과 ET, EA, BT 모든 시료에서 S. aureus, S. epidermidis, E. coli, P. aeruginosa 균주에서 생육저해환이 관찰되었고 BT에서는 Candida. A 균주에 대한 생육저해환이 추가로 관찰 되었다. MIC 측정결과 EA 시료가 S. aureus, S. epidermidis, E. coli, P. aeruginosa 대하여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붉나무 열매 추출물이 다양한 항균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어 화장품에서 천연보존제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 된다.

붉나무의 부위 별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arts of Rhus javanica L.)

  • 최지수;한상돈;장태원;이승현;박재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2호
    • /
    • pp.195-202
    • /
    • 2019
  • 붉나무(Rhus javanica L.)는 동아시아에서 주로 분포하는 옻나무과의 식물이다. 붉나무의 잎, 줄기, 뿌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였다. 붉나무 뿌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62.9, 70.3, 73.9 mg/g으로 나타났다. HPLC/PDA 분석을 통해 gallic acid를 동정 및 정량하였다. LPS로 자극시킨 RAW264.7 세포에서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였다. iNOS의 발현 억제를 통한 NO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gallic acid를 포함하고 있는 붉나무는 염증 질환의 효과적인 경감 및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으며, 붉나무 뿌리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활성이 잎과 줄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활성보다 뛰어났다.

붉나무의 수령, 서식지 및 기생위치에 따른 오배자 형성 (Gall formation on different age, habitat, and parasite position in Rhus javanica L.)

  • 조형찬;한광수;안은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04-311
    • /
    • 2000
  • 붉나무의 수령 및 환경요인에 의한 오배자 생성 영향, 오배자의 생성과정과 오배자면충의 밀도변화, 붉나무 잎의 위치에 따른 오배자 형성부위, 그리고 오배자면충을 인공적으로 접종하여 오배자의 생성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붉나무의 수령에 따른 오배자의 생성은 3개 지역 공히 평균 11-15년 경과된 나무에서 가장 많은 오배자 형성율과 개체수를 나타낸 반면, 1-5년 경과된 나무에서 가장 적은 오배자 형성율과 개체수를 보였다. 붉나무 서식방향에 따른 오배자 형성 개체는 동쪽, 남쪽, 북쪽, 서쪽 순으로 많은 수를 나타내었다. 붉나무의 식생과 오배자의 생성관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도로변에 서식하고 있는 붉나무에서는 오배자 형성을 볼 수 없었던 반면, 계곡에 이끼가 서식한 습한 곳에서는 많은 오배자가 형성되었다. 오배자의 생성과정을 보면 5월 초순경 붉나무잎 뒷면 엽출날개에 기생하면서 8월 초순까지는 적은 혹을 형성하다가 8월 중순에 충영이 급격히 크게 형성되면서 월동을 위해 탈출직전인 9월 하순에 가장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오배자면충 밀도는 오배자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현상을 보였다. 붉나무 잎의 위치에 따른 오배자 형성부위는 정소엽을 기준으로 제 2 엽축날개에서 가장 많은 충영이 형성되었으며, 잎의 앞면과 복엽에는 거의 형성되지 않은 반면 엽축날개에 94%가 형성되었다. 자연 환경속에서 오배자를 형성할 수 없는 붉나무의 군락지에서 인공적으로 오배자면충을 접종하였을 경우 오배자를 생산할 수 있었으며, 오배자의 발육과정 중 일부는 발육하지 못하고 소멸되는 것도 있었다.

  • PDF

항산화 효과가 있는 붉나무 추출물의 몇가지 synergist 첨가 효과 (Synergistic Effect of Rhus javanica Linne Ethanol Extract Containing Several Synergist)

  • 장영상;최웅;신동화;신재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9-153
    • /
    • 1992
  • 항산화 효과가 화인된 붉나무 에탄올 조추출물 및 용매별 분획물에 ascorbic acid, citric acid, tocopherol, phosphoric acid, lecithin, phytic acid 등을 혼합, 괌유, 돈지, 대두유에 넣어 산화방지 효과를 Rancimat test에 의하여 비교하였다. 팜유에 붉나무 조추출물과 인산을 각각 200ppm 첨가시, 유도기간은 무첨가구에 비해 2.89배 증가했으며. 붉나무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물 200ppm과 인산 200ppm을 첨가했을 때 유도기간은 4.18배, 같은 조건에서 chloroform 분획물은 2.48배의 유도기간 연장 효과가 있었다. 돈지의 경우 chloroform 분획물 600 ppm과 ${\delta}-Tocopherol\;200ppm$을 첨가한 경우 13.41배의 산화지연 효과를 나타내었다. 붉나무 분획물과 synergist를 팜유와 돈지에 각각 200ppm색 첨가하여 $60^{\circ}C$에 저장하연서 POV, AV 및 TBA가를 측정한 결과, 팜유의 경우 저장 27일후 무첨가구의 과산화물가는 98.3meq/kg인데 비해 ethyl acetate, chloroform 분획물에 인산을 첨가한 처리구의 과산화물가는 각각 8.9meq/kg, 9.14meq/kg으로 과산화물의 생성을 현저하게 억제 하였으며, 이에따라 산가와 TBA 가도 무첨가구 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돈지에서의 과산화물가는 무첨가구가 161.1 meq/kg인데 비해 ethyl acetate, chloroform 분획물에 tocopherol을 첨가한 처리구는 각각 20.0meq/kg, 10.7meq/kg으로 과산화물의 생성을 크게 억제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산가나 TBA 가도 무첨가구보다 훨씬 낮아 팜유에서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붉나무 수피로부터 항산화 물질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Bark of Rhus javanica Linne)

  • 오지영;최웅;김용석;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26-732
    • /
    • 2003
  •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붉나무 수피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을 팜유와 돈지를 기질로 하여 Rancimat 방법으로 확인하였고, 클로로포름 추출물을 column chromatography, thin layer chromatography 및 NMR 등을 통하여 물질을 분리, 동정하였다. 또한 이들 분리물을 각종 유지에 첨가하여 상업용 항산화제와 그 활성을 비교하였다. 붉나무 수피로 부터 80% 메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얻은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과 추출 수율이 높았고 용매 분획시 클로로포름 분획물이 돈지와 팜유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붉나무 수피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회분 R18-9-3-2-4-2가 단일물질로 분리되었고 이 물질의 AI는 돈지와 팜유에서 각각 13.01과 3.06으로 매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단일물질로 분리된 R18-9-3-2-4-2는 $^1H-NMR,\;^{13}C-NMR$에 의해 methyl gallate로 동정되었으며, $^1H-NMR,\;^{13}C-NMR$ 분석 결과 methyl gallate 표준물질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획분 R18-9-3-2-4-2과 methyl gallate(authentic)는 ${\alpha}-,\;{\delta}-tocopherol$, BHA, BHT보다 돈지와 팜유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붉나무 수피 에탄올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에서 분리한 물질은 현재 항산화제로 사용 중인 BHA, BHT, tocopherol 보다 그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여 새로운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