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화 경로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31초

버즈풋 트레포일 절편체 종류의 배양에 따른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from Different Explant Types of Birdsfoot Trefoil (Lotus corniculatus L.))

  • 이상훈;이기원;김기용;최기준;김맹중;지희정;이종경;서성;이병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71-17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버즈풋 트레포일의 Empire 품종을 이용하여 조직 절편체의 종류 및 식물생장조절물질 첨가가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잎과 줄기 절편체를 배지에 치상한 후 배양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5-7일 후부터 캘러스 형성이 시작되었다. 캘러스를 유도함에 있어 첨가되는 auxin류로 NAA를 첨가 우수한 결과가 나타났다. 1 mg/L NAA와 1 mg/L BA가 첨가된 CM4 배지에서 잎 절편체 92%, 줄기 절편체 8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잎 절편체 배양하는 것이 더 줄기 절편체를 배양하는 것 보다 더 우수한 결과가 나타났다. 캘러스 배양 6주 후 캘러스로부터 shoot이 유도되기 시작하였으며 잎절편체를 치상하여 배양한 것은 대부분 multiple shoot으로 유도 되었다. 줄기신장 후 뿌리 유도를 위해 2$\sim$3 cm 이상 재분화 식물체의 shoot을 절단하여 1 mg/L IBA 첨가된 처리구에서 배양한 결과, 잎 절편체에서 유도된 shoot에서 98.3%, 줄기 절편체에서 유도된 shoot에서 93.3%로 조사되었다. 또한, 캘러스의 형성 없이 직접 뿌리를 내리고 뿌리의 발달도 잘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재분화 시스템은 분자육종을 통한 신품종 버즈풋 트레포일의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바이오에너지용 수수 품종의 재분화율 증진을 위한 배지와 생장조절제 효과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Media on Regeneration of Sorghum bicolor (L.) Moench)

  • 고은정;성은수;유지혜;길현영;이재근;황인성;김남준;비말;김명조;이주경;임정대;김나영;유창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8-173
    • /
    • 2011
  • 본 연구는 수수의 성숙 종자로부터 캘러스유기 및 재분화 효율 조사하기위하여 수행되었다. 배발생 캘러스 형성을 살펴보기 위해 생장조절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수수 성숙종자로부터 캘러스 유기에 적합한 생장조절제 종류와 농도는 2 mg/L 2,4-D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발생 캘러스의 고효율 빈도는 B5 배지에 2 mg/L 2,4-D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는 BAP와 IBA를 넣은 MS 배지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BAP 농도가 높을수록 신초재분화가 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부터 수수 기내배양시 신초와 발근 형성에 효과적인 생장조절제 조합은 0.5 $mg\;l^{-1}$ BAP와 0.25 $mg\;l^{-1}$ IBA인 것으로 나타났다.

Dichloroacetate의 p53 비의존적 경로를 통한 인간 역분화 갑상선 암세포주의 성장억제 효과 (Dichloroacetate Inhibits the Proliferation of a Human Anaplastic Thyroid Cancer Cell Line via a p53-independent Pathway)

  • 얌 바하더 케이씨;수닐 포우델;전언주;손호상;변승준;정남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469-1476
    • /
    • 2018
  • Warburg 효과의 발생은 고형암에서 화학적 항암제의 내성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호기성 해당과정과 같은 에너지 대사과정은 암 치료의 중요한 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Pyruvate dehydrogenase kinase (PDK) 활성 억제물질로 알려진 dichloroacetate (DCA)는 많은 암세포에서 포도당의 호기성 해당과정을 산화적인산화 과정으로 전환시킬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이 연구는 치료가 매우 어렵다고 알려진 인간 역분화 갑상선 암세포주인 8505C의 성장에 미치는 DCA효과를 조사하였다. DCA는 정상 갑상선 세포주의 성장에는 영향을 주지 않은 반면 8505C 세포주의 성장을 특이적으로 저해하였다. DCA의 처리에 의해 8505C 세포주는 $HIF1{\alpha}$, PDK1, Bcl-2와 같은 항-세포자살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이 감소하고, Bax와 p21과 같은 세포자살 유도 단백질과 세포주기 억제 단백질의 증가로 인하여 세포주기 정지와 세포자살 유도에 의해 성장이 억제되었다. 이런 세포의 변화는 DCA 처리에 의한 활성산소족의 생산이 증가하고, 포도당 대사가 호기성 해당과정에서 산화적인산화 과정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란 것을 확인하였다. 흥미롭게도, DCA는 포도당 대사과정의 변화뿐만 아니라 sodium/iodine symporter (NIS)의 발현양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PDK 활성 저해제는 치료하기 힘든 역분화 갑상선 암 치료제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역분화 갑상선 암에 대한 방사능 치료의 효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V40의 T항원으로 불사화한 지방줄기세포주로부터 생산한 배양액의 항염증 효능 (Anti-inflammatory Effect of Conditioned Medium From an Immortalized Adipose-derived Stem Cell Line by SV40 T Antigen)

  • 이예진;이소영;정민경;박성문;김동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0-178
    • /
    • 2024
  • 지방줄기세포는 다양한 세포로 분화할 수 있어서 세포치료제로 주목받고 있으나 세포 증식 속도가 느리고 세포의 수명이 짧아 임상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팀은 선행연구에서 지방줄기세포의 증식속도를 향상시키고 세포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SV40의 T항원 유전자를 사람의 ADSC에 도입하여 불사화시킨 ADSC 세포주를 제작하였으며 ADSC-T라고 명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DSC-T 세포의 분화능력을 검증하고, ADSC-T 세포를 배양하여 획득한 무혈청 배양액의 항염증 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ADSC-T 세포주는 지방세포와 골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줄기세포의 가장 중요한 특징인 분화능력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ADSC-T의 배양액은 염증을 유발하는 NF-κB의 활성을 억제하였고, NF-κB의 표적 유전자인 COX-2와 iNOS의 발현도 억제하였다. 또한 ADSC-T 배양액은 ERK, JNK, p38의 인산화를 저해하여 세포 내 염증 유발 신호 전달 회로인 MAPKs 회로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증을 유발하는 cytokine인 TGF-β, TNF-α, IL-6, IL-13의 발현도 억제하는 효과를 보여 강한 항염증 효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실제로, 아토피 모델 쥐인 Nc/Nga 마우스를 DNCB로 처리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뒤 ADSC-T 배양액을 도포한 결과 강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불사화된 ADSC-T 세포주는 지방줄기세포의 장점과 효능을 유지하고 있으며 향후 지방줄기세포의 세포 수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임상 적용이 가능한 배양액의 생산에도 널리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 임파구와 세포성면역

  • 최철순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25권10호
    • /
    • pp.595-606
    • /
    • 1989
  • 항원제시세포(APC)와 보조T세포 간의 협력작용에 의하여 활성화된 작동세포(NK세포, CTL, K세포, 대식세포, 과립구 등)의 종양세포, 이식장기 및 세포내기생세균에 감염된 각종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작용은 생체방어를 위한 중요한 세포성면역기전이다. 지난 몇 년간 세포성면역기전에 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T림파구매개성 세포독성작용의 면역생물학적기전은 확실히 밝혀있지 않다. 지금까지 알려진 중요한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세포독성작용을 나타내는 작동세포로는 NK세포, CTL, K세포, 대식세포/단핵구 및 과립구가 있다. 2. T세포의 세포표면항원분자군(CD)으로는 $CD_{2},\;CD_{3},\;CD_{4}[Ly_{3}T_{4}],\;CD_{5}[=Ly_{1}],\;CD_{7},\;CD_{8}[Ly_{2,3}]$가 있으며 $CD_{4}$는 보조Ttpvhdml 특이마커이고 $CD_{8}$는 세포독성 T세포 및 억압T세포의 특이마커이다. 주요 T세포수용체(TCR)는 $CD_{4}$ 또는 $CD_{8}$ 분자와 가까이 연합된 이향체($TCR-{\alpha}{\beta}/TCR-{\gamma}{\delta}$이며 보조 T세포 $CD_{4}$(마우스 $L_{3}T_{4}$)는 수용체와 연합되어 있는반면 억압 T세포 $CD_{8}(Ly+_{2,3})$는 항원수용체와 연합되어 있다. 3. T세포는 Ti-$CD_{3}$(항원/MHC) 복합체를 통한 '항원가교'에 의한 자극(항원인식)과 $CD_{2}$를 통한 비특이경로에 의하여 활성화(분화증식)된다. 비특이경로를 통한 활성경로에서 T세포($CD_{4}$$CD_{8}$)가 활성화되기 위하여는 보조T세포가 생산하는 IL-2을 요구하며 IL-2의 자극으로 분화증식된 $CD_{8}$는 세포독성능을 나타내지만 $CD_{4}^{+}$는 여전히 세포독성능을 나타내지 못한다. 4. 보조T세포는 class II MHC분자와 연합된 항원을 식별하는 반면 세포독성T세포는 class I MHC 분자와 연합된 항원을 식별한다. 5. 림파구 매개성 세포독성은 접촉(conjugati-on), 탈분극(depolarization), 용해계획(progra-mming), 용해(lysis) 및 재순환(recycling)의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 6. 표적세포살해매체로는 perforin / PFP / cy-tolysin, lymphopores, lymphotoxins, protone, cytolytic enzymes가 알려졌으며 세포독성작용은 이들 이외에도 여러 가지 매체를 통한 복합작용으로 추정된다. 7. CTL 매개성 표적세포의 주요 대사변화는 actomyocin ATPase의 증가, phosphocreatine과 ATPase의 소모, ATP 의존성 $Na^{+}/K^{+}$ 펌프작용의 중지, ATP 의존성 $Ca^{2+}$ 유출감소 및 세포내 축적이 관찰된다. 8. $Ca^{2+}$의 축적으로 세포막 교질 침투손상을 주어 수분의 유입을 증가시킴으로써 수포형성, 핵붕괴, 사립체팽화 및 정상세포 구조상실(Zeiosis)이 있다. 결론적으로 CTL 매개성 세포독성작용은 PFP, LT, TNF, 유사 TNF / LT 및 기타 매체를 통한 복합작용이며 세포살해기전은 지속적 대사소모와 정형적 세포구조(핵 및 세포질)의 파괴에 의한 것이다.

  • PDF

고대 한반도에서 재배된 벼의 전래 경로에 대한 고찰 (Reconsideration on the Importation Pathway of Ancient Korean Rice(Oryzar sativar L.))

  • 박태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19-123
    • /
    • 2009
  • 최근 활발한 발굴에 따른 곡물의 출토가 많아짐에 따라, 벼의 한반도(韓半島) 전래(傳來) 경로(經路)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한반도(韓半島) 최고(最古) 벼인 청원 소로리(小魯里) 벼의 전래경로에 대하여 제4기 자연환경(自然環境), 생태적(生態的), 작물학적(作物學的)면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로리(小魯里) 볍씨는, 최대빙하기(最大氷河期)이후 한반도가 중국대륙과 하나의 대륙으로 연결되었을 당시 한국조상(韓國祖上) 중 남방계(南方系)의 한 부류가 볍씨를 가지고 중국대륙 남부지역에서 해안을 따라 동북진(東北進)하다가 당시 옛 금강하류(錦江下流)를 거쳐 소로리(小魯里)로 이동하였다고 추정된다. 이를 "옛 금강-소로리 볏길(Old Geumgang-Sorori Rice Road)"이라 명명한다. 2. 유전적(遺傳的) 변이(變異)가 큰 소로리(小魯里)벼는 빙하기이후 지리적(地理的), 생식적(生殖的) 격리(隔離)가 발생함에 따라 한반도(韓半島)의 자연환경(自然環境)에 적응(適應)(자연선택(自然選擇))하게 되어 변이가 적은 고대(古代)벼(가와지(家瓦地)벼)로 종(種)의 분화(分化)(논벼, 수도(水稻))가 이루어졌다고 추정된다. 즉 한반도에서 순화단계(馴化段階)인 소로리(小魯里)벼가 재배(栽培)벼로 발전(發展)하였다고 판단된다.

분화가 좋지 않은 윤활막육종 접착도말의 세포학적 소견 - 1예 보고 - (Imprint Cytologic Features of Poorly Differentiated Synovial Sarcoma - A Case Report -)

  • 구미진;최준혁;배영경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7-31
    • /
    • 2003
  • Poorly differentiated synovial sarcoma is a variant of synovial sarcoma. We report a case of poorly differentiated synovial sarcoma imprinted after resection. The patient was a 47-year-old woman with a right shoulder pain for 6 months. The cytologic features showed malignant round to oval, monotonous tumor cells with high nuclear to cytoplasmic ratio. Some tumor cells showed perivascular distribution and nuclear melding. Vague rosette-like structures were seen. On immunohistchemical stains, tumor cells were diffusely positive for CD99 and focally positive for epithelial membrane antigen. Ultrastructural examination showed desmosomes and microvilli.

겨울철 딸기재배 "키$\cdot$포인트"

  • 김경제
    • 농약과 식물보호
    • /
    • 제6권12호
    • /
    • pp.83-89
    • /
    • 1985
  • 겨울동안 딸기재배의 작형은 딸기가 휴면기간이 매우 짧으면서 꽃눈분화가 조속히 이루어지는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하는데 일반적으로 촉성, 반촉성 및 억제재배 등이 있으며 촉성재배는 비닐이나 섬피 등 보온을 실시하여 11월$\~$1월부터 2$\~$3월에 걸쳐서 수확을 목적으로 재배하는 작형이다. 반촉성재배는 촉성재배보다 보온을 늦게 시작하여 촉성재배의 수확말기인 3$\~$4월에 수확하여 출하하는 재배형이다. 억제재배에서와 같이 보통육묘를 실시해서 월동시킨 다음 봄에 생육이 시작하기 전인 2월 하순경에 모를 굴취하여 0$^{\circ}C$내외의 환경하에 장기간 저장하여 강제휴면을 시켰다가 8$\~$9월에 정식한 후 10$\~$11월경에 수확하는 작형이다. 이들 기본작형을 변형시켜 다시 세분화된 재배형으로 나눌 수도 있다. 본란에서는 현재 수익성이 높고 비교적 안전한 딸기 반촉성재배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 PDF

Repression of p21 Expression by Hepatitis B Virus X Protein via a p53-Independent Pathway

  • 안지영;장경립
    • 한국생명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명과학회 2000년도 제30회 학술심포지엄
    • /
    • pp.39-43
    • /
    • 2000
  • HBV는 인체에 감염하여 간염, 간경변 및 간암을 유발하는 hepadnaviruses의 일종으로써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한 바이러스이다. 그러나 이 바이러스에 의한 간암(HCC)의 발생 메커니즘은 아직 불확실하다. 최근에는 HBV의 X 단백질(HBx)이 간암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HBx 단백질은 전사 활성인자(transcriptional activator)로써 숙주세포의 유전자발현에 영향을 미치어 세포증식 및 분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HBx 단백질이 NIH 3T3 cell의 증식 및 형질전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HBx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주는 정상세포에 비하여 증식 속도가 2배 정도 빠르며, soft agar assay 결과에 의하면 대조군과 비교하여 더 많은 수의 colony를 형성하였다. 또한, 이들 HBx 발현 세포들은 접촉 저해 능력을 상실하여 HBx가 세포 형질 전환 능력을 가짐을 알수 있다 또한 HBx 발현 세포주에 있어서 p21의 RNA 및 protein수준이 정상세포에 비하여 낮으므로 HBx에 의한 증식 촉진 및 세포 형질 전환이 p21을 매개하여 이루어 짐을 알 수 있었다. HBx에 의한 p21 유전자의 발현 감소는 p21의 전사 수준에서 이루어지며 이는 p53-비의존적 경로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 PDF

아시아 재배도의 기원과 전파에 관한 근래의 논의

  • 허문회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98년도 춘계 학술대회지
    • /
    • pp.5-9
    • /
    • 1998
  •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하면 sativa 와 glaverrima 는 독립적으로 분화되었고 sativa 중의 indica 와 japonica 도 원시야생종에서 독립적으로 진화되었는데 중국에서는 japonica와 같이 indica 도 진화되었는데 인도에서는 indica 만이 진화되었다. 벼농사의 시작은 1만년전에 불과하지만 벼 자체의 식물학적인 진화과정은 수백만년의 긴 여정이었다. 벼농사가 중국에서 시작되어 우리나라로 넘어오기까지에 5,000 년을 소요했는데 지금까지의 고고학적 증빙으로는 법금 5000-2300년 사이에 한반도 전역에 벼농사는 널리 전파되었다. 한국으로 전래되기까지의 경로와 연대를 추정하기에는 아직 자료가 많이 부족하다 특히 화분화석, 규화석, 고기후학, 고지리학 그리고 황해의 항해에 관한 자료가 아쉽다. Oka 가(1988) 인도부터 중국에 걸친 지역에서 고고학적 연구가 보다더 진전되기까지는 벼의 식물과 재배의 기원을 결정적으로 말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결논한 것은 이런 사정을 분명히 표현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