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포범위

Search Result 3,32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real Distribution Ratio and Characteristics of Constituent Rocks with Geologic Age and Rock Type by GIS in Gyeongnam-Ulsan-Busan Areas (GIS를 이용한 경남-울산-부산지역 구성암류의 지질시대별 및 암층별 분포율과 분포특성)

  • Yun, Hyun-Soo;Lee, Jin-Young;Hong, Sei-Sun;Yang, Dong-Yoon;Kim, Ju-Yong;Yi, Sang-Heon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0 no.1
    • /
    • pp.39-59
    • /
    • 2011
  • To get the geologic information data such as rock resources, industrial ground, development planning and so on, distribution ratios of constituent rocks with geologic age and rock type were obtained in Gyeongnam, Ulsan and Busan areas by ArcGIS 9.3 program, digital geologic and geomorphic maps of 1 : 250,000 scale. Geologic ages and rock types in the Gyeongnam area can be divided into 6 and 40, respectively. Their distribution ratios of the geologic ages are decreasing in the order of Cretaceous, Precambrian, Quaternary, Jurassic, Triassic and Tertiary. They show the wide ranges of 1.35-57.36%, and the former makes the most dominant ratio. Major rock types are 24 ones, all of which occupy the ratio of 94.58% and relatively narrow ranges of 1.15-13.64% in the area. Among them, andesite and andesitic tuff shows the more or less dominant ratio, and separately develops in the northeast, mid east and south parts of the area. In the Ulsan area, geologic ages and rock types can be divided into 3 and II, respectively. Their distribution ratios of the geologic ages are decreasing in the order of Cretaceous, Quaternary and Triassic. They show the very wide range of 6.90-79.21%, and the former makes the most prevailing ratio. Major rock types are 9 ones, which totally occupy the ratio of 98.63% and more or less wide ranges of 1.50-39.01% in the area. Among them, Jindong formation shows the most dominant ratio, and widely develops in the inner and eastern part of the area. In the Busan area, geologic ages and rock types can be divided into 3 and 10, respectively. Their distribution ratios of the geologic ages are decreasing in the order of Cretaceous, Quaternary and Tertiary. They show the wide ranges of 6.73-47.02%, and the two former makes the most dominant ratio of 88.03%. Major rock types are 6 ones, all of which occupy the ratio of 93.02% and relatively wide ranges of 4.07-47.02% in the area. Among them, alluvium forms the most dominant ratio, which mostly develops in the lower Nagdong River, West Nagdong River and Suyeong River.

An Improvement of the Lateral Resolution of Linear Array Transducer for Medical Ultrasonic Imaging (의료 진단용 선형 배열 변화기의 측 방향 해상도 개선)

  • 백승한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1.06a
    • /
    • pp.136-141
    • /
    • 1991
  • 초음파 영상 진단기에서 영상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넓은 범우에서 높은 측 방향 해상도가 요구된다. 측 방향 해상도는 변환기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 빔폭에 의해 좌우되는데 기존의 변환기는 초점 부근에서는 빔폭이 매우 좁으나 집속 범위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넓은 범위에서 균일한 빔폭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변환기를 제안하고 변환기에 의한 음장 분포를 전산기 모의 실험을 통해 구하였으며 그 결과 초점 부근에서는 빔 폭이 기존의 변환기에 비해 다소 넓어지나 집속 범위가 기존의 변화기에 비해 넓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Habitat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Growing Schisandra nigra Maxim. in Cheju Island of Korea (흑오미자 자생 임분의 입지환경과 식생구조)

  • Lee Kab-Yeon;Kim Sea-Hyun;Kim Pan-Gi;Shin Chang-Ho;Han Sang-Sup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 no.2
    • /
    • pp.81-89
    • /
    • 1999
  • To propose basic information for natural resourc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strategy of Schisan-dra nigra Maxim., its habitat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growing the species was investigated. Fourteen plots (each plot size 400 $m^2$) were set up at the distributed area of Cheju island, southern part of Korea. S. nigra is the economic useful species that scatteringly grows at 850~920 m in the western part, at 660~710 m in the northern part and at 750~1,250 m in the southern part of Mt. Halla. The community of S. nigra in Mt. Halla is the mixed secondary forest of pine and broad leaved trees that are mainly composed of Pinus densif1ora, Quercus serrata, Styrax japonica, Lin-dera erythrocarpa and Carpinus laxiflora. The density in a main distribution sector of S. nigra appears in the range of 3~39 individuals per each 20$\times$20 m plot. The distribution patterns by Morisita's Index showed that S. nigra was distributed randomly in all of the stands. The associ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following tree speci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 nigra. In other words, the following trees were appeared to require the same ecological niche together with S. nigra: Lindera erythrocarpa, Cornus waltri, Acer mono, and Styrax japonica.

  • PDF

The Analysis of Forest Fire Fuel Structure Through the Development of Crown Fuel Vertical Distribution Model: A Case Study on Managed and Unmanaged Stands of Pinus densiflora in the Gyeongbuk Province (수관연료 수직분포모델 개발을 통한 산불연료구조 분석: 경북지역의 소나무림 산림시업지와 비시업지를 대상으로)

  • Lee, Sun Joo;Kwon, Chun Geun;Kim, Sung Yo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3 no.1
    • /
    • pp.46-54
    • /
    • 2021
  •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effects of forest tending works o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wildfire fuel loads on Pinus densiflora stands in Gyeongbuk province. The study sites were located in Youngju and Bonghwa in Pinus densiflora stands. A total of 10 sample trees were collec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crown fuel vertical distribution model. The 6th NFI (National Forest Inventory) selected a sample point that only extracted from managed and unmanaged stands of Pinus densiflora in the Gyeongbuk province. The fitness index (F.I.) of the two models developed was 0.984 to 0.989, with the estimated parameter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A s a results,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wildfire fuel loads range of unmanaged stands was from 1m to 11m with the largest distribution at point 5m at the tree height. 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wildfire fuel loads range of the managed stands was from 1m to 15m with the largest distribution at the point of 8m at the tree height. The canopy bulk density was 0.16kg/㎥ for the managed stands and 0.25kg/㎥ for the unmanaged stands, unmanaged stands were about 1.6 times more than managed stands. This result is expected to be available for simulation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3D model as crown fuel was analyzed in three dimensions.

Analysis of Tuning Characteristics of Widely Tunable Sampled Grating Distributed Feedback Laser diode integrated with Sampled Grating Distributed Reflector (추출격자 분포 브래그 반사기가 집적된 광대역 파장가변 추출격자 분포 궤환 레이저 다이오드의 파장가변 특성해석)

  • Kim, Suhyun;Chung, Youngchu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2 no.10 s.340
    • /
    • pp.19-28
    • /
    • 2005
  • In this paper, we analyzed tuning characteristics of the widely tunable SGDFB laser diode integrated with SGDBR. The improved time-domain model is used to analyse the laser diode. From the numerical analysis, the length of phase control region in the SGDFB section influences on the output power and the tuning range.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tuning range is affected by the length of the laser diode, the residual reflectivity at the facet, and the position of the facet.

Evaluation of Urban Flood Area Considering by Condition Rainfall Analysis (강우 조건별 영향을 고려한 도시지역의 침수범위 평가)

  • Keum, Ho Jun;Lee, Kyeong Wook;Kim, Byung Hyun;Kim, Hyeon Il;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9-49
    • /
    • 2017
  • 최근 극한 홍수의 발생에 따른 내수배제 불량으로 인한 도시지역의 침수로 매년 많은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홍수피해 저감 및 복구대책으로 많은 국비가 지원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예방보다는 복구비에 치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에 시간 당 강우의 영향력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상습적으로 일어나는 내수재해를 방지하고 자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저지대를 기준으로 상습침수 배수구역을 선택하여 1차원 SWMM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때, 가장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인 강우의 시간분포는 도시별 유역 규모 및 유출특성, 강우강도 특성 등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일 여지가 다분하여 실제 침수를 일으킨 강우와 유사한 분포를 찾기 매우 어려운 실정이며, 이를 반영하기 위하여 Huff분포 모든 분위를 사용하여 SWMM 도시침수 해석을 실시하였다. 실시한 결과 맨홀의 월류량을 2차원 해석 입력자료로 사용하였으며, 2차원 해석 결과를 분위별 침수범위를 GIS를 이용하여 중첩시켜 상습 침수구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강우강도의 조건에 따라서 관로를 통하여 월류되는 시작 지점 및 그 지점을 통하여 맨홀에서의 월류량을 대략적 알 수 있었다. 또한, 능동적이며 준 실시간적인 대피지도와 우회도로설정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Minimum Fluidization Velocity of Gaussian Distribution Particle System According to Standard Deviation (Gaussian 분포의 입자군의 표준편차에 따른 최소유동화속도)

  • Jang, Hyun Tae;Park, Tae Sung;Cha, Wang Seog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6 no.3
    • /
    • pp.567-570
    • /
    • 2008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applicability of the minium fludization velocity measuring method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standard deviation of pressure fluctuation and gas velocity in multi-particle sand on a fluidized bed 0.109 in inner diameter. We measured minium fludization velocity according to the standard deviation of particle distribution in Gaussian distribution. The measured value compared with other researchers' equations. The minium fludization velocity derived from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the standard deviation of pressure fluctuation and pressure drop inside the bed. We also found that the minium fludization velocity of a multi-particle system using the standard deviation of pressure fluctuation must be measured at freely bubbling region.

The Difference of the Tuna Longline Catch by Retrieving Method (다랭이 주낚의 양승방식에 따르는 어획미수의 차)

  • PARK Sing-Won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8 no.4
    • /
    • pp.197-201
    • /
    • 1975
  • 다랭이 주낚의 양승방식에는 방향의 양승(On-tracing retrieve)방식과 역방향의 양승(Back-tracing retrieve) 방식의 두가지 방식이 있다. 순방향의 양승은 최초에 투승된 주낙끝에서부터 양승하기 시작하여 투승한 순과 같은 순으로 양승하는 것이고 역방향의 양승은 최후에 투승된 주낚끝에서부터 양승하기 시작하며 투승한 순과 반대순으로 양승하는 것이다. 주낚의 조업소요시간을 변갱하지 않고 양승방식만 변갱한다면 주낚의 평균침지시간은 변하지 않고 다만 침지시간의 분포구간만 변한다. 투승작업시간을 $\tau_1$, 투승작업이 끝나고 양승작업을 시작하기까지의 대기시간을 $\tau_2$, 양승작업시간을 $\tau_3$하면 주낚의 침지시간분포범위는 양승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서로 다르다. $\tau_2$부터 $\tau_1+\tau_2+\tau_3$까지의 범위 역방향으로 양승할 때 $\tau_1+\tau_2$부터 $\tau_2+\tau_3$까지의 범위 임의시의 낚시 어획성능은 $F_0\varrho-^{-zt}$ ($F_0$는 초기어획성능, z는 감소계수, t는 투승후 경과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고 침지시간 t인 낚시 Hro의 어획미수는 $H_{F_0}\frac{1-\varrho^{-zt}}{z}$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주낙조업에서 낚시수 $H_G$개 이고 침지시간이 $\tau_\alpha$$\tau_\beta$ 범위내에서 분포하면 어획미수는 $C_G$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C_G=\frac{H_G}{\tau_\beta-\tau_\alpha}{\cdot}\frac{F_0}{Z}\int^{\tau_\beta}_{\tau_\alpha}(1-\varrho^{-zt})dt$$ $\tau_\alpha,\;\tau_\beta$의 값은 순방향의 양승에 있어서는 $\tau_\alpha=\tau_1+\tau_2,\;\tau_\beta=\tau_2+\tau_3$, 역방향은 양승에 있어서는 $\tau_\alpha=\tau_2,\;\tau_\beta=\tau_1+\tau_2+\tau_3$. 따라서 다랭이 주낚의 어획미수는 그 양승방식에 따라 차가 있고 순방향의 양승으로 더 많은 어획미수를 얻을 수 있다.

  • PDF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Sediment Discharge in 2009 (2009년 하천 유사량 특성 분석)

  • Go, Ju-Yeon;Lee, Yeon-Kil;Lee, Jin-Wo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729-173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7개 지점(여주, 적성, 왜관, 진동, 공주, 구례2, 나주)에 대해 유사량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부유사량은 강우가 집중되는 홍수기와 이의 전 후시기인 저 평수기(2회)로 나누어 왕복수심적분법(D-74)으로 측정하였고, 하상토는 BM-54, Grab Sampler(60 L), 선격자 등을 이용하여 홍수기 전 후로 2회 채취하였다. 채취된 시료는 그 목적에 따라 여과법(부유사농도), BW관법(부유사입도분포), 체분석법(하상토입도분포)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로 작성된 평균 부유사농도 및 Oden Curve와 입도분포곡선과 수리량(수위, 유속, 측정수심, 수면폭, 수면경사, 수온)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총유사량(미측정구간의 유사량 포함)을 추정(실측+계산: Modified Einstein)하였다. 총유사량 추정시, 세류사량을 제외한 부유사량을 적용하였다. 유량-부유사농도와 부유사량 및 총유사량 관계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하나의 강우사상의 수위 상승-첨두-하강에 대한 측정성과는 대체적으로 Loop 형태를 보였고 이로 인해 일부 지점에서 측정성과들 간의 산포도가 다소 크게 나타났으며 수위 하강 때보다 상승시 초기 탁도의 증가 현상으로 부유사농도가 더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2) 유량-부유사농도, 부유사량, 총유사량 관계에서 왜관과 공주 지점의 경우, 첨두 수위에서 값들의 최고치를 보였고 나머지 지점들은 첨두 수위의 앞선 측정 수위에서 최고치를 보였다. 이는 강우사상별, 강우강도, 댐 방류량, 수위 상승-하강부, 유량에 따른 부유사농도와 부유사량의 특성이 각각 다른 점과 총유사량 추정시, 추정방법에서 추천하는 범위에서 벗어나는 자료를 적용해서 나타나는 결과로 판단된다. 여기서 유량, 수심, 하상토의 입도크기 등 자료의 범위가 추정공식들이 추천하는 범위에서 벗어나면 그 분석 결과도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은 그만큼 총유사량 공식의 범용성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서 때로는 자료 전체에 대해 전반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이는 공식보다는 정확한 답을 원하는 자료의 범위 내에서 예측하는 공식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공식을 적용하여 유사량을 추정하고자 하는 하천이나 수로의 특성에 맞는 유사량 공식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 PDF

Study 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brominated flame retardants in sediments (퇴적물 중 브롬화난연제 농도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Tae-Seung;Shin, Sun-Kyoung;Oh, Jung-Keun;Park, Jong-Eun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5 no.4
    • /
    • pp.242-249
    • /
    • 2012
  • Total 11 samples of sediments from the Geum river and the Nakdong river and its estuarie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BDEs and HBCD. Concentration of PBDEs in sediments ranged from 2.19~101.34 (average 30.70, median 20.91) ng/g-dw. The concentration range of PBDEs in river sediments is greater than those of estuary sediments. The HBCD concentration was ranged from N.D.~7.85 (average 1.47, median 0.32) ng/g-dw. HBCD concentrations compared with PBDEs are approximately 1/20 level, which is associated with low domestic usage. Isomer patterns of PBDEs and HBCD suggested that not only the use of commercial products, but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se materials,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environmental behavior could affect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se chemicals and their iso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