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할 특징 형상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A Study on Feature Point Recognition for 3D Modeling of object image (객체 영상의 3D 모델링을 위한 특징점 인식에 관한 연구)

  • 정윤수;이해원;김진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0.10a
    • /
    • pp.517-521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영상 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객체의 실세계 좌표를 나타내는 특징점을 인식하는 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육면체 형상의 객체를 대상으로 하며, 이러한 객체 영상의 주요한 특징점은 육면체를 결정짓는 꼭지점들로 이루어진다. 제안된 방법은 CCD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모듈, 획득된 영상에 대하여 관심 영역을 찾는 영상 분할 모듈, 분할된 관심 영역에 대하여 sobel operator등을 이용하여 경계 정보를 검출하는 영상 처리 모듈, 그리고 세선화, line fitting과정을 통하여 직선 벡터들을 검출한 후에 객체의 주요한 특징점을 인식하는 모듈로 구성된다.

  • PDF

Hand-Gesture Algorithm using Morphological Shape Decomposition Elements (형태론적 형태 분해 요소를 이용한 손짓 인식 알고리즘)

  • 김정훈;윤용인;최종수;김태은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103-106
    • /
    • 2001
  • 최근 들어 인간의 의지를 컴퓨터에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컴퓨터 시각기반 방식으로 제스처를 인식하고자 하는 연구가 널리 진행되고 있다. 제스처 인식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실시간 처리로 알고리즘의 단순화와 처리시간의 감소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기하학적 집합론에 근거하고 있는 수학적 형태론을 적용하였다. 형태론적 형상분해를 적용하여 얻은 손짓 형상의 원시형상 요소들의 방향성은 손짓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내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 원시형상 요소와 부 원시형상원소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직선으로부터 특징벡터를 이용한 형태론적 제스처 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그 유용성을 증명한다.

  • PDF

Small feature creation on the parameterized surface by using subdivision and texture mapping (곡면 분할 및 텍스쳐 매핑을 사용한 삼각 메쉬의 미세형상 생성)

  • Kim Hyunsoo;Choi Hankyun;Lee Kwan H.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730-73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곡면 분할 및 텍스쳐 매핑 기법을 적용하여 자유 형상의 삼각 메쉬 위에 텍스쳐 이미지를 이용한 이세 형상 정보를 표현하는 기법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텍스쳐 이미지 상의 특징 형상을 3차원 메쉬에 표현하기 위해 먼저 삼각 메쉬를 파라미터화(pararneterization)하여 꼭지점의 텍스쳐 좌표를 획득한 후, 이미지의 픽셀 값과 꼭지점의 법선 벡터를 사용하여 메쉬의 형상을 변화시킨다.

  • PDF

Automatic Segmentation of the Mandible using Shape-Constrained Information in Cranio-Maxillo-Facial CBCT Images (두개악안면 CBCT 영상에서 형상제약 정보를 사용한 하악골 자동 분할)

  • Kim, Joojin;Lee, Min Jin;Hong, Hele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3 no.5
    • /
    • pp.19-27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utomatic segmentation method of the mandible using shape-constrained information in cranio-maxillo-facial CBCT images.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the following two steps. First, the mandible segmentation based on the global shape inform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statistical shape model generated using the MDCT images. Second, improvement of mandible segmentation is performed considering the local shape information and intensity characteristics of the mandible.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the proposed method was evaluat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manual segmentation by exper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Dice Similarity Coefficient of the proposed method was 95.64% and 90.97%, respectively, in the mandible body region including the narrow region of large curvature and the condyle region with large positional variance.

학습을 통한 공작기계부품의 가공방법 및 가공공구 결정에 관한 연구

  • 이충수;노형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4.04a
    • /
    • pp.198-207
    • /
    • 1994
  • 공작기계부품 가공을 위한 공정표는 가공공정, 공정별 도면 분할, 가공기계 등을 결정하는 공정계획과 한 공정에 대하여 가공방법, 가공공구, 절삭조건, 공수등을 결정하는 작업계획을 통하여 발행된다. 작업계획에서 가공방법과 가공공구의 결정은 절삭조건과 공수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가공방법과 가공공구를 결정하기 위해 전문가 시스템 쉘(expert system shell)이용한 사례가 많았다. 이 경우, 지식 베이스(knowledge base) 의 구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지식이 변했을 때 수정의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되지 않아 변경의 소지가 많은 가공방법과 가공공구 결정에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의 한 종류인 백 프로퍼게이션 (back propagation) 학습 모델을 이용했다. 공정계획 후 분할된 공정별 도면으로부 터 크기 및 정밀도 등과 같은 특징형상(feature) 정보를 추출한 후, 특징형상 의 종류와 크기, 치수공차, 기하공차, 거칠기 등을 입력하여 가공방법 및 가 공공구가 출력되도록 학습패턴을 설정하여 학습시켰다. 학습패턴은 공정설계 전문가와 인터뷰하는 방법과 작업계획 과정을 분석하는 방법을 통하여 설정 했다. 백 프로퍼게이션 모델을 통하여 학습시킨 결과, 학습시킨대로 정확한 가공방법 및 가공공구를 결정할 수 있었다.

Simplification of Boundary Representation Models Based on Stepwise Volume Decomposition (단계적 볼륨분해에 기반한 경계표현 모델의 단순화)

  • Kim, Byung Chul;Mun, Duhwa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7 no.10
    • /
    • pp.1305-1313
    • /
    • 2013
  • In this study, a method to apply feature-based simplification to boundary representation models is proposed. For feature-based simplification, a volume decomposition tree is created from a boundary representation model. The volume decomposition tree is represented by regularized Boolean operations of additive volumes, subtractive volumes, and fillet/round/chamfer volumes, and it is generated by stepwise volume decomposition, which consists of fillet/round/chamfer decomposition, wrap-around decomposition, volume split decomposition, and cell-based decomposition. After the volume decomposition tree is transformed to an infix expression, the CAD model can be simplified by reordering the volumes.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 a prototype system was implemented, and experiments on test cases were conducted.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it is verified that the proposed method is useful for simplifying CAD models based on boundary representation.

Shape Recognition of 3-D Protein Molecules Using Feature and Pocket Points (포켓과 특징 점을 이용한 3차원 단백질 분자 형상인식)

  • Lee, Hang-Cha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1 no.3
    • /
    • pp.75-81
    • /
    • 2011
  • Protein molecules are combined with another ones which have similar shapes at pocket positions. The pocket positions can be good references to describe the shapes of protein molecules. Harris corner detector is commonly used to detect feature points of 2 or 3D objects. Feature points can be found on the pocket areas and the points which have high derivatives. Generally speaking, the densities of feature points are relatively high at pocket areas because the shapes of pockets are concave. The pocket areas can be decided by the subdivision of voxel cubes which include feature points. The Euclidean distances between feature points and the central coordinate of the decided pocket area are calculated and sorted. The graph of sorted distances describes the shape of a protein molecule and the distribution of feature points. Therefore, it can be used to classify protein molecules by their shapes. Even though the shapes of protein molecules have been distorted with noises, they can be recognized with the accuracy more than 95 %. The accurate shape recognition provides the information to predict the binding properties of protein molecules.

Recognition and Reconstruction of 3-D Polyhedral Object using Model-based Perceptual Grouping (모델 기반 지각적 그룹핑을 이용한 3차원 다면체의 인식 및 형상 복원)

  • 박인규;이경무;이상욱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7B
    • /
    • pp.957-967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모델 기반 지각적 그룹핑을 이용한 3차원 다면체의 인식 및 형상 복원에 관한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2차원 입력 영상과 여기에서 추출된 특징들의 3차원 특징을 거리 측정기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인식 및 복원의 기본 특징으로 이용한다. 이 때, 모델의 3차원 기하학적 정보는 결정 트리 분류기에 의하여 학습되며 지각적 그룹핑은 이와 같은 모델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1차 그룹핑의 결과로 얻어진 3차원 직선 특징간의 관계는 Gestalt 그래프로 표현되며 이것의 부그래프 분할을 통하여 인식을 위한 후보 그룹이 생성된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후보 그룹은 3차원 모델과 정렬되어 가장 잘 부합되는 그룹을 인식 결과로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정렬의 결과로서 2차원 텍스춰를 추출하여 3차원 모델에 매핑함으로써 실제적인 3차원 형상을 복원할 수 있다. 제안하는 알고리듬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불록 영상과 지형 모델 보드 영상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모델 기반의 그룹핑 기법은 결과 그룹의 수를 상당히 감소시켰으며 또한 잡음과 가리워짐에 강건한 인식과 복원 결과가 얻어졌다.

  • PDF

A Robust Method for Automatic Segmentation and Recognition of Apoptosis Cell (Apoptosis 세포의 자동화된 분할 및 인식을 위한 강인한 방법)

  • Liu, Hai-Ling;Shin, Young-Suk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5 no.6
    • /
    • pp.464-468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age-based approach, which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flow cytometric method to detect shape of apoptosis cells. This method can overcome the defects of cytometry and give precise recognition of apoptosis cells. In this work K-means clustering was used to do the rough segmentation and an active contour model, called 'snake' was used to do the precise edge detection. And then some features were extracted including physical feature, shape descriptor and texture features of the apoptosis cells. Finally a Mahalanobis distance classifier classifies the segmentation images as apoptosis and non-apoptosis cell.

Target Window Adjustment Method for feature point tracking in infra-red images (적외선 영상에서 특징점 추적을 이용한 추적창 조절)

  • Kang, Jai-Woong;Sung, Gi-Yeul;Jung, Young-Hun;Kim, Su-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297-29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IR 영상추적을 위하여 가린 표적의 실제 중심을 예측하는 추적창 조절(target window adjustment) 기법을 제시한다. 대표적 분할 추적(patch tracking) 방식인 특징점 추적(feature point tracking)은 표적의 중심과 특징점을 coupling하여 가린 표적의 실제 중심을 예측할 수 있으나, 형상 정보가 적은 영상에서 표적의 ROI(Region of Interest)는 특징점의 분포만으로는 구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상관추적의 추적창 조절 기법과 특징점 추적의 coupling 기법을 결합하여 표적이 장애물에 가리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추적창을 유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