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불화나트륨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1초

수돗물 불소화 및 불소양치사업에 사용되는 불소화합물의 금속 오염도 (Metal contamination of fluorides used for municipal water fluoridation and mouth rinse)

  • 이은희;송현주;안혜원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1년도 춘계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 /
    • pp.135-135
    • /
    • 2001
  • 수돗물 불소화사업이란 치아우식증 (충치)을 예방할 목적으로 0.8ppm의 불소를 수돗물에 첨가하는 공중보건사업이며, 수돗물 불소화사업이 시행되지 않고 있는 서울시내 초등학교에서는 1995년부터 불화나트륨용액 (0.2%용액으로 매주 1회 또는 0.05%용액으로 매일 1회)으로 불소양치를 실시하고 있으며, 서울시 일부 보육시설에서는 만4세-6세의 취학전 아동을 대상으로 불소용액양치사업 (0.25% 용액)을 1997년부터 실시하고 있다. (중략)

  • PDF

불화나트륨 바니쉬의 도포 주기에 따른 백색 병소의 재광화 효과 (REMINERALIZATION EFFECT OF SODIUM FLUORIDE VARNISH ON WHITE LESION BY APPLICATION INTERVALS)

  • 이은희;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03-411
    • /
    • 2010
  • 본 연구는 불소 바니쉬의 백색 병소에 대한 치료 효과를 도포 기간, 빈도 등에 따라 미세경도와 병소 면적 변화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을 위해 대구치의 치관부를 이용해 레진 블록을 제작하였다. 불소 도포 주기에 따라, 1주군(I군), 2주군(II군), 3주군(III군)으로 분류하여 군당 15개의 시편을 배정하였다. 시편은 카보폴 907을 이용한 인공우식용액에 15일간 침지하여 탈회시켰으며, 이후 인공타액에 넣어 $37^{\circ}C$ 항온기에 보관하였다. 탈회 전, 탈회 후, 불소 도포 후 미세경도와 병소 면적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미세경도 값은 I군과 비교하여 II군과 III군에서 약 2배의 증가율이 관찰되었으며, I군과 II군, I군과 III군 사이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으나(p<0.05), II군과 III군 사이에서는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p>0.05). 2. 색조 측정기를 이용해 관찰한 병소 면적의 변화는 I군과 II군, III군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불소 바니쉬 도포를 통해 백색 병소의 양적, 질적 개선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되며, 2주 이상의 주기로 도포를 시행하였을 때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체외에서 배양된 구강 내 정상세포에 불화나트륨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dium fluoride on oral normal cell cultured in vitro)

  • 최별보라;김다혜;김지영;박상례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71-477
    • /
    • 2016
  • Objectives: Fluoride is widely used in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dental ca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iological effects of Sodium fluoride on the proliferation of oral normal cell in vitro(MDPC-23, HaCaT, HGF-1 cells). Methods: The proliferation of normal cells and the cyto-skeletal change of normal cells were assessed by WST-1 assay and F-actin stain assa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s of the resulting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dow 12.0). Results: The sodium fluoride(0-12 mM) treatment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in a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 HaCaT(6 h): $100{\pm}0$, $98{\pm}0.39$, $82{\pm}2.68$, $75{\pm}0.83$, $69{\pm}1$, $67{\pm}1.42%$(p<0.005); HaCaT(24 h): $100{\pm}0$, $98{\pm}1.85$, $54{\pm}0.64$, $43{\pm}0.4$, $38{\pm}0.32$, $36{\pm}0.13%$(p<0.006), MDPC-23(6 h): $100{\pm}0$, $93{\pm}1.48$, $85{\pm}0.28$, $82{\pm}1.58$, $79{\pm}1.48$, $76{\pm}1.93%$(p<0.009); MDPC-23(24 h): $100{\pm}0$, $91{\pm}1.26$, $58{\pm}0.65$, $49{\pm}1$, $44{\pm}0.74$, $2{\pm}0.05%$(p<0.005), HGF-1(6 h): $100{\pm}0$, $97{\pm}2.93$, $89{\pm}5$, $71{\pm}5.42$, $58{\pm}4.82$, $43{\pm}3.47%$(p<0.009); HGF-1(24 h): $100{\pm}0$, $97{\pm}2.05$, $73{\pm}1.73$, $22{\pm}1.61$, $14{\pm}1.73$, $7{\pm}0.85%$(p<0.005). Thus, changes in cell morphology and disruption of filamentous(F)-actin organization were observed in higher concentra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er concentrations of fluoride lead to a reduce the number of cells and morphology change of normal cell.

양극산화로 제작된 이산화티타늄 나노튜브 박막을 이용한 휴믹산 제거 (Removal of Humic Acid Using Titanium Dioxide Nanotube Thin Film Fabricated by Anodization)

  • 윤동민;장준원;박재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39-344
    • /
    • 2008
  • 티타늄 박막을 1 M의 황산나트륨 수용액과 0.5 wt%의 불화나트륨에 의해 제조된 전해질 용액에 담지하고 전기화학적 양극산화법으로 약 20분간 20$^{\circ}C$의 온도로 수행하여 티타늄다이옥사이드 나노튜브 필름을 제작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과 X선회절분석기를 이용하여 각각 미세구조와 결정구조를 측정하였으며, 나노튜브의 직경은 대략 100 nm 정도이고, 길이는 1 $\mu$m 정도로 나타났다. 이 후 티타늄다이옥사이드 나노튜브는 450에서 풀림공정을 수행하였으며, 아나타제 결정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제작된 나노튜브 박막을 이용하여 물에 용존된 휴믹산의 제거실험을 수행하였으며 Langmuir-Hinshelwood kinetic 0차 반응의 경향을 보였으며, 약 0.3 g 정도의 파우더형 광촉매와 같은 효율을 보였다.

CONTINUOUS ARCHWIRE의 FORCE SYSTEM에 대한 3차원 유한 요소법적 연구 (THREE DIMENTIONAL FORCE ANALYSIS OF FORCE SYSTEM IN CONTINUOUS ARCHWIRE BY FINITE ELEMENT METHOD)

  • 노준;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7-32
    • /
    • 1996
  • 여러가지 교정장치 중에서 고정성 장치는 개개치아의 이동에 있어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이므로 그 작용기전과 역학적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정성 장치의 탄선형태는 크게 continuous arch, segmented arch, sectional arch로 나누어 볼수있는데, segmented arch나 sectional arch는 힘의 작용점이 단순하고 interbracket distance도 길어 술자 임의대로 force system 조절이 가능한 반면 continuous arch에 서는 bracket geometry가 다양하고, interbracket distance가 좁아 force system의 조절이나 그 역학적 분석이 어려운게 사실이다. 저자는 공학에서의 3 dimensional elastic beam이 continuous arch의 형태와 유사한 점에 착안하여 continuous arch 의 force system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형상을 갖는 3개의 bracket geometry를 표본형상으로 설정하고 기울기, 변위 및 interbracket distance에 따른 힘과 moment의 변화양상을 분석하고, 저자가 임의로 제작한 불규칙한 치아배열을 갖는 3차원 모형을 일례로하여 0.016 NiTi archwire를 bracket내에 삽입했을 때 발생되는 초기 힘과 moment를 분석 비교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Bracket의 변위 또는 기울기에 따라 나타나는 힘의 양상이 선형 대칭적인 비례관계를 보였다. 2. Interbracket distance에 따라 나타나는 힘의 양상은 비선형 대칭적인 반비례관계를 보였다. 3. 3차원 모형에서 bracket 형상이 비교적 단순한 부위에서는 표본형상과 비교분석이 가능했지만 인접치의 형상이 복잡한 부위에서는 표본형상의 예측량보다 힘이 크게 발생 되었다.나타나지 않았다. 하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는 하악 절치의 MD/FL index와, 상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는 측절치의 MD/FL index에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정상군과 밀집군의 각 계측항목의 t-검정 결과 하악의 arch length discrepancy, overbite에서만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검사에서 Plaque Index(p<0.01)와 Gingival Index(p<0.001)가 상당히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겔형 불화주석군에서 한 증례는 미미한 치관착색을, 두 증례는 보통정도의 치관착색을 보였다. 치아탈회 연구에서는 겔형 불화주석군과 불화나트륨 양치액군이 치료후 치아탈회값에서 치료전 치아탈회값을 뺀 치아탈회값이 대조군에 비해 구강전체및 제1대구치에서 현저하게 낮은 값(p<0.05)을 보였다. 비록 겔형 불화주석군이 불화나트륨 양치액군보다 일관되게 낮은 치아탈회값을 보였을지라도 통계적으로 그 차이는 단지 유의성을 보이는 정도였다.는 골기질의 주성분인 type I 교원질의 합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기능과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을 크게 증가시키지 못한 점 등으로 미루어 볼 때, 골개조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으며, 교정치료 과정중 골개조를 억제하는 부위에서 사용을 시도해 볼 수 있겠다.>신뢰구간은 상악에서 정상교합군은 $79.5-81.0\%$, 비발치군은 $81.6-84.9\%$, 발치군은 $70.1-72.2\%$로 나타났으며, 하악에서 정상교합군은 $79.8-82.2\%$, 비발치군은 $82.1-85.5\%$, 발치군은 $73.1-75.1\%$로 나타났다. 7. 최대치아근원심폭경합, 기저악궁폭경, 기저악궁장경, 최대치아근원심폭경 합에 대한

  • PDF

졸-겔법으로 Y$Ba_2$$Cu_3$$O_{7-x}$ 에 불소첨가 (Fluorination of Y$Ba_2$$Cu_3$$O_{7-x}$ by Sol-Gel process)

  • 김봉흡;강형부;김현택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4권4호
    • /
    • pp.330-337
    • /
    • 1991
  • y의 크기가 0.02에서부터 2.0까지의 두 차수만큼 변하게 불소가 첨가된 YBa$_{2}$Cu$_{3}$$O_{7-x}$F$_{y}$ 초전도물질을 금속질산염과 수산화나트륨 및 불화나트륨을 써서 졸-겔법으로 제조하였다. 불소함유양들을 이온-선택 전극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반응물질로 첨가된 불소전부가 최종시료속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았다. XRD 관측으로부터 y.leq.0.2인 시료들은 단지 단상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로 되었고 반면 y.geq.0.5인 것들은 최종시료속에 BaF$_{2}$ YF$_{3}$및 CuO와 같은 화합물들과 함께 생성되어져 있다고 결론지을 수가 있다. 더구나 고체 $^{19}$ F 핵자기공명관측이 불소가 정말로 격자위치들 속에 혼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행해졌는데 실험결과로부터 YBa$_{2}$Cu$_{3}$$O_{7-x}$ 격자위치속에 혼입된 불소의 몰비는 화합물 1몰당 약 0.2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전기저항률의 측정은 개시감계온도가 y.leq.0.2와 같이, 지정된 첨가율이 적은 영역에서는 y의 증가에 따라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불화나트륨이 조골세포의 생리적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DIUM FLUORIDE ON THE PHYSIOLOGICAL ROLE OF OSTEOBLASTIC CELL)

  • 김대업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35-648
    • /
    • 1998
  • The clinical use of fluoride with a well known osteogenic action in osteoporotic patients is rational, because this condition is characterized by impaired bone formation. However, its anabolic effect has not been demonstrated well in vitr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dium fluoride on the physiological role of osteoblastic cell. Osteoblastic cells were isolated from fetal rat calvari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Mineralized nodules were shown in osteoblastic cell cultures, which had been maintained in the presence of ascorbic acid and ${\beta}-glycerophosphate$ up to 21 days. When cultures were treated with pulses of 48 hr duration before apparent mineralization was occurring, 2-fold increased in their number was detected. 2.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f osteoblastic cells was inhibited by sodium fluoride in dose dependent manner. 3. The effect of sodium fluoride on the osteoblastic cell proliferation was measured by the incorporation of $[^3H]$-thymidine into DNA. As a result, sodium fluoride at $1{\sim}100{\mu}M$ increased the $[^3H]$-thymidine incorporation into DNA in a dose dependent manner. 4. The signaling mechanism activated by sodium fluoride dose-dependently enhanced the tyrosine phosphorylation of the adaptor molecule $Shc^{p66}$ and their association with Grb2, one of earlier events in a MAP kinase activation pathway cascade used by a significant subset of G protein-coupled receptors. 5. The phosphorylation of CREB(cAMP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was inhibited by the sodium fluoride in MC3T3E1 cell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itogenic effect of the sodium fluoride in MC3T3E1 cell was stimulat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suggested "an important role for the interaction between She and Grb2" in controlling the proliferation of osteoblasts.

  • PDF

초기우식법랑질 표면 하방에 미치는 죽염의 재광화 효과 (Remineralization effect of bamboo salt on incipient subsurface caries enamel)

  • 김애옥;김경희;하명옥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817-826
    • /
    • 2017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mboo salts on remineralization effects on subsurface of artificial carious enamel. Methods: Incipient carious enamel was formed in permanent bovine incisors and then specimen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randomly: 3% bamboo salt (BS), 2% (NaF) and the solution of mixed 3% BS and 2% NaF. For remineralization, specimens of each of the three groups were treated for 24 hrs at $37^{\circ}C$ incubator. After treatment, specimens were analyzed using SEM and VHN. Statistical analysis used was one-way ANOVA. Results: In SEM observation, the BS group showed narrower distances between enamel rods than the cases of incipient subsurface caries enamel. The NaF and BS+NaF groups showed that the enamel rods near the surface were destructed, and innumerable round small particles were deposited near the surface of enamel. The BS+NaF group showed more minerals attachment between enamel rods than the cases of other groups. The differences in subsurface microhardness (${\Delta}VHN$) increased all of three groups in total by $80{\mu}m$. The ${\Delta}VHN$ of the BS+NaF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more than NaF and BS groups in depth of $50{\mu}m$, $80{\mu}m$. Conclusions: The 3% bamboo salt with 2% NaF solution was found to increase subsurface hardness of incipient caries enamel. Thus, bamboo salt will be used to contribute to prevention on dental caries.

자일리톨과 불화나트륨을 함유한 저작성 정제가 교정환자의 구강위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임상시험 (Effects of chewable tablet containing sodium fluoride and xylitol on the oral hygiene state in the orthodontic patients)

  • 유상훈;안석준;이신재;백승학;김태우;장영일;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3-120
    • /
    • 2003
  • 본 연구는 불화나트륨과 자일리톨 성분으로 구성된 구강 청정용 저작성 정제 (덴포정, 하미 즐, 부천, 경기 )가 교정치료 중인 환자의 구강위생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교정치료 중인 18세 이상의 성인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약제사용 전, 2주 후, 4주 후에 피험자의 상악과 하악 전치 부위 및 구치 부위에서 각각 치은 지수, 치은 출혈 지수, 치태 지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하악 전치부와 구치부 모두에서 치태 지수가 약제사용 전에 비해 사용 2주 후와 4주 후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p<0.05).또한, 적용 2주 후와 4주 후의 지수를 비교하였을 때 4주 후에 좀 더 개선된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p>0.05). 2. 치은 지수, 치은 출혈 지수도 상하악 전치부와 구치부 모두에서 적용 전에 비하여 2주 후와 4주 후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0.05).적용 2주 후와 4주 후의 지수의 비교 검증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할 만한 차이는 보이지 않아 구강위생 상태의 개선이 계속 유지됨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치태 지수, 치은 지수, 치은 출혈 지수가 실험 정제 적용 후에 감소하여 구강위생 상태가 개선되었음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덴포정을 교정치료 중인 한자에서 부가적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치주조직의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불화나트륨 바니쉬와 요오드화 칼륨이 Silver Diamine Fluoride의 재광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dium Fluoride Varnish and Potassium Iodide on Remineralization Efficacy of Silver Diamine Fluoride)

  • 이건호;안준용;김종수;한미란;이준행;신지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67-475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silver diamine fluoride(SDF)를 도포할 때 불화나트륨(sodium fluoride, NaF) 바니쉬와 요오드화 칼륨(potassium iodide, KI)이 SDF의 재광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유치의 법랑질 인공 우식 병소에서 미세경도의 변화를 통해 측정하고, 도포 전과 후의 표면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을 통해 관찰하여 비교하는 것이다. 발치된 유구치의 인접면에 법랑질 인공 우식병소를 형성하고 비커스 미세경도를 측정한 후, 4개의 군으로 나누어 I군에는 SDF, II군에는 SDF와 NaF 바니쉬, III군에는 SDF와 KI, 그리고 IV군에는 증류수를 처리하였다. 8일 간 pH cycling을 시행한 후 비커스 미세경도를 다시 한번 측정하여 미세경도의 변화량을 계산하였다. 또한 치아 연마 후, 인공 우식 유발 후, 그리고 pH cycling 이후 각 군에 대하여 각각 2개의 시편을 이용하여 SEM를 촬영하여 표면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미세경도는 III군에서 가장 크게 증가했다. I군과 II군 모두 미세경도의 증가를 보였으나 두 군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IV군에서도 미세경도의 증가를 보였으나 그 변화 정도는 가장 적게 나타났다. SEM 관찰 결과 I, II, III군이 우식 유발 직후나 IV군과 비교하여 표면이 더 균일해지고 불규칙성이 감소된 양상을 보였으며, III군에서 무정형의 피막 형태의 침착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SDF만을 도포한 군과 SDF와 NaF, SDF와 KI를 함께 도포한 경우 모두 표면 형태가 균일해지고 미세경도가 증가하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를 기반으로 구강 내의 환경에서도 재광화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이 연구의 제한된 조건 하에서 NaF 바니쉬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SDF의 재광화 효과를 증가시키지 못했으며, SDF와 KI를 함께 도포한 경우 SDF의 재광화가 효과가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으나 추후 실제 구강 내에서의 다양한 상황을 고려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