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불안의 매개 효과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6초

직장인의 직무적합도가 번영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와 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erson-Job Fit on Flourishing: Mediating Effect of Work Meaningfulness and Anxiety)

  • 정승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50-260
    • /
    • 2022
  • 본 연구는 직무적합도가 번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일의 의미와 불안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공기업 및 일반기업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32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AMOS 21, SPSS 21, 그리고 SPSS Process Macro v.3.3을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적합도는 일의 의미 및 번영과는 정적 상관을 그리고 불안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직무적합도가 번영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일의 의미와 불안이 각각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들 일의 의미와 불안이 순차적으로 매개효과를 보이는 이중매개효과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직무에 대한 의식이 변화하고 정서적 및 심리적 웰빙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상황에서 조직 관리 차원에서 직무적합도와 일의 의미의 효과적인 관리가 중요하다는 실무적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논의, 시사점 및 제한점이 결론에서 다루어졌다.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불안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Life Stress, Social-Anxiety on Smart phone Overdependence of University Student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 김지연;최승미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6권3호
    • /
    • pp.361-380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와 사회불안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를 조절하는 정서표현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활스트레스 척도, 사회불안척도, 스마트폰 과의존척도, 정서표현성 척도를 이용하여 서던포스트에서 설문조사를 하였고, 400명(남 200명, 여200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SPSS 21.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스트레스, 사회불안, 스마트폰 과의존 및 정서표현성은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결과, 대학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불안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SPSS Macro를 통한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결과, 대학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사회불안이 이를 매개하며, 사회불안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를 정서표현성이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환자돌봄 의사소통이 환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Patient Satisfaction on Patient Caring Communic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 원효진;서가원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4호
    • /
    • pp.49-55
    • /
    • 2024
  • 본 연구는 병동의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환자돌봄 의사소통과 환자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불안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는 2021년 10월부터 12월까지 자가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효성 검정은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환자돌봄 의사소통과 환자만족도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환자돌봄 의사소통과 불안과의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만족도와 불안 사이에도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돌봄 의사소통과 환자만족도의 관계에서 불안은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으며(z=2.93, p<.001), 설명력은 38.4%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환자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환자돌봄 의사소통 역량을 향상시키고,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우울·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과의존을 통한 자존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through Internet Overdependence)

  • 김지연;김현하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8권2호
    • /
    • pp.269-290
    • /
    • 2021
  • 본 연구는 중학생들이 경험하는 학업스트레스와 우울·불안의 관계를 인터넷 과의존이 매개하여 중학생의 우울·불안을 자존감이 조절하는지에 대한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업스트레스 척도, 인터넷 과의존 척도, 우울·불안 척도, 자존감 척도를 이용하여 2019년 공개된 13차년도 한국복지패널 아동데이터 383명 자료(중학교 1학년 114명, 2학년 138명, 3학년 131명)에 대해 SPSS 21.0과 SPSS PROCESS Macro 모델14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가 우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터넷 과의존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인터넷 과의존과 우울·불안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학업스트레스가 우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인터넷 과의존이 이를 매개하며, 인터넷 과의존과 우울·불안의 관계를 자존감이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가 증가하면 인터넷에 과의존을 하게 되며, 우울·불안이 증가하여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 자존감이 보호요인으로 중요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시사점,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이분법적 사고의 이중매개효과 (A Study on Effect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Social Anxiety: Focused on serial mediated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ichotomous thinking)

  • 최호경;신경민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4권1호
    • /
    • pp.1-1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이분법적 사고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성인 남녀 252명 이었다.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 사회적 공포 척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 개정판 이분법적 사고 지표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이분법적 사고, 각각의 완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의 개인에게서 사회불안이 발생하고 유지되는데 있어 두 변인의 매개효과가 유의했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이분법적 사고의 관련성이 검증되었다. 즉,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을 매개로 하여 이분법적 사고를 촉발시키고,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에서 비롯된 부정적인 인지적 편향을 이분법적 사고가 매개하여 사회불안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의 개인이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이 부족할 경우에 이분법적 사고에 취약할 수 있으며, 이분법적 사고는 사회불안을 심화시킬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 PDF

성인초기 유기불안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bandonment Anxiety and Relationship Addiction in Early Adulthood)

  • 김소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579-58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유기불안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기 불안, 자기자비, 관계중독 척도를 사용하여 성인초기 남녀 25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237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기불안은 자기자비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 관계중독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자기자비는 관계중독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기불안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는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유기불안과 관계중독의 관계 및 이를 관리하기 위한 자기자비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Anxiety over Aging of the Elderly Group on Successful Aging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 김정희;박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210-22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의 노화불안이 증가할수록 성공적 노화는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노화불안과 사회적 지지 관계에서 노화불안이 증가할수록 사회적 지지는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성공적 노화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증가는 성공적 노화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노화불안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노화불안 감소와 성공적 노화를 위한 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Mattering and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 최유정;홍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59-270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총 40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에 사용된 도구는 사회부과 완벽주의 척도, 사회불안 척도, 대인존재감 척도, 자기수용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고, Mplus 7.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과 매개효과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사회불안과 정적상관을 보였으나 대인존재감과 자기수용에 대하여 부적상관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대인존재감과 자기수용은 서로 정적상관이 확인되었으나 사회불안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과 자기수용의 이중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상태불안의 매개효과 (An Influence of Record Manager's Job Stress on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State Anxiety)

  • 김성원;김성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03-127
    • /
    • 2018
  • 본 연구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우울, 상태불안 수준의 차이와, 그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있어 상태불안 수준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포함해 총 9요인으로 구성된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수준, 상태불안 수준을 묻는 설문지를 배포해 최종적으로 98부의 설문데이터를 회수했고,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해 매개분석을 시도했다. 그 결과 모든 요인에서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사이에서 상태불안이 완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의 우울수준을 낮추기 위해 그들의 상태불안 수준이 필히 관리되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Mediation Effect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nxiety and School Life Adjustment

  • Lee, Sun-Lye;Kim, Hyeong-Soo;Park, Hwie-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169-17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불안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이 유의한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는지 알아봄으로써 대학생의 불안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문제를 예방 및 감소하고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부분 매개로 나타남으로써 직접효과인 불안이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과 간접효과인 불안이 스마트폰 과의존을 통해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함께 보여 주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그 시사점을 언급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