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불안정한 교합접촉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6초

치열궁 부조화로 인한 불안정한 교합을 보이는 환자의 수복 증례 (Rehabilitation of unstable occlusion caused by inter-dental arch discrepancy)

  • 원선;안기용;박찬진;조리라;허윤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77-391
    • /
    • 2015
  • 상하악 치열궁의 부조화는 3차원적인 교합의 문제를 일으키며 불안정한 교합접촉에 의해 교합평면의 붕괴와 다수의 치아 상실 및 저작기능의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 치아 상실로 인한 구치부의 지지 상실과 상하악 치열궁의 부조화로 인한 불안정한 교합접촉 및 부적절한 전방유도를 갖는 경우, 교정치료를 동반한 보철치료를 통해 안정적인 교합접촉과 전방유도를 회복하고, 조화로운 교합관계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증례보고는 앞서 언급된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난 환자를 치과보철과와 치과교정과의 협진을 통해 양호한 구강회복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과개교합과 치열궁부조화 및 수직고경 감소를 가진 환자의 전악수복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in patient with deep bite, inter-dental arch discrepancy and loss of vertical dimension: a case report)

  • 송한솔;이예진;고경호;허윤혁;조리라;박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3호
    • /
    • pp.157-170
    • /
    • 2021
  • 구치부 지지 상실과 같은 치아 결손은 불안정한 교합 관계를 야기하고 중심위나 습관적 폐구위에서 하악의 전방 활주 시 전치부에 과도한 하중을 초래하기 쉬워 교합평면이 붕괴되며 교합수직고경의 감소와 악관절 기능 장애까지 나타날 수 있다. 치열궁 크기의 부조화는 전치부와 구치부에서 수직수평적인 관계의 부조화를 유발하며 이로써 나타나는 전치부의 과개교합과 구치부의 가위교합은 불안정한 교합접촉과 충분하지 못한 교합접촉면적을 야기한다. 본 증례는 이와 같은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환자로 임시보철물을 이용하여 교합수직고경 증가 및 새롭게 설정한 교합평면에 대한 적응을 평가하였고, 교차 모형부착을 이용하여 최종보철물에 반영하여 수복하였다. 그 결과 안정적인 교합과 조화로운 수직수평피개 및 교합평면을 형성하여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비골이식을 받은 하악골절제술 환자에서 스캔중첩법을 이용한 기능적 고정성 보철물 제작: 증례 보고 (Fabrication of functionally customized fixed prosthesis in a hemimandibulectomy patient with fibular graft using double scan technique: A case report)

  • 타우 타우 윈;이두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95-201
    • /
    • 2022
  • 편평세포암으로 하악골 절제술과 비골 피판 이식을 받은 경우 하악의 기능적 움직임이 저해될 수 있다. 하악골이 절제된 측은 근육부착의 소실로 인해 근기능이 약화되어 중심교합 및 편심교합에서 불안정한 교합접촉을 초래한다. 본 증례는 하악골절제술과 비골이식 재건술을 받은 63세 남성에서 전치부의 상실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해 고정성 보철물이 필요했던 경우이다. 중심 및 편심교합에서 교합력의 크기에 따라 교합접촉 양상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Functionally generated path 기법과 디지털 영상기술을 적용하여 환자의 하악운동과 조화되고 적절한 수직고경이 있는 기능적으로 최적화된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안정적인 교합접촉을 잃은 환자에서의 전방유도를 고려한 치료증례 (Maxillary anterior prosthetic treatment concerning anterior guidance of a patient who lost stable holding contact)

  • 박종훈;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67-474
    • /
    • 2019
  • 최근 들어 치아의 심미적인 개선을 위해 전치부 보철 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전치부 심미 보철치료이후 환자가 발음, 저작 등 기능적으로 불만족스럽게 생각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전치부는 심미적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교합과 관련하여서도 중심위 다음으로 중요한 전방유도가 성립되는 부분으로, 잘못된 전방유도 설정으로 인해 구치부의 교합간섭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새롭게 설정된 전치부 보철물의 전방유도가 환자의 기능로(envelope of function)과 조화를 이루지 않을 시 환자가 불편감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증례는 전치부 심미 보철 이후 부정확한 발음 및 안정적인 접촉이 없어서 불안정한 교합, 전반적인 불편감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체계적인 진단과 치료과정을 통해 보철물을 재수복하여 환자와 술자 모두에게서 심미적으로, 그리고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과개교합 환자에서 Dahl concept을 적용한 가철성 보철 치료 (A removable partial denture treatment with the Dahl concept applied to a patient with a deep bite)

  • 김창환;고경호;허윤혁;박찬진;조리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10-120
    • /
    • 2020
  • 모든 과개교합을 가진 환자를 병적인 상태로 판단할 수는 없지만 전치부에 교합접촉이 불안정하거나, 전반적인 교합 부조화가 동반된다면 과개교합은 하악 전치에 대한 지속적인 마모와 정출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증례는 72세 남성환자로 상악과 하악의 전치가 잔존해 있지만 골격성 2급 부정교합으로 인하여 안정위 상태에서 교합접촉이 불가능하고 교합지지가 완전히 상실되어 수직고경의 증가가 필요한 환자였다. 이 증례는 보철 수복을 위해 수직고경의 증가가 필요한 경우로 수평피개를 더욱 심화시켜 교합의 부조화를 유발할 수 있기에 정밀한 진단을 통한 수직고경 증가량 결정이 필요하였다. 이 증례에서는 Dahl concept를 응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보철물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교합을 완성하였으며 적절한 치료 결과를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무치악치조제의 개선을 통한 보철치료 (Prosthetic treatment with correcting edentulous maxillomandibular relation)

  • 이예규;허윤혁;박찬진;조리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4호
    • /
    • pp.339-349
    • /
    • 2014
  • 상악과 하악의 크기부조화가 있거나 악간관계가 불안정한 환자의 치료목적은 안정적인 교합접촉을 부여하는 것이다. 중등도의 정신지체 환자로 부족한 수직고경, 수평적 악골관계 부조화, 광범위한 치질소실로 인하여 보철치료가 필요하였다. 두부계측학적 평균치를 기준으로 악골위치를 판별하고, 연조직 측모분석 후 수평 골삭제량을 결정하였다. 수술 부위의 안정적인 치유 및 설정된 상하악관계에 대한 의치 적응여부를 평가하였다. 만족할만한 심미성과 안정적 교합상태를 얻었으나, 추가적인 교합변화의 가능성을 고려한 정기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골유착 대구치의 교정적 치험례 (Treatment of ankylosed posterior teeth: Subluxation and Extrusion Method)

  • 문철현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8권10호통권377호
    • /
    • pp.962-968
    • /
    • 2000
  • 치조골과 백악질이 치근막에 의하여 경계되어지지 않고 직접 접촉된 상태인 골유착치는 치조골성장장애, 불안전 맹출, 대합치의 정출, 인접치와의 불안정한 관계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한다. 골유착치의 진단은 방사선 사진에서 치근막의 소실, 타진시의 독특한 소리, periotest를 이용한 동요도 검사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나 그 신뢰성은 높지 않은 편이다. 따라서 저자는 통산적인 방법은 견인을 시행한 후 견인여부를 평가하여 골유착 여부를 판단하는 임상적 진단법을 사용하고 있다. 골유착치의 치료는 subluxation & extrusion법, autotransplantation법, corticotomy법, segmental osteotomy법, ostectomy법등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Subluxation & extrusion법은 적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골유착의 재발로 인한 교정치료의 실패가능성이 높은 단점이 있다. 본 증례는 다수치의 부분맹출 및 골유착으로 인한 구치부 개방교합이 주소인 환자로 소구치는 통산적인 교정치료법으로 골유착된 대구치는 subluxation & extrusion법을 적용하여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심한 교합 부조화를 보이는 환자에서 악교정수술 및 교정치료를 동반한 구강회복: 증례 보고 (Rehabilitation with orthognathic surgery and orthodontic treatment in patient with severe occlusal disharmony: A case report)

  • 이정진;송광엽;안승근;박주미;서재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204-214
    • /
    • 2023
  • 교합의 부조화가 있고 중심위와 최대 교두간 접촉위의 불일치가 과도하며 이와 관련된 병적인 징후가 관찰되는 경우, 반복 재현이 가능한 안정된 교합을 얻고 상실된 저작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교합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면밀한 진단을 통하여 중심위를 기준으로 한 악간 및 교합관계를 분석하여 그 부조화의 정도에 따라 교합조정이나 보철수복, 교정치료, 악교정 수술 등을 시행할 수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수 년 전부터 발생한 교합 불안정 및 저작기능 상실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으며 내원 당시 최대 교두간 접촉위에서 상악 우측 제2대구치만 접촉이 이루어지는 심한 교합부조화를 보였다. 중심위를 기준으로 한 교합분석 결과, 교합조정이나 보철수복을 통한 치료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하기 힘든 상,하악간 골격성 2급의 심도가 매우 깊었다. 따라서 임시의치수복을 통한 중심위를 확보하고 심한 골격성 2급을 해결하기 위한 술 전,후 교정치료를 동반한 양측 하악골 상행지 시상분할 골절단술(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을 시행하였다. 이후, 전악에 걸친 세밀한 교합조정을 시행하여 교합을 더욱 안정화시켰으며, 무치악 부위는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임시수복 하였다. 경과관찰 동안, 주기적인 교합평가 및 추가적인 교합조정을 통하여 안정적인 중심위와 조화로운 전방 및 측방유도를 얻었다. 이에 최종 보철수복을 완료하여 환자의 저작기능을 회복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불안정한 하악위를 가진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전악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in partially edentulous patient with an unstable mandibular position)

  • 육동휘;이영후;홍성진;배아란;노관태;김형섭;권긍록;백장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308-315
    • /
    • 2023
  • 중심위 안정접촉을 상실하고 잔존치들이 엇갈린 교합을 하고 있는 환자의 경우 의치의 하중시 다양한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의치의 움직임을 줄이기 위한 유지, 지지, 안정 요소의 보강을 위해서는 임플란트 식립이 필요하다. 하지만 본 증례에서는 환자의 고령과 수술에 대한 거부감 및 골소실을 고려하여 임플란트 식립하지 않고,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하였다. 중심위 안정접촉을 상실한 환자의 경우 수직, 수평 악간관계 모두 새로 설정해 주어야 한다. 이때 소수 잔존치 증례에서는 잔존치들로 저작하던 습관을 가지고 있어 수복을 위한 올바른 하악위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Gothic arch tracing을 이용하여 환자의 안정적인 하악위를 설정하여 국소의치로 수복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수종의 내측연결 임플랜트 시스템에서 고정체-지대주-나사계면의 적합에 관한 연구 (Fit of Fixture/Abutment/Screw Interface of Internal Connection Implant Systems)

  • 심덕보;김희중;오상호;정재헌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3호
    • /
    • pp.283-298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내측연결 임플랜트 시스템의 고정체-지대주-나사간의 계면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실험에 이용된 임플랜트 시스템은 Certain, Xive, Replace, Ankylos, SSII 이다. 이 시스템의 고정체와 지대주를 제조사의 권장 토크로 조인후 액상의 불포화 폴리에스터 용액에 고정한 후 절단하였다. 모든 표본은 절단, 연마후 주사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내측연결 시스템의 적합도를 관찰한 결과, 각 제조사들 사이에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의 내측연결 시스템의 경우엔 고정체와 지대주의 접촉은 긴밀히 접촉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지대주와 나사, 고정체와 나사 간에는 다양한 형태의 틈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틈들이 나사의 불안정, 미생물의 군집, 악취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는 앞으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