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화소재

Search Result 19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Inhibitory Effects of Illicium verum Hooker fil. Dichloromethane Fractions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팔각회향 dichloromethane 분획물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 Jeong, Hyun Young;Jeong, In Kyo;Kim, Nam Ju;Yun, Hee Jung;Park, Jung Ha;Kim, Byung Woo;Kwon, Hyun Ju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9 no.4
    • /
    • pp.447-454
    • /
    • 2019
  • Fat accumulation in adipocytes occurs through the process of adipogenesis in which preadipocytes differentiate into adipocytes. Obesity is a metabolic disorder caused by excessive accumulation of fat in the body, which increases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s, hypertension, type 2 diabetes, hyperlipidemia, and various cancers. Recently,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shown to be a potential antiobesity strategy. In this study, the inhibitory effect of dichloromethane fractions from Illicium verum Hooker fil. water extract on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to adipocytes was investigated. Dichloromethane fractions from I. verum Hooker fil. significantly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when applied during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process, as assessed by measuring fat accumulation using Oil-red O staining. In addition, dichloromethane fractions from I. verum Hooker fil. reduced important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such as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 ($C/EBP{\alpha}$), $C/EBP{\beta}$, and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The expression of FAS and LPL, which are terminal differentiation markers of mature adipocytes, was also reduced in the 3T3-L1 adipocytes treated with dichloromethane fractions from I. verum Hooker fil. In addition, the treatment significantly inhibited mitotic clonal expansion, which is essential for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arresting the G1 phase of the cell cycle.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chloromethane fractions from I. verum Hooker fil. may be a natural material with antiobesity effects.

Cell Viability and Hair Growth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Houttuynia cordata Whole Plant and Calendula arvensis Flower on HDFDPC and 3T3-L1 Cells (어성초, 금잔화 추출물의 모유두세포와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및 발모효과)

  • Jin, Seong-Woo;Kim, Kyung-Je;Koh, Young-Woo;Im, Seung-Bin;Jeong, Sang-Wook;Seo, Kyoungsu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79-79
    • /
    • 2018
  • 현대사회에서 스트레스, 환경오염 등으로 인하여 중년남성의 전유물로 여겨져 왔던 탈모가 젊은 사람들에게서도 나타나며, 탈모로 고민하는 인구가 약 700만 명 이상으로 추산되고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탈모관련 시장은 현재 약 4조원 규모이며 지속적인 성장세에 있으며, 주로 한약재등 천연추출물을 혼합하여 제품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성초, 금잔화 7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천연발모제 소재화를 목적으로 섬유아세포, 모유두세포,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및 지방전구세포 분화를 통한 발모 효능을 확인하여 약용작물을 이용한 향장품 소재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섬유아세포에 각 시료에 대한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는 어성초 70% 에탄올 추출물을 50, 100, $500{\mu}g/mL$으로 처리하였을 때 107.3%, 109.6%, 128.2%로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다. 모유두세포에 대한 각 시료의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모발의 생육을 촉진하는 혈소판에서 유래하는 성장인자를 분비하여 모발 재생에 효과를 나타내는 지방전구 세포의 지방 분화 확인 결과 금잔화와 어성초 70% 에탄올 추출물을 $10{\m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 104.3%, 103.9%의 분화율을 나타내었고, 어성초 출물의 경우 처리 농도의 증가에 따라 지방분화율이 유의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육모용 모발제품 소재 개발을 위한 생약초 자원들의 in-vitro 육모활성관련 실험 결과 어성초와 금잔화는 각 세포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어성초 70% 에탄올 추출물은 지방전구세포를 자극하여 지방 분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어성초와 금잔화 70% 에탄올 추출물은 탈모관련 향장품 개발 소재로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issue Engineering for Dental Implants

  • Kim, Hyun-Man;Go, Jae-Seung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38 no.4
    • /
    • pp.421-426
    • /
    • 2000
  • 조직공학은 결손된 조직의 구조 및 기능을 신속히 수복할 수 있도록 적절한 생체소재, 세포, 활성인자 세가지 구성요소를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므로써 결손된 조직을 대체할 수 있는 세포에 대한 부착, 이동, 증식, 분화조건을 최적상태로 만들어 주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치아임플랜트의 조직 공학적 적용은 다음 몇가지 관점을 고려할 수 있다. 첫째, 인공치아 임플랜트도 넓은 의미에서 그 자체로서 조직공학의 범주에 들어간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결손된 치아의 구조 및 기능을 신속히 회복시킬 수 있도록 조직공학적인 관점에서 검토할 수 있다. 생체소재는 표면에너지의 관점에서, 세포는 골모세표와 섬유모세포관점에서, 활성인자는 세포분화 촉진인자의 관점을 고려할 수 있다. 둘째, 치아임플랜트의 기능회복 촉진을 위한 조직공학기법을 부가적으로 적용하는 것이다. 임플랜트와 생체조직사이에 기능성 조직을 신속히 형성시키므로써 임플랜트의 기능회복을 촉진하는 적절한 생체소재, 세포, 활성인자를 적절히 이용하는 정통 조직공학기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 PDF

천연물로부터의 항노화소재 개발: Triterpenoid계 식물성분인 Oleanolic acid의 항노화 효과

  • 남개원;이소희;김승훈;김수현;성대석;김수남;이병곤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29 no.1
    • /
    • pp.27-44
    • /
    • 2003
  • 전반적인 피부세포의 생리적 지능 자하로 인한 자연노화와 더불어, 여러 피부 스트레스 요인들이 다양하게 작용하여 발생하는 외인성노화를 방지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항노화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예로부터 항염활성이 있다고 알려진 oleanolic acid(OA)를 포함한 ursolic acid(UA), betulin, betulinic acid(BA) 등의 triterpenoids가 어떻게 피부에서의 항노화 활성을 나타내는지를 알아보았다. 시험 결과, OA는 자외선에 의한 각질형성세포에서의 PGE$_2$ 생성과 섬유아세포(NHF)에 의한 matrix metalloproteinase-1(MMP-1) 분비를 억제하였다. 그리고, NHF의 procollagen 생성을 촉진하였으며, 이런 procollagen 생성촉진활성이 in vivo에서도 발현되는 것을 무모생쥐의 실험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또한 OA는 각질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여 표피세포로 하여금 세라마이므와 필라그린 생성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작용도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실험한 UA, betulin, BA 들은 비록, betulin, BA의 경우 세포 독성이 다른 물질 들에 비해 높았고, UA가 각질세포의 분화를 오히려 억제하는 양상을 보이기는 했지만, 대부분의 기능은 OA와 유사하였다. 피부세포보호작용과 진피 기질물질에 대한 작용, 그리고, 표피의 장벽기능과 보습기능에 대해 시험한 본 연구는, 식물성분인 triterpenoids가 피부를 위한 항노화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고, 그 중에서도 OA가 보다 우수한 항노화 소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Novel Role of Dipterocarpus tuberculatus Roxb. as a Lipogenesis Inhibitor and Lipolysis Stimulator in 3T3-L1 Adipocytes (3T3-L1 지방세포에서 lipogenesis 저해제와 lipolysis 촉진제로서 Dipterocarpus tuberculatus Roxb.의 새로운 역할)

  • Su Jin, Lee;Ji Eun, Kim;Yun Ju, Choi;You Jeong, Jin;Yu Jeong, Roh;AYun, Seol;Hee Jin, Song;Dae Youn, Hwang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2 no.11
    • /
    • pp.855-864
    • /
    • 2022
  • The pharmacological efficacy of Dipterocarpus tuberculatus Roxb. has been verified in only several fields including photoaging, inflammation, hepatotoxicity, acute gastritis and osseointegration. To identify the novel functions of Dipterocarpus tuberculatus Roxb. on anti-obesity, inhibitory effect on lipid accumulation and stimulatory effect on lipolysis were investigated in MDI (3-isobutyl-1-methyl-xanthine, dexamethasone, and insulin) stimulated 3T3-L1 adipocytes treated with methanol extracts of Dipterocarpus tuberculatus Roxb. (MED). Lipogenic targets, including lipid accumulation, level of l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expression of lipogenic regulators, were downregulated in MDI-stimulated 3T3-L1 adipocytes treated with MED without any significant cytotoxicity. Also, MED treatment inhibited the mRNA levels of adipogenic targets including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γ and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C/EBP) α, as well as lipogeic targets including adipocyte fatty acid binding protein 2 (aP2) and fatty acid synthetase (FAS) in MDI-stimulated 3T3-L1 adipocytes. A similar decrease patterns were detected in Oil red O stained lipid droplets of MED treated MDI-stimulated 3T3-L1 adipocytes. Furthermore, several lipolytic targets, such as cAMP concentration, concentration of free glycerol, expression level of lipases, including ATGL, perilipin and HSL, were upregulated in MDI-stimulated 3T3-L1 adipocytes treated with MED. These results show that MED has a novel role as a lipogenesis inhibitor and lipolysis stimulator in MDI-stimulated 3T3-L1 adipocytes.

Genetic Stability Analysis of in vitro Regenerated Wolly Grass (Imperata cylindrica 'Rubra') Based on Inter-Simple Sequence Repeats (ISSR) Markers (ISSR 표지에 의한 기내재생 홍띠(Imperata cylindrica 'Rubra')의 유전적 안정성 분석)

  • Ye-Jin Lee;In-jin Kang;Chang-Hyu Ba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54-54
    • /
    • 2020
  • 지구온난화에 따라 농업부문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화본과 식물은 바이오에너지작물의 중요한 소재를 제공하고 있다. 화본과 식물의 기내대량증식연구의 일환으로 홍띠식물의 기내 재생 식물체의 유전적 안정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기내배양으로 재분화시킨 홍띠(Imperata cylindrica 'Rubra') 재분화 식물체 중 녹색체 재생식물체를 대상으로 ISSR 표지를 사용하여 유전적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재분화식물체는 MS (Murashige and Skoog, 1962)배지에 생장조절제를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생장점 부위를 적출하여 캘러스를 유도하고(0.1 mg/L 2,4-D와 2 mg/L BA), 캘러스 증식(0.1 mg/L 2,4-D와 0.05 mg/L BA), 신초 재분화( 0.01 mg/L NAA와 2 mg/L BA) 후 MS배지에서 식물체를 양성하고 순화시켰다. 배양은 26±2℃, 25 µmol/m2/s, 14h/10h (day/night) 광조건 하에서 실시하였다. 재분화식물체는 홍띠 및 녹색 재분화식물체 2 종류로 나타났는데, 이는 생장점에서는 홍띠가 분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생장점 주변조직에서 유래한 녹새체가 분화된 후 우세하게 자라서 녹색재생체가 우점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ISSR 분석은 대조구로 모식물체 홍띠를(8개체), 재분화식물체는 녹색체 중, 1년간 노지포장에서 재배중인 녹색체(10개체)와 실험실내 화분에서 재배중인 시료를(10개체) 사용하였다. ISSR 밴드패턴을 비교한 결과, 재분화체는 실내포트 재배식물체 10.3%, 노지1년 재배식물체 8.3%로 대조구의 4.1%보다 유전적 다형성 비율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재분화식물체들의 유전적 유사도를 평가하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Effect of extract from Maclura tricuspidata twig fermented with Ganoderma lucidum mycelium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inflammation in 3T3-L1 cells (영지버섯 균사체 발효 꾸지뽕 잔가지 추출물의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 및 항염증 효과)

  • Ki-Man Kim;Se-Eun Park;Seung Kim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30 no.3
    • /
    • pp.502-513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nti-adipogenic and anti-inflammation effects of extract from Maclura tricuspidata twig fermented with Ganoderma lucidum mycelium (EMFG) in 3T3-L1 preadipocytes. 3T3-L1 adipocytes were treated with 100, 200, 300 ㎍/mL of EMFG. The result showed that EMFG dose-dependently inhibited the accumulation of intracellular lipid content in differentiated 3T3-L1 adipocytes and enhanced increase of adiponectin release and inhibition of leptin release. EMFG treatment reduced expression of adipogenic transcriptional factor such a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γ),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C/EBPα). EMFG also decreased production of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terleukin-6 (IL-6) and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and the protein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ible NOS (iNOS) in differentiated 3T3-L1 adipocytes. The study demonstrated that EMFG inhibited adipogenesis and inflamm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MFG may have potential as an anti-obesity and anti-metabolic disease agent that works by inhibiting adipogenesis and inflammation.

Anti-Obesity Effects of Red Onions Extract (적양파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

  • Song, Hwan;Seo, Ji-Hu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2 no.3
    • /
    • pp.126-131
    • /
    • 2022
  • Obesity is known as a metabolic disease caused by abnormal differentiation of fat tissue due to an imbalance between energy intake and consum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changes in the genes associated with pancreatic lipase activity and pre-adipocyte cell differentiation by treatment of red onion extract treatment. The effect of red onion extract treatment on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evaluated using 3T3-L1 adipocytes, and the activity of related genes was confirmed through Real-Time PCR.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red onion extract inhibit pancreatic lipidase activity by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In addition, it was found to inhibit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inhibit the activity of genes(C/EBP-α, C/EBP-β, PPAR-γ) associated with adipocyte differenti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t is suggested that the red onion extract can be developed as a high potential material with anti-obesity efficacy by suppressing adipocytic differentiation by controlling genes related to adipocyte differentiation.

Collagen과 osteopontin이 도입된 고기능성 PCL membrane의 제조 및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골세포 분화능 관찰

  • Kim, Yeong-Hui;Song, Ho-Yeon;Jyoti, Anirban;Byeon, In-Seon;Park, Min-Ju;Lee, Byeong-Taek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05a
    • /
    • pp.42.1-42.1
    • /
    • 2010
  • Poly-carprolactone (PCL)은 생분해성 고분자로 장기간의 임상실험 결과 생체에 독성이 없으며 생체친화성이 우수한 소재로 확인되어 PLGA, PLLA 등과 더불어 조직공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생체재료이다. 그러나 PCL은 5개의 비극성 methylene group과 1개의 극성 ester group이 반복되는 지방족의 polyester로 구조상 탄소수가 많아 소수성을 띄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표면이 소수성인 재료의 경우, 초기 단백질 흡착능이 떨어져 세포의 부착이 느린 속도로 일어나므로 세포 분화 및 조직 재생이 더디게 일어난다. 본 연구에서는 소수성의 PCL 표면의 단백질 흡착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기능성 amine group을 부착하였으며, 또한 골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는 세포외 기질인 collagen과 osteopontin을 부착함으로써 고기능성 PCL membrane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PCL membrane은 골재생용 조직공학에의 응용을 위해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부착능 및 골세포로의 분화능을 확인하였다. 표면 성질의 변화에 의한 세포의 부착능의 변화를 confocal microscopy을 이용하여 부착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collagen과 osteopontin에 의한 골세포로의 분화능을 확인하기 위해 real time PCR을 통해 골세포의 분화 표지 유전자의 발현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Evaluation of the Anti-obesity Activity of Platycodon grandiflorum Root and Curcuma longa Root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도라지, 울금의 Aspergillus oryzae 발효에 의한 항비만효과 연구)

  • Kang, Yun Hwan;Kim, Kyoung Kon;Kim, Tae Woo;Yang, Chun Su;Choe, Myeo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7 no.1
    • /
    • pp.111-118
    • /
    • 2015
  • In the present study, the phenolic compound level,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of lipid accumulation in Aspergillus oryzae-fermented water extracts of the Platycodon grandiflorum (PG) root and the Curcuma longa (CL) root were determined.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decreased after fermentation. However, the flavonoid content of the fermented PG (FPG) was increased by 2.9-fold that of the PG before fermentation. In additi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following fermentation. The potential anti-obesity activity was assessed by determining lipid accumulation and mRNA expression of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c (SREBP-1c)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in 3T3-L1 cells. Aspergillus-fermented extracts of PG and CL roots decreased lipid accumulation, and mRNA expression of SREBP-1c and $PPAR{\gamma}$ in 3T3-L1 cel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spergillus fermentation augments the anti-obesity activity of PG and CL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the genes involved in lipid accumulation and cell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