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real Distribution Ratio and Characteristics of Constituent Rocks with Geologic Age and Rock Type by GIS in Gyeongnam-Ulsan-Busan Areas

GIS를 이용한 경남-울산-부산지역 구성암류의 지질시대별 및 암층별 분포율과 분포특성

  • Yun, Hyun-Soo (Geologic Environment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 Lee, Jin-Young (Geologic Environment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 Hong, Sei-Sun (Geologic Environment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 Yang, Dong-Yoon (Policy & Networking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 Kim, Ju-Yong (Geologic Environment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 Yi, Sang-Heon (Geologic Environment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 윤현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이진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양동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정책협력부) ;
  • 김주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 이상헌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Received : 2011.02.22
  • Accepted : 2011.03.17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o get the geologic information data such as rock resources, industrial ground, development planning and so on, distribution ratios of constituent rocks with geologic age and rock type were obtained in Gyeongnam, Ulsan and Busan areas by ArcGIS 9.3 program, digital geologic and geomorphic maps of 1 : 250,000 scale. Geologic ages and rock types in the Gyeongnam area can be divided into 6 and 40, respectively. Their distribution ratios of the geologic ages are decreasing in the order of Cretaceous, Precambrian, Quaternary, Jurassic, Triassic and Tertiary. They show the wide ranges of 1.35-57.36%, and the former makes the most dominant ratio. Major rock types are 24 ones, all of which occupy the ratio of 94.58% and relatively narrow ranges of 1.15-13.64% in the area. Among them, andesite and andesitic tuff shows the more or less dominant ratio, and separately develops in the northeast, mid east and south parts of the area. In the Ulsan area, geologic ages and rock types can be divided into 3 and II, respectively. Their distribution ratios of the geologic ages are decreasing in the order of Cretaceous, Quaternary and Triassic. They show the very wide range of 6.90-79.21%, and the former makes the most prevailing ratio. Major rock types are 9 ones, which totally occupy the ratio of 98.63% and more or less wide ranges of 1.50-39.01% in the area. Among them, Jindong formation shows the most dominant ratio, and widely develops in the inner and eastern part of the area. In the Busan area, geologic ages and rock types can be divided into 3 and 10, respectively. Their distribution ratios of the geologic ages are decreasing in the order of Cretaceous, Quaternary and Tertiary. They show the wide ranges of 6.73-47.02%, and the two former makes the most dominant ratio of 88.03%. Major rock types are 6 ones, all of which occupy the ratio of 93.02% and relatively wide ranges of 4.07-47.02% in the area. Among them, alluvium forms the most dominant ratio, which mostly develops in the lower Nagdong River, West Nagdong River and Suyeong River.

암석자원, 산업부지 및 개발계획 등의 지질정보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분석된 경남, 울산 및 부산지역 구성암류의 지질시대별 암층별 분포율 및 특성은 디음과 같다. 이를 위하여 ArcGIS 9.3, 1 대 250,000 수치지질도 및 수치지형도가 이용되었다. 경남지역의 구성암류는 모두 6개의 지질시대로 구분된다. 분포율은 백악기, 선캠브리아기, 제4기, 쥬라기, 삼첩기 및 제3기의 순으로 감소하고 1.35-57.36%의 범위값을 이루며 그중 전자인 백악기에서 가장 큰 값을 가진다. 구성암층은 모두 40개이며, 그 중 24개가 1.15-13.64%의 다소 좁은 범위 그리고 도합 94.58%를 가져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여기에서 가장 우세한 안산암 및 안산암질 응회암은 경남지역의 북동부, 중동부와 남부일대에 발달하며 주변암과 심하게 굴곡진 경계면을 이룬다. 울산지역의 구성암류는 3개의 지질시대로 구분된다. 분포율은 백악기 제4기 및 제3기의 순으로 감소하고 6.90-79.21%의 넓은 범위값을 이루며 전자에서 그 값이 크게 증가한다. 구성암층은 모두 1l개이며, 그 중 9개가 1.50-39.0%의 다소 넓은 범위 그리고 도합 98.63%를 가져 그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 중 가장 우세한 진동층은 울산지역 내측부와 동부 일대에 넓게 발달한다. 부산지역 구성암류는 3개의 지질시대로 구분된다. 분포율은 백악기, 제4기 및 제3기의 순으로 감소하며 6.73-47.02%의 범위값을 이루며 전자 둘에서 88.03%를 가져 그 대부분을 차지한다. 구성암층은 모두 10개이며 그 중 6개가 4.07-47.02%의 넓은 분포범위 그리고 도합 93.02%를 가져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 중 뚜렷하게 우세한 충적층은 낙동강 하류, 서낙동강 및 수영강 일대에 발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정선, 윤성효, 안지영, 김향수, 최유종, 2000, 경상분지내 백악기 화강암류의 정치깊에 관한 연구. 지구과학회지, 21, 59-66.
  2. 김상욱, 황상구, 이윤종, 이재영, 고인석, 1998, 북부 유천 소분지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산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암석학회지, 7, 27-36.
  3. 곽영훈, 2001, 한국지체구조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4. 김규봉, 황상구, 1988, 한국지질도(1:50,000) 밀양도폭 및 설명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26p.
  5. 김남장, 강필종, 1965, 한국지질도(1:50,000) 진교도폭 및 설명서. 국립질조사소, 33p.
  6. 김동학, 황재하, 박기화, 송교영, 1998, 한국지질도(1:250,000) 부산도폭 및 설명서. 한국자원연구소, 62p.
  7. 김봉균, 1970, 한국의 신제3기 퇴적층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6, 77-96.
  8. 김봉균, 윤선, 1982, 신생대층. 한국의 지질과 광물자원. 김옥준교수 정년퇴임기념), 연세대학교 지질학과 동문회, 133-152.
  9. 김옥준, 홍만섭, 박희인, 박양대, 김기태, 윤선, 1964, 한국지질도(1:50,000) 산청도폭 및 설명서. 경상남도, 25p.
  10. 김종선, 조형성, 안성호, 송철우, 손문, 김인수, 2010, 한반도 남부 하동-산청 회장암과 암맥군의 연령과 지구조적 의미. 한국암석학회 및 한국광물학회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29.
  11. 박계헌, 김동연, 송용선, 정창식, 2006a, 중생대 산청섬장암의 Rb-Sr 조성과 의미. 암석학회지, 15, 1-9.
  12. 박계헌, 이호선, 송용선, 정창식, 2006b, 영남육괴 함양, 거창 및 영주 화강암-화강섬록암의 스핀 U-Pb 연대. 암석학회지, 15, 39-48.
  13. 박양대, 윤형대, 1968, 한국지질도(1:50,000) 울산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20p.
  14. 손치무, 이상만, 김영기, 김상욱, 김형식, 1978, 한국지질도(1:50,000) 동래.월래도폭 및 설명서. 자원개발연구소, 27p.
  15. 영진문화사, 2009, 영진 5만지도. 전국편.
  16. 이민성, 강필종, 1964, 한국지질도(1:50,000) 양산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24p.
  17. 이병주, 김정찬, 김유봉, 조등룡, 최현일, 전희영, 김복철, 1997, 한국지질도(1:250,000) 광주도폭 및 설명서. 한국자원연구소, 82p.
  18. 이윤종, 이인기, 1972, 한국지질도(1:50,000) 언양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22p.
  19. 이종만, 정지곤, 김원사, 1999, 하동지역 회장암질암의 진화 및 함티탄광체와 성인적 관련성에 대한 예비연구. 지질학회지, 35, 321-336.
  20. 우정사업본부, 2010, 우편번호부. 208p.
  21. 윤성효, 고정선, 박광순, 안효찬, 김용일, 유성현, 이동한, 윤기영, 2005, 부산 금정산화강암체의 암석학 및 Rb-Sr 전암 등시선 연대. 암석학회지, 14, 61-72.
  22. 윤성효, 황인호, 1990, 경주 남산일대의 화강암의 암석학 및 지구화학의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11, 51-66.
  23. 윤현수, 이진영, 양동윤, 홍세선, 2007, 경기-서울-인천지역 구성암류의 지질시대별 분포율. 암석학회지, 16, 208-216.
  24. 윤현수, 이진영, 양동윤, 홍세선, 2008, 충북-충남-대전지역 구성암류의 지질시대별 및 암종별 분포율. 암석학회지, 17, 191-205.
  25. 윤현수, 이진영, 양동윤, 홍세선, 김주용, 이상헌, 2010, GIS에 의한 경북-대구지역 구성암류의 지질시대별 및 암종별 분포율. 암석학회지, 19, 1-18.
  26. 장기홍, 1982, 상부중생대편(백악계-경상누층군). 김옥준교수 정년퇴임기념, 연세대학교 지질학과 동문회, 113-128.
  27. 장태우, 강필종, 박석환, 황상구, 이동우, 1983, 한국지질도(1:50,000) 부산.가덕도폭 및 설명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22p.
  28. 장태우, 장천중, 김영기, 1993, 언양지역 양산단층 부근 단열의 기하분석. 광산지질학회지, 26, 227-236.
  29. 조성순, 1976, 남한의 지층 및 암체의 분포, 면적비에 대한 고찰. 경북대학교 학부졸업논문, 13p.
  30. 좌용주, 1998, 경상분지 고성지역의 화성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II. 주성분원소 지구화학과 Rb-Sr 방사성 연대. 자원환경지질학회지, 31, 473-483.
  31. 최범영, 최현일, 황재하, 기원서, 고희재, 김유봉, 이병주, 송교영, 김정찬, 최영섭, 2002, 한국지질도(1:250,000) 목포.여수도폭 및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45p.
  32. 최위찬, 황재하, 윤욱, 김동학, 1988, 한국지질도(1:25,000) 어일도폭 및 설명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42p.
  33. 최유구, 정창희, 이대성, 김소운, 김수진, 1964, 한국지질도(1:50,000) 단성도폭 및 설명서. 경상남도, 28p.
  34. 홍승호, 최범영, 1988, 한국지질도(1:50,000) 유천도폭 및 설명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26p.
  35. 황인전, 박정서, 1968, 한국지질도(1:50,000) 안의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25p.
  36. 황재하, 김동학, 조등룡, 송교영, 1996, 한국지질도(1:250,000) 안동도폭 및 설명서. 한국자원연구소, 67p.
  37. 현전기, 1986, 한국석재(화강암류)의 광물조성과 물리적 특성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8p.
  38. Chough, S.K. and Shon, Y.K., 2010,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a Cretaceous continental arc-backarc system in the Korean peninsula: New view. Earth-Science Reviews, 101, 225-249. https://doi.org/10.1016/j.earscirev.2010.05.004
  39. Flint, R.F. and Skinner, B.J., 1977, Physical geology. John Wiley & Sons, 141-154.
  40. IUGS, 2004, International stratigraphic chart. International commission on stratigraphy.
  41. Jeong, J.G., 1982, Petrologic studies on anorthositic rocks in Hadong-Sancheong district, Korea. Jour. Geol. Soc. Korea, 18, 83-108.
  42. Jeong, J.G., Kim, W.S. and Watkinson, D.H., 1989, Geologic structure of Hadong anorthositic rocks and associated titanium orebody. Jour. Geol. Soc. Korea, 25, 98-111.
  43. Kim, C.B., Chang, H.W. and Turek, A., 2003, U-Pb zircon ages and Sr-Nd-Pb isotopic compositions for Permian-Jurassic plutons in the Ogcheon belt and Ryeongnam massif, Korea: Tectonic implications and corelation with the China Qinling-Dabie belt and the Japan Hida belt. The Island Arc, 12, 366-382. https://doi.org/10.1046/j.1440-1738.2003.00404.x
  44. Kim, C.S. and Kim, G.S., 1997, Petrogenesis of the early Tertiary A-type Namsan alkali granite in the Kyongsang Basin, Korea. Geosc. Jour., 1, 99-107. https://doi.org/10.1007/BF02910481
  45. Kim, S.W., Hwang, S.K., Lee, Y.J., Lee, J.Y. and Koh I.S., Petrology of the Cretaceous volcanic rocks in northern Yucheon Minor Basin, Korea. Jour. Petrol. Soc. Korea, 7, 27-36.
  46. Kwon, S.T. and Jeong, J.G., 1990, Preliminary Sr-Nd isotope study of the Hadong-Sancheong anorthositic rocks in Korea: implication for their origin and for the Precambrian tectonics. Jour. Geol. Soc. Korea, 26, 341-349.
  47. Lee, J.I., 1992, Mineralogy and petrography of the shallowdepth emplaced granitic rocks distribu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yeongsang Basin, Korea.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 13, 176-199.
  48. Lee, J.I., Lee, M.J., Doo, K.T., Lee, M.S. and Nagao, K., 1997, K-Ar age determination of the granitic plutons in Ulsan-Kyeongju area, the mid-eastern Kyeongsang Basin, Korea.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 18, 379-386.
  49. Lee, Y.J., 1980, Granitic rocks from the southern Gyeong-sang basin, southeastern Korea: pt 1. general geology and K-Ar ages of granitic rocks. J. Japan, Assoc. Min. Petrol. Econ. Geol., 75, 105-116(in Japanese). https://doi.org/10.2465/ganko1941.75.105
  50. Pettijohn, F.J., 1975, Sedimentary rocks. Harper & Row, Publishers, 530-564.
  51. Shin, S.C. 1992, Meso-Cenozoic Thermo-tectonic history of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evidenced from fission track thermochronological analyses. Ph.D. thesis, Kyoto Univ., Kyoto, 305p.
  52. Tateiwa, I., 1924, Geological atlas of Korea(1:50,000) Gampo and Gampo2 sheets. Geol. Surv. Korea.
  53. Turek, A. and Kim, C.B., 1995, U-Pb zircon ages of Mesozoic plutons in the Damyang-Geochang area, Ryeongnam massif, Korea. Geochem. Jour., 29, 243-258. https://doi.org/10.2343/geochemj.29.243

Cited by

  1. GIS-based Areal Distribution Ratios and Characteristics of Constituent Rocks with Geologic Ages and Rock Types in Jeonnam and Gwangju Areas vol.22, pp.2, 2013, https://doi.org/10.7854/JPSK.2013.22.2.153