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화 경로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33초

전기극 뇌자극과 광시각 유발전위 검사를 통한 인간의 시각 피질에서의 기능적 분화 양상 (Functional Mapping of the Human Visual Cortex Using Electrical Cortical Stimulation and Flash Visual Evoked Potentials)

  • 이향운;홍승봉;서대원;태우석;홍승철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1권1호
    • /
    • pp.10-18
    • /
    • 1999
  • 연구배경 및 목적 : 시각 인지 과정은 영장류 실험을 통하여 다소 정보를 얻을 수 있었으나 인간에서는 아직 완전하게 이해되지 않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뇌자극과 시가유발전위 검사를 토대로 인간의 시각피질의 기능적 분화와 시간 순으로 활성화되는 양상을 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 : 간질 수술을 위하여 후두엽과 인접 부위에 광범위하게 피질하전극을 넣은 2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기적 뇌자극과 시각유발전위 검사를 시행하였다. 뇌자극시 나타나는 반응은 형태, 색, 및 움직임의 세 가지로 크게 나누고 형태는 다시 단순, 중간 및 복잡한 형태로 세분하였다. 시각유발전위는 P1 혹은 IV파의 latency를 측정하였다. 결과 : 단순 혹은 중간 형태는 흔히 occipital pole과 striate cortex에서 발생하였다. 색반응은 후두엽의 기저부 즉, fusiform, lingual, inferior occipital gyri를 자극할 때 관찰되었다. 움직임 반응은 내측기저부 및 외측의 측후두엽 혹은 측두정후두부의 경계부에서 주로 나타났다. 결론 : 이러한 결과는 인간의 시각피질이 시각의 여러 가지 구성성분 즉, 형태, 색, 및 움직임에 대해서 각각 별도로 분화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한 시각자극이 전해지면 striate cortex와 occipital pole이 가장 먼저 활성화되고 이어서 내측 및 외측 후두엽 부위가 활성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종합하여 보면 인간의 시각피질은 시각의 여러 구성성분별로 별도로 발달된 해부학적 경로를 통하여 각각의 기능에 대하여 특수하게 분화된 뇌세포에서 시각정보를 각각 분석하되 일정한 시간순서에 의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꽃창포 화기조직 절편체 배양으로부터 식물체 분화에 미치는 광.온도.당의 영향 (Effects of Light, Temperature, and Sucrose on Plant Regeneration from the Flower Organ Explant in Iris ensata)

  • 윤인경;고재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1호
    • /
    • pp.41-45
    • /
    • 2003
  • Iris 속 식물인 꽃창포의 번식 특성에서 종자의 잡종성과 적은 분얼로 인한 분주 번식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고유한 품종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조직배양을 통한 대량 번식의 구명이 필요하므로 Iris 속 식물의 화기부위 별 절편체를 이용하여 기내 번식에 의한 대량 증식방법을 정립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자생꽃창포의 화피기부조직, 자방, 소화경, 화경을 치상하여 기내배양환경에 적절한 환경을 구명하고자 조도 2000 Lux에서 일장 (0~24시간), 온도 (10~3$0^{\circ}C$), sucrose (l~9%)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자생꽃창포의 화기 절편체로부터 유식물체 재분화에 적합한 일장은 16시간의 장일조건이, 온도 조건은 $25^{\circ}C$에서, sucrose 농도는 3%에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화기 부위 중 화피기부조직과 자방 배양에서 높은 신초 형성을 보였다. 화기조직 치상절편체로부터 부정근의 분화는 암상태에서 촉진되어지고 sucrose는 6%에서 뿌리를 생장시키며 1$0^{\circ}C$, 15$^{\circ}C$의 저온에서는 신초,뿌리의 분화가 저조하였다.

벼의 미수분 자방배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plant Regeneration in Unpollinated Ovary Culture of Rice)

  • 손재근;권용삼;김경민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319-322
    • /
    • 1997
  • 벼의 미수분자방배양에서도 저온처리의 효과가 인정되어 $12^{\circ}C$에 10일동안 전처리된 자방배양에서 캘러스형성률과 식물체 재분화율이 각각 10.7%와 38.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액체배지에서 보다 6 g/L의 gelrite를 첨가한 고체배지에 자방을 배양하였을 때 식물체 재분화율이 높게 나타났다. 미수분 자방을 1 mg/L의 picloram이 첨가된 배지에 배양하였을 때 녹색체 분화율이 가장 높았고, picloram의 농도가 그 이상 증가함에 따라 백색체의 출현빈도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저온처리된 이삭으로부터 자방만 분리하여 배양하였을때는 캘러스가 형성되지 않았으나 내외영의 일부와 자방 및 소지경이 2차지경에 부착된 상태로 배양하였을때 캘러스 형성률과 식물체 재분화율이 각각 9.4%와 39.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Lactoferrin의 생리적 기능과 Lactoferricin의 항원결정기 (Biological Functions of Lactoferrin and Antigenic Determinants of Lactoferricin)

  • 남명수;도기경일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2호
    • /
    • pp.229-245
    • /
    • 1996
  • 1. CM-Sephadex C-50-120 column을 사용하여 HLF를 효과적으로 정제하였다. CM-Sepha-dex 50-120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한 결과, HLF는 NaCl 350 mM-500 mM 사이에서 용출되었으며, 용출된 분획을 SDS-PAGE를 수행해서 단일 band를 확인하였다. Anti-HLF antibody를 이용한 Western blotting 결과 nitrocellulose paper 상에 단일 band 가 나타나므로 HLF 가 효과적으로 정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Con A, PWM, PWA LPS 등의 자극원으로 단핵구와 대식세포를 자극한 다음 BLF를처리한 배 양액을 IL-1 bioassy한 결과는 Con A 33%, PMA 33%, PWM 15%, LPS 35% 이고, HLF로 처리하여 IL-1 bioassay를 한 결과는 Con A 15%, PMA 22%, PWM 10%, LPS 5%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3. K-562 세포를 이용한 colony forming assay에서 BLF가 10 g/ml일 때는 30%, 30 g/ml일 때는 35%, HLF는 10 g/ml일 때는 5%,30 g/ml일 때는 30%의 저해를 나타냈다. 4. Lactoferrin의 면역증강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hapten인 VCR-BSA를 투여 한 후, 생성되는 항체생성능력을 ELISA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HLF 및 BLF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adjuvant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이때 macrophage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HLF와 BLF를 투여한 군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LF는 macrophage를 활성화 시켜서 항체 생성 능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5. Balb/c mouse의 thymus로부터 분리한 CD4- CD8- 세포를 BLF로 처리하여 24 시간 배양한 후 CB4$^-$ CD8$^-$ 세포의 분화를 측정한 결과, CD4$^-$를 CD4$^+$ 로 분화하였다. 그리고 HLF로 처리하여 24 시간 배양 후 CD4$^-$ CD8$^-$ 세포의 분화를 측정한 결과, CD4$^-$ CD8$^-$를 CD4$^+$ CD8$^+$ 로 분화하였다. 6. Lactoferrin이 T cell의 IL-2 production에 미치는 영향은 PMA 처리군, PMA+OKT3처리군, LF 단독 처리군 보다 PMA+OKT3+LF를 처리한 군이 IL-2 생성에 영향을 미쳤다. 7. Lfcin B의 단일크론항체에 의해 인식되어지는 Lfcin B의 항원결정기는 ‘QWR’로 밝혀졌다.

  • PDF

오이(Cucumis sativus L.) 기관분화 및 체세포배 발생을 통한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Through Organogenesis and Somatic Embryogenesis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 김재훈;오승용;이행순;곽상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5-129
    • /
    • 1998
  • 기내에서 무균 발아시킨 오이 유식물체의 자엽절편과 하배축으로부터 기관발생 및 체세포배 발생 경로를 통한 식물체 재분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자엽절편을 1,0mg/L zeatin과 0.1mg/L IAA가 첨가된 MS 배지에서 4주간 배양하였을 때 사용한 모든 품종에서 부정아의 형성이 가장 양호하였다. 자엽절편의 기저부에서 유도된 부정아를 0.2mg/L IAA가 첨가된 MS 배지에 이식하여 뿌리를 유도하여 완전한 소식물체로 발달시켰다. 한편, 하배축을 약 5-10mm 크기로 절단하여 1.0mg/L 2,4-D가 첨가된 MS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낙합계 품종에서 배발생 캘러스가 유도되었다. 같은 조건의 배지에서 2-3주 간격으로 계대배양을 실시하면서 배발생 캘러스만을 선발하여 유지 및 증식시켰다. 배발생 켈러스를 2,4-D가 첨가되지 않은 MS 배지에 옮겨 배양하였을 때 약 1주 후부터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구상형 시기의 체세포배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심장형, 어뢰형 및 자엽기 시기를 거처 발아하여 소식물체로 발달하였다. 자엽절편 및 하배축 배양으로부터 유도된 소식물체는 잎이 2-3장 정도 되었을 때 화분에 옮겨 온실에서 순화시켜 과실을 얻을 수 있는 완전한 식물체로 재분화시킨다.

  • PDF

기내배양에 의한 감자(Solanum tuberosum L.)의 대량번식(大量繁殖)에 관한 연구(硏究) I. 몇가지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이 생장점(生長點)으로부터의 Callus 및 기관분화(器官分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Mass-Propagation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by In-vitro Culture. I. Effects of Phytohormons on the Callus Induction and the Organ Differentiation from Potato Meristem tip)

  • 김충수;조재성;최창열
    • 농업과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59-64
    • /
    • 1980
  • 본(本) 실험(實驗)은 감자의 생장점배양시(生長點培養時) 기본배지(基本培地)에 첨가(添加)되는 2.4-D, NAA 및 Benzyladenine이 감자의 생장점(生長點)으로 부터의 기관(器官)의 분화(分化) 및 생장(生長)과 Callus의 유기(誘起)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여 기내배양(器內培養)을 이용(利用)한 감자 대량번식방안수립(大量繁殖方案樹立)을 위(爲)한 기초정보(基礎情報)를 얻고져 수행(遂行)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BA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됨에 따라 경(莖)의 신장(伸長)은 현저(顯著)히 촉진(促進)되었으나 BA를 첨가(添加)한 배지상(培地上)에서는 근(根) 및 Callus는 전혀 유기(誘起)되지 않았다. 2. 0.5mg/l 혹(或)은 그 이상(以上)의 NAA를 첨가(添加)한 배지상(培地上)에서는 경(莖)이 전혀 분화(分化)되지 않았고 공시개체전부(供試個體全部)에서 Callus만 유기(誘起)되었으며 Callus의 생장(生長)은 NAA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될 수록 현저(顯著)히 촉진(促進)되었다. 3. NAA를 0.1mg/l 이상(以上) 첨가(添加)한 배지상(培地上)에서는 약(約) 50% 이상(以上)의 개체(個體)에서 근(根)이 발생(發生)되었으나 2.4-D를 첨가(添加)한 배지상(培地上)에서는 전혀 근(根)의 발생(發生)이 없었다. 4. 1.0mg/l 이상(以上)의 2.4-D를 첨가(添加)한 배지상(培地上)에서는 경(莖)의 분화(分化)가 전혀 없었으며 2.4-D 0.1mg/l까지는 2.4-D의 농도(濃度)를 높일수록 경(莖)의 신장(伸長)은 촉진(促進)되었다. 5. Callus의 유기(誘起) 및 생장(生長)에는 2.4-D보다 NAA가 현저(顯著)히 효과적(效果的)이었고 2.0mg/l 첨가(添加)한 MS배지(培地)가 Callus의 유기(誘起) 및 생장(生長)에는 가장 적합(適合)하였다. 6. 식물체(植物體)의 재분화(再分化)에는 MS배지(培地)에 BA 2.0 및 NAA 0.1mg/l 혹(或)은 BA 1.0 및 2.4-D 0.1mg/l를 첨가(添加)한 배지(培地)가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다.

  • PDF

Betaine의 mTOR 비의존적 자가포식 작용 촉진에 의한 표피 분화 유도 효과 (Betaine Induces Epidermal Differentiation by Enhancement of Autophagy through an mTOR-independent Pathway)

  • 최선국;김미선;김진현;박선규;이천구;강내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95-101
    • /
    • 2018
  • 표피는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로부터 재생되어 계층화되는 상피 조직으로서 물리적 장벽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외부 오염원으로부터 개체를 보호한다. 자가포식 작용(autophagy)은 단백질 축적물, 손상된 세포 소기관, 세포내 미생물 등이 리소좀으로 운반되고 분해되도록 매개하는 기작이다.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자가포식 작용이 각질형성세포의 대사 기관과 핵을 제거하여 각질층으로 최종 분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보고 되었다. 그러나 자가포식 작용을 촉진함으로써 표피 분화를 유도할 수 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유래 단일 화합물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하여 베타인(betaine)이 인간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 세포에서 세포질 내 LC3 punctate 소포체 및 LC3-I에서 LC3-II로의 변환을 증가시켜 자가포식 작용을 촉진함을 규명했다. 자가포식 작용의 억제 신호인 mTOR 경로는 베타인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므로, 베타인에 의해 유도된 자가포식 작용은 mTOR에 독립적임을 알 수 있었다. 베타인에 의해 촉진되는 자가포식 작용은 primary keratinocyte 및 skin equivalent에서도 관찰되었다. 또한, 베타인 처리된 인공피부에서 표피층 두께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자가포식 작용의 새로운 조절소재로서 베타인이 표피의 턴오버를 촉진하여 표피의 장벽기능을 개선하고 피부노화를 방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몇 가지 요인이 산꼬리풀 분화재배에 미치는 영향 (Several Factors Affecting of 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 for Pot Cultivation)

  • 이상인;연수호;이승연;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7-87
    • /
    • 2019
  • 현대인의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른 관상식물의 관심이 증가하여, 자생초화류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산꼬리풀[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은 국내 특산식물로서 산지의 초원에서 자생하고, 쪽빛을 내는 화기는 청아한 느낌을 주어 관화식물로서 이용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산꼬리풀의 분화 재배기술을 확립하고자 2018년 7월 2일부터 10월 15일까지 수행하였다. 대조구는 플라스틱 화분 10호에 원예상토를 충진한 다음 200구에 셀당 4립 파종하여 생산된 유묘를 정식하였다. 실험은 식재용기(플라스틱 8, 10, 12호 화분, 비닐포트 3, 4치), 토양종류[원예상토 단용, 중화 피트모스:펄라이트(3:1, 4:1), 마사토:중화 피트모스(2:1, 3:1)], 묘의 소질[파종립수(1, 2, 4, 6립), 파종용기(162, 200, 288구 트레이)] 등이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식재용기에 따른 생육은 플라스틱 화분 12호에서 왕성하였고, 포트의 용적량이 클수록 경직경, 측지수, 마디수, 엽수, 개화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토양종류에 따른 생육은 원예상토에서 가장 왕성하였고, 측지수, 경직경, 마디수, 엽수 및 개화율이 모두 우수하여 관상용 재배에 적합하였다. 피트모스 혼용토는 생육이 억제되는 동시에 잎이 황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마사토 혼용토의 경우, 생육이 억제되는 결과를 보였다. 셀당 파종량을 달리한 유묘를 정식하여 재배한 결과, 초장, 절간장은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포트당 마디수와 엽수는 증가하였으나, 1립 파종묘를 제외하고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개화율은 4립 파종묘(44.4%)가 1, 2, 6립 파종묘(20.8~25.0%)보다 높았다. 육묘용기별 생육은 초기생육이 우수하였던 162구 생산묘가 정식 후 재배에도 왕성한 생육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산꼬리풀의 최적의 분화재배를 위해 플라스틱 화분 12호에 원예상토를 충진한 다음 162구 트레이에 포트당 엽수와 개화율이 높은 4립 파종하여 생산된 유묘를 정식하여 재배하는 것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여 토양은 비교적 생육이 양호하였던 마사토의 활용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벼 약(葯)으로부터 callus 형성(形成)과 분화(分化)에 대(對)하여 (Callus Induction and Differentiation from Rice (Oryza Sativa L.) Anthers)

  • 김달웅;배민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권
    • /
    • pp.1-9
    • /
    • 1983
  • 벼 약(葯) 배양(培養)에 있어서 이삭내(內), 이삭당(當) callus의 형성량(形成量)의 차이(差異)와 형성(形成)된 callus의 처리과정(處理過程)의 분화(分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저온처리(低溫處理)에 의한 callus 형성량(形成量)의 증가(增加)와, 분화(分化)에서의 효과(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해 실시(實施)한 시험(試驗)의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Callus의 행장(生長)에는 고체배지(固體培地)가 액체배지(液體培地)보다 양호(良好)하였고, 특히 N-6배지(培地)가 19.8배(陪)의 생장율(生長率)로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분화(分化)에서도 역시 N-6배지(培地)가 뿌리에서 37.50%의 분화율(分化率)로 가장 높았으며, P. E 배지(培地)는 callus생장(生長)에는 M-S배지(培地)보다 불량(不良)하였으나 분화율(分化率)은 5% 높았다. 한 이삭내(內)에서는 극히 제한(制限)된 수(數)의 약(葯)에서만 callus가 형성(形成)되었으나 그 분포(分布)는 넓은 편이었다. 저온처리(低溫處理)로서 callus 형성량(形成量)이 증가(增加)하였고 특히 $7{\sim}8^{\circ}C$에 5일간(日開) 처리(處理)한것은 처리(處理)하지 않은것보다 38%가 증가(增加)하였다. 또한 저온처리(低溫處理)로서 callus의 형성시기(形成時期)가 빨라지며 형성기간(形成期間)의 폭(幅)도 넓어지는 경향(傾向)이 있다. 약(葯)에서 형성(形成)된 callus는 빨리 분화배지(分化培地)에 이식(移植)하는 것이 분화율(分化率)이 높으며 시일(時日)이 경과(經過)할수록 분화율(分化率)이 감소(減少)하였다. 고농도(高濃度)의 2, 4-D는 Callus의 생장과정(生長過程)에서 분화능력(分化能力)을 유지(維持)시켜 주는것으로 추정(推定)되며 분화중(分化中)의 callus는 저온처리(低溫處理)로서 뿌리에는 급격(急激)한 분화율(分化率)의 감소(減少)를 야기(惹起)시키나 줄기에는 $15{\sim}18^{\circ}C$에 5일간(日間) 처리(處理)한 것이 유효(有效)하였다.

  • PDF

유근피 추출물의 3T3-L1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억제 효능에 관한 연구 (Anti-adipogenic Activity of Cortex ulmi pumilae Extract in 3T3-L1 Preadipocytes)

  • 정현영;진수정;남수완;현숙경;김성구;김병우;권현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7-147
    • /
    • 2014
  • 유근피(Cortex ulmi pumilae)는 항산화, 항염증, 항균, 항암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으며, 뛰어난 소염효과로 예로부터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유근피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전을 검토하였다. 유근피 추출물을 분화유도제와 동시에 처리한 결과,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세포질 내 triglyceride 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지방세포분화 관련 전사인자인 $C/EBP{\alpha}$, $C/EBP{\beta}$$PPAR{\gamma}$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저하시켰다. 다음으로 유근피 추출물을 지방세포 분화 유도 단계별로 처리한 결과, 분화유도제와 동시에 처리한 경우 즉 분화 초기에 처리한 경우가 가장 효과적인 지방세포 분화 억제효능을 보였으며, 이 때 분화초기에 발현되는 $C/EBP{\beta}$의 발현량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유근피 추출물에 의해 mitotic clonal expansion 단계의 세포증식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세포주기분석을 통해 G1 arrest를 유발함으로써 증식이 억제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G1 arrest는 G1/S 전이 관련 단백질인 p21의 발현 증가, cyclin E의 발현 감소 및 Rb의 인산화 감소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로부터 유근피 추출물은 지방세포 분화 초기 단계에 작용하여 지방세포 분화 관련 전사인자의 발현을 억제하고 mitotic clonal expansion을 저해하여,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항비만 효능을 가지는 천연소재임을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이를 활용한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