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해반응

Search Result 3,805,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Middle distillate production by the hydrocracking of FT wax over solid acid catalysts (고체산 촉매상에서 FT WAX의 수소첨가 분해반응에 의한 중질유 생산)

  • Jeong, Heondo;Jung, He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14.2-114.2
    • /
    • 2010
  • Fisher-Tropsch 반응을 통하여 생성되는 왁스는 황 또는 질소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며 또한 방향족 및 중금속 성분이 없기 때문에 청정 수송유로써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Fisher-Tropsch 왁스는 그 분자량이 매우 큰 사슬형 탄화수소이기 때문에 수소첨가 분해반응을 통하여 중질유 range의 탄소수를 갖는 탄화수소로의 전환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수소첨가 분해반응에 사용되는 촉매는 강한 산점을 지니고 있는 양이온 교환 지르코니아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데 최근 들어 강한 산점과 높은 산밀도, 그리고 기공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특정 반응이 제어되거나 활성화되는 형상선택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반응에 촉매로 사용되는 제올라이트에 Pt 등의 귀금속을 담지한 촉매를 사용하여 Fisher-Tropsch 왁스의 전환율 및 중질유분의 선택도를 높이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제올라이트 촉매에 귀금속을 담지하여 촉매를 제조하고 1L 급 고압 배치형 반응기를 이용하여 Fisher-Tropsch 왁스의 수소첨가 분해반응에 의한 중질유 제조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고찰하였다.

  • PDF

Catalysis of carbon-black for hydrogen production by butane decomposition reaction (부탄의 직접분해로부터 수소 생산을 위한 카본블랙의 촉매적 작용)

  • Yoon, Suk-Hoon;Han, Gi-Bo;Park, No-Kuk;Ryu, Si-Ok;Lee, Tae-Jin;Yoon, Ki-June;Han, Gui-You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380-383
    • /
    • 2006
  • 수소는 미래의 청정에너지원이다. 수소를 생산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탄소계촉매를 이용하여 부탄을 분해하는 것이다. 촉매는 카본블랙이 사용되었으며, $500{\sim}110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열분해 반응과 촉매분해반응이 수행되었다. 열분해의 경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화율이 증가하여 $800^{\circ}C$에서 98.9%로 부탄이 거의 분해되었으며, $90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전화율이 100%까지 도달하였다. 부탄 분해반응에서 기대되는 생성물은 메탄, 에틸렌, 에탄, 프로필렌, 프로판 등이다. $1000^{\circ}C$이상의 온도에서는 부탄 촉매 분해반응에서 거의 대부분 수소와 메탄만이 관찰되었다. 특히 $500-1100^{\circ}C$까지 온도가 증가하였을 때 수소의 생성율은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촉매분해반응이 촉매를 사용하지 않은 열분해반응보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소의 선택도를 더욱 향상시켜 보다 많은 수소가 생성되었으며, 반응성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촉매의 비활성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반응전후의 촉매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TEM 및 SEM 분석을 하였다. 반응전의 촉매는 매끈한 모양이었으나 $1000-1100^{\circ}C$에서 반응후에는 표면에 돌기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Reaction Temperature Program on Thermal Degradation of Low-quality Pyrolytic Oil for Bench-scale Continuous Reaction System (벤치 규모 연속반응시스템에서 저급 열분해유 분해반응에 대한 반응온도 프로그램의 영향)

  • Lee, Kyong-Hwan;Nam, Ki-Yun
    • Clean Technology
    • /
    • v.15 no.3
    • /
    • pp.186-193
    • /
    • 2009
  •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 materials obtained from thermal degradation of low-qualify pyrolytic oil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reactants were produced by pyrolysis of mixed plastic waste with film type in a commercial rotary kiln reaction system. The properties of reactants were measured by elemental analysis, calorimetry analysis and SIMDIST analyst. The result of degradation experiments with different reaction temperature programs was discussed through product yields, cumulative yields and production rates of oil products. The multi-step reaction temperature program resulted in higher yields of product oils and lower yields of residues than one-step reaction temperature program. The product characteristics such as production yield and the rate of oil products etc. were influenced by reaction temperature program in the continuous thermal degradation.

Kinetic Studies on Enzymatic Hydrolysis of Cellulose(II) - Evaluation of Several Factors for Enzyme Adsorption and Initial Hydrolysis - (섬유소 가수분해반응에 관한 연구(II) - 효소흡착과 가수분해반응에 관여하는 여러인자의 영향 -)

  • Lee, Yong-Hun;Kim, Chul
    • KSBB Journal
    • /
    • v.6 no.2
    • /
    • pp.167-174
    • /
    • 1991
  • Enzymatic cellulose hydrolysis depends on the several factors such as the structural features (CrI, particle size and surface area, etc.), the nature of cellulase enzyme system, the inhibitory effects of products, and enzyme deactivation. At the presence of products on the initial hydro- lysis rate of cellulose, cellobiose has more severe inhibitory effect than glucose. Othewise, the inhibition effect of products for adsorbed enzyme is related to the glucose and cellobiose conentration hyperbolically. Enzyme deactivation of FPA and ${\beta}-glucosidase$ were expressed by exponential decay profile.

  • PDF

Thermal Degrndation of High Molecular Components obtained from Kiln Pyrolysis Reactor (킬른 열분해 반응기로부터 생성된 고분자량 성분의 열적분해)

  • Oh, Sea-Cheon;Ryu, Jae-Hun;Kwak, Hyun;Bae, Seong-Youl;Lee, Kyung-Hwan;Liu, Daivd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623-626
    • /
    • 2007
  • 킬른형 열분해 반응기를 이용하여 혼합폐플라스틱의 열분해로부터 얻어진 고분자성분의 열적분해 특성에 관한 연구를 TGA와 GC-MS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열적분해의 속도론적 연구는 $10{\sim}50^{\circ}C/min$ 사이의 여러 가열속도에서 비등온 질량감소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활성화 에너지 및 반응 차수와 같은 속도 상수들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문헌에 제시된 여러 가지의 속도론 해석방법을 이용하여 질량감소곡선 및 그 미분 값을 해석하였다. 또한 회분식 열분해 반응기를 이용하여 반응온도에 따른 액상 생성물의 수율변화를 고찰하였으며 GC-MS를 이용하여 액상 생성물의 반응온도 증가에 따른 특성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Cross Alkane Metathesis Reaction for Waste Plastic Degradation (폐플라스틱 분해를 위한 알칸 교차 복분해 반응)

  • Kim, Jueun;An, Kwangjin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4 no.2
    • /
    • pp.22-30
    • /
    • 2021
  • 현재 인류는 플라스틱(plastic) 세상에 살고 있다. 의류, 식품, 주거 생활 곳곳에 플라스틱이 존재하며, 플라스틱이 없는 세상은 상상조차 할 수 없다. 하지만, 플라스틱 사용량 증가에 따른 폐플라스틱의 배출량의 증가는 심각한 환경문제들을 야기하여 생태계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위협이 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단순히 폐플라스틱의 처리에 그치지 않고, 이를 활용하여 새로운 고부가가치의 생성물을 제조하는 플라스틱 업사이클링(plastic upcycling) 시스템이 최근 주목을 받고 있으며, 현재 다양한 형태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의 한가지로 본 기고문에서는 알칸 교차 복분해(cross alkane metathesis) 반응을 소개한다. 알칸 교차 복분해 반응은 수소화/탈수소화(hydrogenation/dehydrogenation) 반응과 올레핀 복분해(olefin metathesis) 반응으로 이루어져, 탈수소화 반응 후 생성된 이중결합 탄소를 갖는 두 개의 알켄 화합물이 자리바꿈을 통해 새로운 이중 결합을 형성하는 반응이다. 이 촉매반응 과정이 반복되면 저분자화된 새로운 알칸 화합물을 생성되는데, 이는 기존의 플라스틱 처리방식인 열분해 및 촉매 분해 공정보다 낮은 반응온도를 요구한다. 또한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높은 순도의 가솔린 및 디젤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폐플라스틱 처리 공정의 새로운 대안기술이 될 수 있다. 본 기고문에서 폐플라스틱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폴리에틸렌을 처리하는 대안기술로써 알칸 교차 복분해 반응의 메커니즘과 및 촉매의 역할, 그리고 반응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해 기술한다.

Fast Pyrolysis Characteristics of Jatropha Curcas L. Seed Cake with Respect to Cone Angle of Spouted Bed Reactor (분사층 반응기의 원뿔각에 따른 Jatropha Curcas L. Seed Cake의 급속열분해 특성)

  • Park, Hoon Chae;Lee, Byeong-Kyu;Kim, Hyo Sung;Choi, Hang Seok
    • Clean Technology
    • /
    • v.25 no.2
    • /
    • pp.161-167
    • /
    • 2019
  • Several types of reactors have been used during the past decade to perform fast pyrolysis of biomass. Among the developed fast pyrolysis reactors, fluidized bed reactors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fast pyrolysis process. In recent years, experiment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haracteristics of biomass fast pyrolysis in a spouted bed reactor. The fluidization characteristics of a spouted bed reactor are influenced by particle properties, fluid jet velocity, and the structure of the core and annulus. The geometry of the spouted bed reactor is the main factor determining the structure of the core and annulus. Accordingly, to optimize the design of a spouted bed reactor,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yrolysis characteristics of biomass. However, no detailed investigations have been made of the fast pyrolysis characteristics of biomass in accordance with the geometry of the spouted bed reactor. In this study, fast pyrolysis experiments using Jatropha curcas L. seed shell cake were conducted in a conical spouted bed reactor to study the effects of reaction temperature and reactor cone angle on the product yield and pyrolysis oil quality. The highest energy yield of pyrolysis oil obtained was 63.9% with a reaction temperature of $450^{\circ}C$ and reactor cone angle of $44^{\circ}$.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action temperature and reactor cone angle affected the quality of the pyrolysis oil.

The Study of Adsorption and Decomposition Reaction on the Sulfided Mo Single Crystal Surface (황화된 Mo 단결정 표면에서 Furan의 흡착 및 분해반응 연구)

  • ;Philip R. Watson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4 no.2
    • /
    • pp.150-155
    • /
    • 1995
  • Mo 단결정 표면에 황을 흡착시켜 형성된 상층구조를 AES와 LEED로써 연구하였다. 황의 피복률은 sulfur gun으로부터 생성되는 S2 flux로써 조절하였으며, 여러 가지 흡착된 황의 상층구조를 LEED로써 관찰하였다. 황화된 Mo 표면에서 탈산소반응(HDO)의 모델 분자로서, Furan의 흡착과 반응을 승온반응분광법(TPRS)으로 조사하였다. 낮은 온도에서 Furan 분자의 헤테로 원자는 직접 이탈하여 안정한 기체상의 반응 생성물인 일산화탄소를 형성하였으며, 이 반응은 Mo의 (100) 및 (110)면에서 각각 깨끗한 표면 및 황화된 표면에 관계없이 일어났다. 이를 바탕으로 Mo 표면에서 Furan의 분해반응에 대한 메카니즘을 제안하였다.

  • PDF

Reactions of n-Butane and 1-Butene on Transition-Metal-Zeolite Y Catalysts (전이금속-Zeolite Y 촉매에서의 n-Butane 및 1-Butene의 반응)

  • Chon Hakze;Park Sang Eon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21 no.6
    • /
    • pp.422-426
    • /
    • 1977
  • Transition-metal-loaded zeolite Y catalysts were prepared from LaY by exchanging with cobalt, nickel and palladium ions, followed by reduction in a hydrogen stream. The reactions of 1-butene and n-butane were studied on Co-, Ni-and Pd-loaded Y as well as La-exchanged Y using micro-catalytic pulse technique. For 1-butene reaction Ni-, Co-, Pd-loaded Y and La-exchanged Y all showed high activity suggesting that the acidic component, not the metallic component, was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activity. For n-butane reaction on La-exchanged Y, the addition of 1-butene enhanced the activity. Significant cracking conversion of n-butane was observed for Ni-and Pd-loaded Y. Activity was higher on samples reduced at higher temperature and of higher metal content. It seems that the dehydrogenation to butenes at metallic sites is the primary step in the n-butane cracking reaction. On Ni-Y the cracking product was C_1$ both from the mixture of 1-butane and hydrogen and from n-butane. It may be that on Ni-Y, n-butane is dehydrogenated to butenes and subsequently hydro-cracked to C_1$.

  • PDF

Characterization of Carbon Black and Oil from Positive Process of movable disc type for Waste Tires Pyrolysis (디스크 이동식 폐타이어 열분해 실증 설비로부터 생성된 Carbon Black, Oil의 특성 분석)

  • Ha, Hyun-Jung;Kim, Seong-Yeon;Kim, Ki-Kye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483-48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디스크 이동식 열분해 실증 설비를 이용하여 폐타이어 열분해 반응을 수행하였고, 생성된 열분해 생성물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폐타이어 열분해 반응은 약 $550^{\circ}C$에서 90분간 진행되었고, 반응 결과 Recovered Oil, Carbon Black, Non Condensing Gas(NC Gas)가 생성되었다. 폐타이어 열분해 생성물의 수율은 Recovered Oil $40{\sim}50%$, Carbon Black 30$\sim$35%, NC Gas 10$\sim$15%, Steel 10$\sim$15%로 나타났다. 폐타이어 열분해 반응 후 생성된 Recovered Oil은 비점 및 특성 분석 결과 상업용 중유와 비슷한 성질을 나타냈고, 폐타이어 열분해 반응의 또 다른 생성물인 Carbon Black은 특성 분석 결과 고정 탄소 비율이 낮은 반면 회분과 휘발분의 비율이 높아 상업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정제 과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열분해 과정 중에 생성된NC Gas는 GC/MS를 이용하여 성분 분석을 수행한 결과, $CO_2$, $CH_4$를 비롯하여 주로 탄화수소류로 이루어졌으며, 대부분이 연료 가스로 구성되어 있어 열분해 반응의 열원으로서 사용이 가능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