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bitat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Growing Schisandra nigra Maxim. in Cheju Island of Korea

흑오미자 자생 임분의 입지환경과 식생구조

  • Published : 1999.12.01

Abstract

To propose basic information for natural resourc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strategy of Schisan-dra nigra Maxim., its habitat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growing the species was investigated. Fourteen plots (each plot size 400 $m^2$) were set up at the distributed area of Cheju island, southern part of Korea. S. nigra is the economic useful species that scatteringly grows at 850~920 m in the western part, at 660~710 m in the northern part and at 750~1,250 m in the southern part of Mt. Halla. The community of S. nigra in Mt. Halla is the mixed secondary forest of pine and broad leaved trees that are mainly composed of Pinus densif1ora, Quercus serrata, Styrax japonica, Lin-dera erythrocarpa and Carpinus laxiflora. The density in a main distribution sector of S. nigra appears in the range of 3~39 individuals per each 20$\times$20 m plot. The distribution patterns by Morisita's Index showed that S. nigra was distributed randomly in all of the stands. The associ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following tree speci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 nigra. In other words, the following trees were appeared to require the same ecological niche together with S. nigra: Lindera erythrocarpa, Cornus waltri, Acer mono, and Styrax japonica.

흑오미자 분포하는 자생지의 생육환경과 흑오미자의 자원보존 및 자생지의 식생관리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흑오미자의 분포지역을 대상으로 분포지의 입지환경과 식생구조 및 생육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1.흑오미자의 주요 분포지는 한라산의 해발 660~1,250 m 범위 내 주로 북, 북서 및 남서향을 중심으로 비교적 습도가 높고 35$^{\circ}$이하의 완만한 경사를 이룬 산록부에 서식하고. 자생지의 토양 pH는 4.36~5.28의 범위로서 비교적 산성에 가까운 토양이었으며, 양이온 치환용량(CEC)과 유기물함량은 각각 16.70$\pm$3.83c㏖$^{+}$/kg, 22.81$\pm$2.85%으로 비교적 비옥한 토양이었다.2.흑오미자가 생육하는 14조사구에 대한 cluster분석 결과에서는 상층 임관형에 따라 크게 4개 집단 즉 때죽나무군락, 소나무-졸참나무군락, 소나무-때죽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이중 흑오미자의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군락은 소나무-때죽나무군락으로 조사구당 출현한 흑오미자의 평균 개체수는 35.6본이었다.3.흑오미자의 군락유형별 분포형태(Morista's index)는 때죽나무군락과 소나무-때죽나무군락에서는 1.1846~1.1052의 범위로 집중분포에 가까운 확률분포였고, 소나무-졸참나무군락에서는 0.9351로 규칙분포에 가까운 확율분포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