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Effect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Social Anxiety: Focused on serial mediated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ichotomous thinking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이분법적 사고의 이중매개효과

  • Received : 2020.01.21
  • Accepted : 2020.06.18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e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the relevance of the variables below, assuming that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ichotomous thinking would represent sequential serialized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on questionnaire survey of 252 adult men and women in Seoul using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cal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ocial phobia scale,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and dichotomous thinkingI-30R as index, which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ichotomous thinking showed perfect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social anxiety.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ichotomous thinking were identified as contributing factors to th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social anxiety by perfectionistic self-presenter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dichotomous thinking, intolerance of uncertainty showed mediation effect.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ocial anxiety, dichotomous thinking showed mediation effect. This suggested that if tolerance of uncertainty was deficient, it was likely to lead to dichotomous thinking. And a dichotomous thinking has prompted or accelerated negative cognitive biases resulting from intolerance of uncertainty, triggering and deepening social anxiety.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이분법적 사고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성인 남녀 252명 이었다.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 사회적 공포 척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 개정판 이분법적 사고 지표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이분법적 사고, 각각의 완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의 개인에게서 사회불안이 발생하고 유지되는데 있어 두 변인의 매개효과가 유의했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이분법적 사고의 관련성이 검증되었다. 즉,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을 매개로 하여 이분법적 사고를 촉발시키고,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에서 비롯된 부정적인 인지적 편향을 이분법적 사고가 매개하여 사회불안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의 개인이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이 부족할 경우에 이분법적 사고에 취약할 수 있으며, 이분법적 사고는 사회불안을 심화시킬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