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화

검색결과 4,038건 처리시간 0.028초

페레니얼 라이그라스의 품종에 따른 성숙종자 유래의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Capacity of Calluses Derived from Mature Seed of Perennial Ryegrass Cultivars)

  • 이기원;이종경;김기용;지희정;박형수;김경희;이병현;이상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85-290
    • /
    • 2009
  • 페레니얼 라이그라스의 5가지 품종을 이용하여 성숙종자로부터 배발생 캘러스 유도 및 캘러스로부터의 식물체 재분화 효율을 조사하였다. 성숙종자로부터 4주 동안 배양한 캘러스 유도율은 'Accent', 'Topgun', 'Renenge GLX', 'Bison', 'Tetrellite' 순으로 높은 캘러스 유도율을 보였고 암상태에서 배양한 캘러스가 광상태에서 배양한 것보다 7~9% 정도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식물체로의 재분화에 적합한 배지는 MS 배지보다 N6 배지에서 식물체 재분화율이 우수하였다. 품종간의 재분화율은 'Bison', 'Accent', 'Topgun', 'Renenge GLX', 'Tetrellite'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광상태에서 유식물로 분화되는 개체가 1~7% 정도 많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캘러스 유도율과 식물체 재분화율이 우수한 품종은 분자육종을 통한 신품종 페레니얼 라이그라스의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Retinoic acid의 ERK 신호전달경로를 통한 nitric oxide 유도 연골세포 탈분화 심화 기작 (Retinoic Acid Potentiates Nitric Oxide-Induced Dedifferentiation through the ERK Pathway in Rabbit Articular Chondrocytes)

  • 유선미;김송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34-541
    • /
    • 2011
  • Retinoic acid (RA)는 Vitamin A의 대사산물로서 토끼 관절 연골세포의 탈분화를 유도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RA가 탈분화를 조절하는 정확한 메커니즘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Nitric Oxide (NO)가 유도하는 탈분화에 미치는 RA의 분자적 기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RA는 NO가 유도하는 탈분화를 촉진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해 연골세포 분화의 표지 단백질인 type II collagen 및 Sox-9의 발현양상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으며, Alcian blue staining을 통해 연골세포의 기질을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인 sulfated proteoglycan의 발현량을 통해서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RA는 NO 가 유도하는 ERK의 활성을 더욱 증가 시켰다. ERK의 억제자인 PD98059를 사용하여 ERK의 활성을 억제하였을 때 RA가 감소시키는 type II collagen 및 Sox-9의 발현과 sulfated proteoglycan의 생성 양상이 PD98059에 의해 다시 회복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모든 결과를 종합해 볼 때, RA는 NO가 유도하는 탈분화를 ERK 신호전달경로를 통해 조절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L. longiflorum X L. elegans의 잡종 배로부터 캘러스의 증식 및 식물체 재분화 (Callus growth and plant regeneration from hybrid embryo of L. longiflorum X L. elegans)

  • 윤의수;권혜경;조이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3권2호
    • /
    • pp.99-104
    • /
    • 2006
  • L. longifilorum Georgia $\times$ L. elegans Kakutanohikari 잡종 배로부터 유식물체를 분화시키고, 이때 유도된 캘러스의 증식과 이 캘러스로부터 유식물체 분화과정을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다. 잡종 배는 배양한 60개 절편 중 48개 절편에서 86개체의 배주가 발아되었으며, 1 mg/L NAA가 캘러스로부터 식물체의 재분화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재분화를 억제한 캘러스만을 증식시키기 위해서는 0.1 mg/L NAA + 1 mg/L BA가 가장 양호하였다. 또한 Pyridoxin-HCI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는 유식물체의 재분화가 거의 보이지 않았으며 50 mg/L의 Pyridoxin-HCI을 첨가한 배지에서 유식물체의 재분화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배에서 발생된 캘러스의 원형성층 지역으로부터 체세포배가 형성되었으며, NAA가 전형성층 부분에서 배발생적 세포 또는 전배 발생의 증식을 자극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피라미속(잉어목, 잉어과)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II. Zacco속 및 Candidia속 어류의 계통적 유연관계 (Systematic Study on the Genus Zacco (Pisces, Cyprinidae). II.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Genera Zocco and Candidia)

  • 민미숙;양서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71-584
    • /
    • 1991
  • 잉어과(Gyprinidae)의 Zocco속 어류 4종과 Candidia속 어류 1종에 대한 종간 유연관계와 종분화 연대측정 및 이들의 지질학적 분포경로를 밝히기 위하여 한국, 일본 및 대만에서 채집된 개체를 대상으로 전기영동법에 의한 유전자 분석을 하였다. 각 종의 지역별(한국, 일본, 대만) 집단간 유전적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평균 유전적 근연치는 90% 이상이었다. Z. temmincki의 경우 일본집 단들은 한국의 A-type 집단과는 유연관계가 가까왔으나 한국의 B-type과는 유전적 차이가 현저하러다. Z. PlaD여5의 경우 한국집단과 일본집단사이의 유연관계는 S = 0.852였고, 한국집단과 대만집단 사이는 5 = 0.672, 일본집단과 대만집단 사이는 S = 0.751로서 지리적으로 현저한 차이를 업였다. Z. pochycephalus 3개 집단간의 유전적 근인치는 S = 0.963이었고 Candidia borbota 2개 집단간은 S = 0.946이었다. 종간의 유전적 근연환계를 비교한 결과 Candidia borbota와 Z. temmincki사이는 S = 0.608, Z. pluDpus와 1. pachycephalus사이는 S = 0.612였으나, Z. temmincki와 Z. platypus사이는 S = 0.441, Z. temmincki 와 Z. pochycepholus 사이는 S = 0.350이었고, Z. plotpus와 Condfda barbata사이는 S = 0.328로서 이들 사이에는 현저한 유전적 차이가 있었다. 각 종간의 롱분화 연대를 추산한 결과 이들은 약 480만년 전인 Pliocene 초기에 공통 조상종에서 분화하여 Z. temmincki, Candidia borbato group과 Z. plotypus, Z. pochycepholus group으로 분리되었고 약 260만년 전인 Pliocene 후기에 Z. temminc소와 Candidia borbota로 분화되었다고 추산되며 약 80만년 전인 Pleistocene시기에 남 temmincki B-type에서 h-type이 분화되었다짙 여겨진다. 한편 또 다른 한 단opP은 약 230만년 전인 열iocene후기에 대만 지역의 Z. plotypas에서 Z. pochvcepholus가 분화된 후 현재에 이르렀다고 추정된다. Z. platypus는 약150만년 이전인 초기 Pleistocene시기에 대만지역에서 한국 및 일본집단으로 분리되었다고 보며 이들 한국집단과 일본집단은 약 50만년 전 Pleistocene의 Middle기에 고황하 수계를 거쳐 현재의 분포 상황에 이르렀다고 여겨진다. 한편 대. temmin체과의 B-type에서 저온 적응으로 분화되었다고 추측되는 A-type은 약 20만년 전인 Pleistocene의 Riss기에 역시 고황하 수계를 통하여 한국과 일본으로 분포하여 현재에 이르렀다고 사료된다.

  • PDF

계배 근원세포의 융합에 따른 Transferrin 수용체의 변화 (Alteration in the Transferrin Receptor during the Chick Myoblast Fusion in Culture)

  • 이창호;유병제;전영주;정진하;하두봉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3-175
    • /
    • 1989
  • 철 운반 단백질인 Transferrin (Tf)은 계배 근원세포의 분화에 필요한 요소임이 이미 알려져 있다. 따라서 Tf이 작용하는데 필요한 Tf 수용체의 양적 증감은 근원세포의 분화와 깊은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배양 근원세포의 분화 과정에서 Tf 수용체가 어떠한 변화를 겪는지 알아 보았다. Tf 수용체의 양을 알아보기 위해 세포 표면에 결합되는 125I-Tf의 양을 측정한 결과, Tf 수용체는 근원세포의 분화과정의 하나인 세포융합이 일어나기 약 12시간 전까지 그 양이 증가하다가, 그 이후 근원세포의 분화가 더욱 진행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근원세포의 융합을 억제하는 여러가지 융합억제제들에 의해서도 그 양이 조절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통해 근원세포의 분화는 근원세포 표면의 Tf 수용체의 양과 조절되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생체내에서도 근원세포의 분화에 따라 Tf 수용체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들잔디 성숙종자로부터 캘러스배양 및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의 영향 (Factors Affecting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from Mature Seed of Zoysiagrass (Zoysia japonica Steud.))

  • 이상훈;김범수;원성혜;조진기;김기용;박근제;성병렬;이효신;이병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9-36
    • /
    • 2004
  • 들잔디(Zoysia japonica Steud.)의 최적 조직 배양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성숙종자로부터 최적 캘러스 유도 및 효율적인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몇 가지 요인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성숙종자로부터 배발생 캘러스 유도율은 3mg/L 2,4-D가 첨가된 MS 배지에서 85%로 가장 높았으며 NAA 또는 IAA를 첨가한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는 0.1 mg/L 2,4-D와 5 mg/L BA가 첨가된 N6 배지에서 73.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기본배지의 종류에 따른 배양효율의 차이는 배발생 캘러스 유도에는 MS 배지가, 식물체 재분화에는 N6배지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재분화 된 식물체는 1/2 MS rooting 배지에서 뿌리를 형성되어 pot에 이식하였을 때 정상적으로 분화되어 생장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단기간 고효율 재분화 시스템은 분자육종을 통한 신품종 들잔디의 개발에 유용하게 응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히스톤 H3K4 메칠화효소 SET1A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촉진 (Histone H3K4 Methyltransferase SET1A Stimulates the Adipogenesis of 3T3-L1 Preadipocytes)

  • 김선후;정명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1104-1110
    • /
    • 2017
  • 히스톤 H3K4의 메칠화는 3T3-L1의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히스톤 H3K4 메칠화 효소인 SET1A가 지방세포 분화를 조절하는지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SET1A의 3T3-L1 지방세포의 분화조절과 기전을 연구하였다. SET1A의 발현은 3T3-L1 지방세포 분화과정에서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siRNA을 이용하여 SET1A의 발현을 감소시키면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가 억제됨을 관찰하여 SET1A가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촉진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조절기전을 알기 위해, SET1A의 발현을 감소시킨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세포증식을 측정한 결과, 분화 초기 단계인 분화 후 2일 동안 3T3-L1 지방세포의 증식이 감소하였다. 또한 분화 후 7일 동안 지방세포세포 분화 조절인자들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SET1A의 발현을 감소시킨 3T3-L1 지방세포에서 $PPAR{\gamma}$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SET1A는 분화초기단계에서는 mitotic clonal expansion 단계를 촉진하고, 분화후기단계에서는 $PPAR{\gamma}$의 발현을 증가시켜 3T3-L1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